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서교사들의 직무탈진 양상과 수준을 파악하여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정성적 연구를 위해 17명의 사서교사를 의도표집하여 2018년 9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서교사의 직무탈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소속감, 전문 직업 정체성, 전문성 강화 기회, 사서교사에 대한 평판, 사회적 지원, 직무열의가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고 이를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이라고 정의하였다. 2018년 12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6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2018년 12월 20일부터 2019년 1월 3일까지 2주 동안 웹 질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5부가 회수되었고 이는 모두 분석에 사용되었다. 정량적 연구 결과 첫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 중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문 직업 정체성, 사서교사에 대한 평판, 사회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 중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속감, 전문 직업 정체성, 사회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과 직무탈진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문 직업 정체성은 완전매개, 사회적 지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job burnout by analyzing the job burnout patterns and levels in teacher librarians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ffective factors. For qualitative research 17 teacher librarians were intentionally chosen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5, 2018 to October 30, 2018. The in-depth interview shows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burnout of teacher librarians are the sense of belonging,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reputation of teacher librarians, social support and job engagement which defined as librarians’ job specificity.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six teacher librarians were primarily investigated from December 5, 2018 to December 7. After that a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web questionnaire for two weeks from December 20, 2018 to January 3, 2019. A total of 305 copies were collected, all of which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job specificity of teacher librarians, the factors affecting job burnout were professional identity, reputation of teacher librarians, and social support. Second, concerning the job specificity of teacher librarians, the factors affecting job engagement were sense of belong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in relation to job specificity and job burnout of teacher librarians,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and social support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고수정. 2006. 공․사 부문 사회복지 전문인력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비교분석, 『한국행정논집』, 18(2): 473-495.
김녹현, 권오숙. 2013. 경상북도 장애인거주시설 생활 재활교사의 직무요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학』, 23(2): 187-219.
김정숙, 유금란. 2010.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53-69.
김정은, 이상록. 2018.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직업존중감의 영향, 『사회과학연구』, 34(4):147-175.
민숙희. 2014. 『대학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및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박성애. 2017.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은정. 2011. 『보건교사의 소진(burnout) 관련 요인: 직무환경, 직무스트레스 및 대인관계 요인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박흥식. 2008. 『뉴스 앵커의 평판이 프로그램의 신뢰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상파TV 3사의메인뉴스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설진화. 2012.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소진 보호요인에 대한 경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0: 103-129.
성오현. 2013. 『호텔서비스 접점 직원의 직무요구, 소진, 직무열의 및 고객지향성 간의 구조적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호텔관광경영학과.
안수경. 2001. 『사회복지사의 전문 직업 정체성과 재교육 및 소진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사회복지관의 근무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이영만. 2013.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동향. 『초등교육연구』, 26(2): 125-152.
이재일. 2011. 『학교조직 특성, 사회적 지원, 교사의 전문적 발달, 자아효능감 및 교사 소진간의관계』.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이채향, 허진영. 2006.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0(4): 211-231.
장지숙. 1994. 『전문도서관 사서의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문헌정보학과.
장혜란, 김정아. 2017.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45-269.
조철호. 2016. 『공공기관의 사회공헌활동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동일시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진두찬, 손은정. 2015. 상담자의 직무자율성과 전문성 개발 기회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4): 177-192.
진정희. 2012. 『입법지원조직 구성원의 소진(burnout) 실태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최민석. 2016. 『직무소진과 작업열의가 직무스트레스 관련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최영숙. 2014. 『직무특성과 사회적 지원이 호텔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벤처·정보경영학과.
홍우림. 2015.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8(3): 255-280.
교육통계서비스. [online] [cited 2019. 5. 1.] <https://kess.kedi.re.kr>
MBC News. “WHO, 번아웃(Burn-out) 질병으로 분류” [online] [cited 2019. 5. 29.]<http://imnews.imbc.com/news/2019/world/article/5333785_24712.html>
Bakker, A. B., Demerouti, E., Taris, T. W., Schaufeli, W. B. and Schreurs, P. J. 2003. “A multi-group analysis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in four home care organizations.”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0(1): 16-38.
Bakker, A. B. and Schaufeli, W. B. 2008.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Engaged employees in flourishing organiz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9: 147-154.
Baron, R. M. and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Caputo, J. 1991. Stress and burnout in library service. Phoenix, AZ: Oryx Press.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300-314.
DelGuidice, M. 2011. “Avoiding school librarian burnout: simple steps to ensure your personal best.” Library Media Connection, 29(4): 22-23.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Girdin, D. A., Everly, G. S. and Dusek, D. E. 1996. “Controlling stress and Tension.”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Gold, Y. and Roth, R. A. 1993. Teachers managing stress and preventing burn-out: The Professional health solution. London: Falmer Press.
Hackman, J. R. and Oldham, G. R. 1980. Work redesign. reading. MA: Addison-Wesley.
Harwell, K. 2013. “Burnout and job engagement among business librarians.” Library Librarianship & Management, 27(1-2).
Hall, R. H. 1968.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 92-104.
Kahn, W. A.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 692-724.
Maslach, C. and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Maslach,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Cambridge; Malor Book, MA.
Schaufeli, W. B., Bakker, A. B. and Salanova, M. 2006. “The measurement of work engagement with a short questionnai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6: 701-716.
Sheesley, D. F. 2001. “Burnout and the academic teaching librarian: An examination of the problem and suggested solution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7(6): 447-451.
Pantry, S. 2007. Managing Stress and Conflict in Libraries. London: Facet.
Pines, A. M., Aronson, E. and Kafry, D.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Macmillan.
Togia, A. 2005. “Measurement of burnout and the influence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Greek academic librarians.” Library Management, 26(3): 130-138.
Topper, E. F. 2007. “Stress in the library workplace.” New Library World, 108(11/12):561-564.
Xanthopoulou, D., Bakker, A. B,. Heuven, E., Demerouti, E. and Schaufeli, W. B. 2008. “Working in the Sky: A Diary Study on Work Engagement Among Flight Attendant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3(4): 345-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