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학자에 의해 편성된 『朱子大全』 선집서를 대상으로 간행과 구성, 편성 방식, 수용 양상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16세기에 거질의 『朱子大全』이 간행되자 이를 수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선집서의 편성과 간행, 학습이 이어졌다. 『朱子大全』 선집서는 조선 전기에 6종, 조선 후기에 7종 등 모두 13종이 간행되었다. 선집서의 편성은 이황의 『주자서절요』를 기점으로 정경세의 『주문작해』로 보완되고, 송시열의 『절작통편(보유)』로 종합되는 흐름을 보였다. 『朱子大全』에는 詩를 제외하면, 3,645편의 작품이 있으며, 그 가운데 13종의 선집서에서 모두 1,734편이 선정되었다. 누적 선정 횟수가 높은 작품의 주제는 국왕의 덕목과 자세, 정책 제안, 인재 등용, 신하의 의무, 역사 인물 평가 기준, 금과의 화친 반대와 영토 회복, 학문 토론 등이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외국 서적의 수용과 주자 문집의 작품 수용 연구 분야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ation, composition, method of composition, and acceptance patterns of JujaDaejeon anthologies edited by Joseo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When a large amount of JujaDaejeon wa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anthologies of JujajaDaejeon was compiled, published and learned as a way to understand it. A total of 13 kinds of JujajaDaejeon anthologies were published, including six kind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seven kinds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composition of main anthologies showed a trend that was supplemented by Jeong Gyeong-se's Jumunjakhae from Lee Hwang's Jujaseojeolyo, and aggregated into Song Si-yeol's Jeoljaktongpyeon(boyu). JujaDaejeon consists of total 3,645 works except for poems. Among them, 1,734 works were selected by 13 anthologies. The theme of a work with a high cumulative number of selections is the virtue and attitude of the king, policy proposals, the appointment of talent, the duty of subjects, criteria for evaluating historical figures, opposition to harmony with Jin and territorial restoration, and academic discus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e field of the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the foreign books and acceptance of the Zhu Xi's works in th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