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공공도서관 건립의 타당성을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부산시 사상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ser’s Perception Survey for the Validity of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ies: Focused on Sasanggu in Busa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0, v.54 no.2, pp.79-104
https://doi.org/10.4275/KSLIS.2020.54.2.079
강은영 (신라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부산시 사상구 주례동에 건립될 예정인 J도서관의 이용적 측면에서의 타당성 확립을 위한 연구로, 지역사회분석과 이용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도서관 건립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향후 도서관이 제공해야 할 서비스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사상구를 대상으로 인구분포현황, 문화기관현황, 사상구의 비전 등 지역사회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사상도서관과 작은도서관, 주민자치센터 방문자를 대상으로 기존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현황과 향후 건립될 도서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공공도서관 건립의 필요성과 이용의향 정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도서나 잡지 등 충분한 인쇄자료의 신속한 제공에 대한 기대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공간의 경우 대체로 ‘열린 공간’과 ‘소규모 모임 공간(가족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화서비스의 경우 인문학, 예술(음악/미술), 영화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나 대체로 다양한 분야에 고른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이용자 인식조사, 지역사회분석, 이용적 타당성, 공공도서관, 도서관 기본 건립 계획, User’s Perception Survey, Community Analysis, Utility Validity, Public Library, Library Basic Construction Plan

Abstract

This is a study to establish the feasibility in terms of the use of the J library, which will be built in Jurye-dong, Sasang-gu, Busan.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community analysis and user survey to confirm the necessity of building a librar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services that the library should provide in the future. To this end, a community analysis was conducted primarily on Sasang-gu, such as population distribution status, cultural institution status, and Sasang-gu vision. Afterwards, visitors to Sasang Library, Small Library, and Community Center were surveyed on the status of use of existing public libraries and the awareness of J Library to be built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necessity and intention to use J Library were found to be high, and the expectation for prompt provision of sufficient printed materials such as books and magazines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the desired space, the demand for ‘open space’ and ‘small meeting space(family room)’ was high, In the case of specialized service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humanities, arts & music, movies, etc., but it was shown that they showed a general interest in various fields.

keywords
이용자 인식조사, 지역사회분석, 이용적 타당성, 공공도서관, 도서관 기본 건립 계획, User’s Perception Survey, Community Analysis, Utility Validity, Public Library, Library Basic Construction Pla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