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가짜뉴스의 시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보편적 리터러시의 구축 및 제공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Provision of Universal Litera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ra of Fake New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1, v.55 no.1, pp.85-106
https://doi.org/10.4275/KSLIS.2021.55.1.085
이정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짜뉴스의 개념과 정의를 오정보/허위정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현대사회가 가짜뉴스와 같은 정보왜곡으로 인한 사회 현실 왜곡, 민주주의 훼손에 대해 대응할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짜뉴스의 개념을 사실성과 속이고자 하는 의도성에 바탕해 살펴보고, 가짜뉴스의 생성과 파급이 이루어지는 우리의 사회 환경을 데이터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인류의 정보접근과 활용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도서관계는 UN 2030 의제인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의 실현을 위해 보편적 리터러시 교육의 구축과 제공을 위해 힘써야 할 것이라 주장하였다. 데이터화 정도와 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조사 분석하여 해당 사회를 이해하는 것이 보편적 리터러시 교육항목 구성에 핵심이며 이런 이유로 보편적 리터러시는 각각의 사회가 가지는 데이터화 정도와 이용자에 따라 유연성있게 구현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keywords
지속가능한 도서관, 가짜뉴스, 보편적 리터러시, 데이터리터러시, 디지털리터러시, Sustainable Libraries, Fake News, Universal Literacy, Data Literacy, Digital Literac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fake news focusing on misinformation/false information and i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our society can respond to the distortion of social reality and damage to democracy caused by information distortion such as fake news. To do this, the concept of fake news was examined based on the level of facticity and intention to device, and our social environment in which fake news was created and spread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datafication. In this environment, the library community,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human access to and use of information, argued that it should strive to establish and provide universal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the UN 2030 agenda. The core of universal literacy education is to understand the societ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data communication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tafication and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ociety. For this reason, it was concluded that universal literacy should be implemented flexib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tafiation and users of each society.

keywords
지속가능한 도서관, 가짜뉴스, 보편적 리터러시, 데이터리터러시, 디지털리터러시, Sustainable Libraries, Fake News, Universal Literacy, Data Literacy, Digital Literac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