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1945-2002

A Historical Study on the Children’s Librarie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45 to 20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4, pp.95-119
https://doi.org/10.4275/KSLIS.2019.53.4.095
김지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2002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전개과정을 시기별로 고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첫째,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76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준비기로, 공공도서관 어린이실을 중심으로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여 어린이도서관이 설립되지 못하였다. 둘째, 1977년부터 2002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성장기로, 어린이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어린이도서관이 처음 등장하였고, 이 시기 어린이도서관은 공공영역보다 주로 민간영역에서 설립되었다.

keywords
어린이도서관, 공공어린이도서관, 어린이작은도서관,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Children’s Library, Public Children’s Library, Children’s Small Library, Public Library Children’s Ro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children’s libraries from 1945 to 2002.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children’s library is divided into stages as follows. First, the preparation period (after colonial liberation in 1945~1976) is the time when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were started, focusing on children’s rooms in public libraries. The children’s libraries were not recognized enough to be established. Second, the growing period (1977~2002), was primarily aimed at providing library services to children. In this period, the children’s libraries were mainly established in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the public sector.

keywords
어린이도서관, 공공어린이도서관, 어린이작은도서관,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Children’s Library, Public Children’s Library, Children’s Small Library, Public Library Children’s Room

참고문헌

1.

김세익. 1992. 『도서·인쇄·도서관사』. 서울: 아세아문화사.

2.

김수철. 2002. 『한국 시민사회운동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학과.

3.

김종성. 2011. 『어린이서비스론』. 대구: 태일사.

4.

김종성. 2000. 『한국 학교도서관 운동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5.

김포옥. 1991. 『광복이후 한국 공공도서관사 연구: 일제하 공공도서관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김효정. 2000. 국립 어린이 도서관 설립의 문제. 『인문학연구』, 29: 129-168.

7.

대한출판문화협회. 1961. 『한국출판연감』. 서울: 대한출판문화협회.

8.

서울특별시립어린이도서관. 1980. 『어린이와 독서』. 서울: 서울특별시립어린이도서관.

9.

서울특별시립종로도서관. 1980. 『종로도서관60년사: 1920~1980』. 서울: 서울특별시립종로도서관.

10.

오혁진. 2010. 사회교육의 일반적 발달단계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사 시대구분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6(4): 81-105.

11.

육근해. 2008. 『한국의 점자도서관 발전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2.

윤금선. 2009. 민족적 관점에서 본 경성도서관의 사회교육과 독서운동 실태 및 의의.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1-33.

13.

이명옥. 2007. 어린이사서의 전문성강화를 위한 방법모색: 어린이전용도서관을 중심으로. 『국립어린청소년도서관 1주년기념 국제심포지엄발표집』.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14.

이연옥. 2005. 현 단계 어린이도서관운동의 내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309-327.

15.

이연옥. 2001.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6.

이춘희. 1989. 근대 한국 도서관사 연구: 개화기에 있어서 근대 도서관 사상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도서관학』, 16: 71-110.

17.

전영순. 2003. 민간어린이도서관 현황. 『도서관문화』, 44(2): 35-38.

18.

정동열, 조찬식. 2007. 『문헌정보학 조사연구법』.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9.

한국도서관협회. 1979. 『한국도서관통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

한국도서관협회. 1963. 도서관법 전문. 『도협월보』, 4(7): 2-5.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1.

한국도서관협회. 1965. 도서관법 시행령 전문. 『도협월보』, 6(2): 2-3.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2.

한국도서관협회 기준분과위원회(편). 1981.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3.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편). 2003. 『한국도서관기준(2003년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4.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편람 편찬위원회(편). 2009. 『도서관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5.

한국도서관협회 편. 2010. 『문헌정보학 용어사전(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6.

한국출판연구소. 2002.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27.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2. 『BOOKPEDeM 01』. 서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8.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3. The ALA Giossary of Library Information Science.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9.

Kevane, M. and Sundstrom, W. A. 2014.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1870-1930: A Quantitative Assessment. Information & Culture, 49(2): 117-144.

30.

Koontz, C. and Gubbin, B. (편). 2013. 장혜란 역. 『IFLA 공공도서관 서비스 가이드라인』.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1.

Jagusch, S. A. 1990. First am ong equals: Caroline M. Hewins and Anne C. Moore. Foundations o f library work with children. Ph.D.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32.

Lopez, Manuel D. 1976. Children's Libraries: Nineteenth Century American Origins. Journal of Library History, 11(4): 316-342.

33.

Powell, R. R. 1996. 홍현진 역. 『문헌정보학의 연구방법론』. 서울: 구미무역출판부.

34.

Thomas, F. H. 1982. The genesis of children's services in the american public library: 1875-1906. Ph.D.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U.S.

35.

前田博子, 吉川祐加. 2011. 子ども図書館の設置現況と複合化に関する実態調査. 『豊田工業高等專門學校硏究紀要』, 44: 95-100.

36.

赤星隆子. 2007. 『兒童圖書館の誕生』. 東京: 理想社.

37.

坂內夏子. 2011. 兒童圖書館 設立の 背景. 『早稲田大學敎育學部學術硏究』, 50: 15-33.

38.

IFLA. 2001. The public library service: IFLA/UNESCO guideline for development. IFLA, Section of Public Libraries. [online] [cited 2019. 6. 18.] <http://www.ifla.org/>

39.

IFLA. 2003. Guidelines for children's libraries services. IFLA, Librari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Section. [online] [cited 2019. 6. 18.] <http://www.ifla.org/>

40.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online] [cited 2019. 8. 10.] <https://newslibrary.naver.com/>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