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598X
본 연구는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의 23개 기록관리학 대학원과 국내 25개 기록관리학 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과목을 조사하고 기록관리 지식범주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평균 과목수는 비슷하나 국외는 대학마다 필수과목을 설정하였고 국내는 필수과목을 거의 설정하지 않았다. 북미는 모든 지식범주가 개별 교과목으로 개설되었지만, 영국과 호주는 아웃리치, 지도, 옹호와 전문직 지식범주에서 개별 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았다. 한국은 아웃리치, 지도, 옹호와 전문직 지식, 정보기술 지식범주에서 개별 교과목이 별도로 개설되지 않은 반면, 역사학과 행정학 관련 과목이 세분화되어 있었다. 우리나라는 기록관리 교과목 개편을 위해 가이드라인과 인증기준을 제정하여 기록전문가가 배워야 할 지식범주를 설정하는 것이 시급하며, 디지털 기록을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기술 지식범주의 확충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of 23 graduate schools of archival science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and 25 graduate schools of archival sciences in Korea, and compared core knowledge categories. The average number of cours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as similar, but each university in other countries set required courses, and few in Korea. As a result of comparison by knowledge category, all knowledge categories in North America were opened as individual courses, while the UK and Australia did not open knowledge categories of outreach, instruction, advocacy, and knowledge 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separately. In Korea, the category of outreach, instruction, advocacy, the knowledge category of professionalism, and the knowledge category of information technology have not been established separately, while courses related to history and administration are subdivided. In order to reform the archival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knowledge categories for archival professionals should be prepared and the guideline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