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디지털 인문학 연구 동향 분석 - Digital Humanities 학술대회 논문을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n Digital Humanities Research Trend by Analyzing the Papers of Digital Humanities Conferenc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1, v.55 no.1, pp.393-413
https://doi.org/10.4275/KSLIS.2021.55.1.393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디지털 정보기술과 인문학적 연구 문제의 결합을 통해 새롭고 혁신적인 지식을 창출하는 디지털인문학은 대표적인 다학제적 융합 학문 분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인문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기 Digital Humanities 학술대회 최근 2년간(2019, 2020)의 논문 441건을 대상으로 저자사항과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자와 키워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유럽, 북미 지역, 동아시권의 일본 중국의 저자의 활발한 활동을 찾아볼 수 있다. 공저자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11개의 분절된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폐쇄적인 공저활동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키워드 분석을 통해서는 16개의 세부 주제 영역을 규명할 수 있으며, 이는 기계학습, 교육학, 메타데이터, 토픽모델링, 문체, 문화유산, 네트워크, 디지털아카이브, 자연언어처리, 디지털도서관, 트위터, 드라마, 빅데이터, 신경망 네트워크, 가상현실, 윤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군집 구성은 디지털 정보기술이 주된 세부 주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출현빈도가 높은 키워드들은 인문학 기반 키워드, 디지털 정보기술 기반 키워드, 융합 키워드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디지털인문학의 성장과 발전 과정의 역동성을 찾아볼 수 있다.

keywords
Digital Humanities, Intellectual Structure, Keywords, Network Analysis, Co-author Analysis, Co-word Analysis, 디지털인문학, 지적구조, 키워드, 공저자분석, 동시출현단어분석, 네트워크분석

Abstract

Digital humanities, which creates new and innovative knowledge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humanities research problems,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multidisciplinary field of study. To investigat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gital humanities field, a network analysis of authors and keywords co-word was performed on a total of 441 papers in the last two years (2019, 2020) at the Digital Humanities Conference. As the results of the author and keyword analysis show, we can find out the active activities of Europe, North America, and Japanese and Chinese authors in East Asia. Through the co-author network, 11 dis-connected sub-networks are identified, which can be seen as a result of closed co-authoring activities. Through keyword analysis, 16 sub-subject areas are identified, which are machine learning, pedagogy, metadata, topic modeling, stylometry, cultural heritage, network, digital archiv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digital library, twitter, drama, big data, neural network, virtual reality, and ethics. This results imply that a diver variety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playing a major role in the digital humanities. In addition,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can be classified into humanities-based keywords,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based keywords, and convergence keywords. The dynamic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digital humanities can represented in these combinations of keywords.

keywords
Digital Humanities, Intellectual Structure, Keywords, Network Analysis, Co-author Analysis, Co-word Analysis, 디지털인문학, 지적구조, 키워드, 공저자분석, 동시출현단어분석, 네트워크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