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외 허위정보 연구동향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Disinformation between Korea and Abroad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3, pp.291-315
https://doi.org/10.4275/KSLIS.2019.53.3.291
김희섭 (경북대학교)
강보라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허위정보에 관한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학문 분야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연구기간의 제한이 없이 국내논문 104편과 국외논문 861편에 나타난 저자가 부여한 영문키워드를 수집하였다. 국내논문에서 수집된 283개 영문키워드와 국외논문에서 수집된 3,551개 영문키워드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 측면에서 국내의 경우는 ‘Freedom of Expression’, ‘Fact Check’, ‘Regulation’,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로 순으로, 국외의 경우는 ‘Social Media’, ‘Post Truth’, ‘Propaganda’, ‘Information Literacy’, ‘Journalism’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 국내의 경우는 ‘Fact Check’, ‘Freedom of Expression’, ‘Hoax’ 순으로, 국외의 경우는 ‘Social Media’, ‘Detection’ 순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 국내의 경우는 ‘Fact Check’, ‘Polarization’, ‘Freedom of Expression’, ‘Commercial’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키워드에서 낮은 빈도를 보였던 ‘Commercial’이 ‘Media Literacy’, ‘Freedom of Expression’ 등을 매개하며 상대적으로 매개역할정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외의 경우는 ‘Social Media’, ‘Detection’, ‘Machine Learning’이 주요 연결다리로 나타났다.

keywords
가짜정보, 연구 동향, 네트워크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집중도분석, Disinformation, Research Trends, Network Analysis, Keyword Network,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entralization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research trends on disinformation between Korean and abroad.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283 author-assigned English keywords in 104 Korean papers and 3,551 author-assigned English keywords in 861 abroad papers were collected from the whole research fields and the publication peri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V.4 to discover thei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of the keyword network.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research topics of disinformation in Korea were drawn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Fact Check’, ‘Regulation’, ‘Media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in order; whereas, in abroad were shown like ‘Social Media’, ‘Post Truth’, ‘Propaganda’, ‘Information Literacy’, and ‘Journalism’ in order. Secon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research topics related to disinformation, in Korea were identified such as ‘Fact Check’, ‘Freedom of Expression’, and ‘Hoax’ in order; whereas, in abroad were shown such as ‘Social Media’ and ‘Detection’ in order. Finally, in an aspect of intervention of research topics related to disinformation, in Korea were ‘Fact Check’, ‘Polarization’, ‘Freedom of Expression’, and ‘Commercial’; whereas, in abroad were ‘Social Media’, ‘Detection’, and ‘Machine Learning’ in order.

keywords
가짜정보, 연구 동향, 네트워크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집중도분석, Disinformation, Research Trends, Network Analysis, Keyword Network,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entralization

참고문헌

1.

가짜-왜곡정보 기술적 해결 한계…시간 걸려도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2018. 『한겨례』. 11월 1일. [online] [cited 2019. 5. 7.]<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68178.html#csidx697b2172ecdf0e da3ba55c98fb90056>

2.

가짜뉴스 근절이냐? 표현의 자유 수호냐? 고심하는 정부. 2018. 『노컷뉴스』. 10월 9일. [online][cited 2019. 7. 2.] <https://news.v.daum.net/v/20181009085700472?rcmd=rn>

3.

‘가짜뉴스’ 못지 않게 큰 사회적 피해 만드는 ‘가짜정보’. 2017. 『매일경제』. 2월 21일. [online][cited 2019. 5. 8.]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7/02/123042/>

4.

곽기영. 2017. 『소셜네트워크분석』. 서울: 청람.

5.

구글과 프랑스 언론이 ‘팩트체크’ 위해 뭉친 이유. 2017. 『미디어오늘』. 3월 31일. [online] [cited 2019. 5. 8.]<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5938#csidx6ce19b1415d04c78bef25c1ef8503de>

6.

권만우, 전용우, 임하진. 2015. 가짜뉴스(Fake News) 현황분석을 통해 본 디지털매체 시대의 쟁점과뉴스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8(11): 1419-1426.

7.

기현석. 2018. 가짜뉴스의 확산에 따른 공직선거법의 개정 방향. 『아주법학』, 12(3): 237-259.

8.

김선겸 외. 2019.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0(1): 333-356.

9.

김창화. 2018. 미국의 가짜 뉴스 대응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육법학연구』, 30(3): 1-22.

10.

김희섭, 강보라. 2018. 국내 디지털 도서관 연구 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4(3): 49-66.

11.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11. 『뉴스미디어 환경의 인터넷 공동 규제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방송통신심의위원회.

12.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18. 『가짜뉴스 대응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서울: 방송통신심의위원회.

13.

손승혜 외. 2018. 트위터는 어떻게 가짜뉴스를 유통시키는가? - <교통법규 개정설>과 <9월 전쟁설>의 트위터 유통 패턴과 유력자, 빈출단어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확보』, 35(4): 203-251.

14.

안수길. 2019. 가짜뉴스에 맞서는 독일 ‘사회관계망법집행법’의 내용과 쟁점. 『법학논총』, 36(1):121-147.

15.

양정애. 2019. 일반시민들이 생각하는 ‘뉴스’와 ‘가짜뉴스’. 『Media Issue』, 5(1): 1-15.

16.

오세욱, 박아란. 2017. 일반국민들의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 『Media Issue』, 3(3): 1-12.

17.

유의선. 2018. 가짜뉴스의 법적 규제: 사회적 법익 보호를 중심으로. 『언론과 법』, 17(2): 39-68.

18.

윤성옥. 2018.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논의. 『언론과 법』, 17(1): 51-84.

19.

윤태욱, 안현철. 2018. 텍스트 마이닝과 기계 학습을 이용한 국내 가짜뉴스 예측. 『한국데이터베이스학회』, 25(1): 19-32.

20.

이기헌, 정효정, 송민. 2015. 문헌정보학 분야 핵심 학술지들의 가중 주제-방법네트워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457-488.

21.

이성신. 2016.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도서관마케팅 연구 경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383-402.

22.

이수상. 2012. 『네트워크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3.

장령령, 홍현진. 2014.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295-318.

24.

정세훈. 2018. 가짜뉴스의 대응 방안과 쟁점. 『관훈저널』, 60(1): 76-82.

25.

정우성, 양현채. 2013. 『과학계량학 연구동향 및 과학기술정책 분야 응용가능성』.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6.

조재인. 2011.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 경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8(4): 65-83.

2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7.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사이버상 유권자의사 왜곡 방지에관한 연구』. 경기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8.

현윤진. 2019. 『뉴스와 소셜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분석 기반 가짜 뉴스 탐지 방안』.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비즈니스 IT.

29.

홍숙영, 정의철. 2017. 가짜뉴스와 언론 신뢰의 위기: 현황분석과 대응방안 탐색.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3(8): 43-60.

30.

홍완식. 2019. 가짜뉴스 규제 법안에 대한 입법평론. 법과 정책, 『법과 정책』, 25(1): 329-357.

31.

황용석, 권오성. 2017.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언론과법』, 16(1): 53-101.

32.

황치성. 2018. 『세계는 왜 가짜뉴스와 전면전을 선포했는가?』. 경기: 북스타.

33.

Ajao, O., Bhowmik, D. and Zargari, S. 2018. “Fake news identification on twitter with hybrid CNN and rnn models.” In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Media and Society, 226-230.

34.

Brussels. 2018.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the Council, the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f the Regions.”European Commission. Apr 26. [online] [cited 2019. 5. 11.]<https://ec.europa.eu/transparency/regdoc/rep/1/2018/EN/COM-2018-236-F1-EN-MAI N-PART-1.PDF>

35.

Carson, A., and Kate Farhall. 2018. “Understanding collaborative investigative journalism in a “post-truth” age.” Journalism Studies, 19(13): 1899-1911.

36.

Haim, M., Graefe, A. and Brosius, H. B. 2018. “Burst of the filter bubble? Effects of personalization on the diversity of Google News.” Digital journalism, 6(3): 330-343.

37.

Kwon, S., Cha, M., and Jun, K. Jung. 2017. “Rumor detection over varying time windows.”PloS one, 12(1): e0168344.

38.

Lee, J., Agrawal, M. and Rao, H. R. 2015. “Message diffusion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The case of rumor and non-rumor related tweets during Boston bombing 2013.” Information Systems Frontiers, 17(5): 997-1005.

39.

Moses, L. 2018. “One year in, Facebook Journalism Project gets mixed reviews from publishers.”Digiday UK. [online] [cited 2019. 5. 7.]<https://digiday.com/media/one-year-facebook-journalism-project-gets-mixed-reviews-pu blishers/>

40.

Notley, T. and Michael D. 2018. “Advancing children’s news media literacy: learning from the practices and experiences of young Australians.” Media, Culture & Society, 0163443718813470.

41.

Shu, K., Mahudeswaran, D. and Liu, H. 2018. “FakeNewsTracker: a tool for fake news collection, detection, and visualization.” Computational and Mathematical Organization Theory, 1-12.

42.

Su, J., Li, X. and Wang, L. 2019. “The Study of a Journalism Which Is almost 99% Fake.”LCM Journal, 5(2): 115-137.

43.

The Guardian. 2016. “Post-truth’ named word of the year by Oxford Dictionaries.” The Guardian. [online] [cited 2019. 5. 7.]<https://www.theguardian.com/books/2016/nov/15/post-truth-named-word-of-the-yearby-oxford-dictionaries>

44.

World Economic Forum. 2013. “Global Risks 2013, Eighth Edition.” [online] [cited 2019. 5. 10.] <http://www3.weforum.org/docs/WEF_GlobalRisks_Report_2013.pdf>

45.

World Economic Forum. 2014. “Top 10 trends of 2014: 10. The rapid spread of misinformation online.” [online] [cited 2019. 5. 10.]<http://reports.weforum.org/outlook-14/top-ten-trends-category-page/10-the-rapid-spreadof-misinformation-online/>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