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디지털 협력수업이 독서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Co-Teaching on Reading Literac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23, v.57 no.3, pp.211-230
https://doi.org/10.4275/KSLIS.2023.57.3.211
박주현(JuHyeon Park) (전남대학교)
강봉숙(Bong-Suk Kang)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으로 진행된 교사 간 디지털 협력수업이 학생들의 독서 리터러시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하였고, 2차시에 걸쳐 교사 간 디지털 협력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전과 사후 검사에서 결측값이 없는 10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OECD의 PISA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과 요인분석을 통해 표현능력과 이해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으로 구성된 독서 리터러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자기보고 식으로 독서 리터러시 역량의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협력수업은 고등학생의 표현능력과 이해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OECD가 주관하는 PISA의 독서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디지털 협력수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디지털 협력수업 독서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국제학업성취도평가 사서교사 Digital Co-Teaching Reading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Literacy PISA Teacher Librari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digital co-teaching between teachers online on improving students’ reading litera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pre-test was conducted on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conducting the co-teaching over two sess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of 101 students with no missing values in pre- and post-tests were used. Through the OECD’s PISA reading literacy evaluation framework and factor analysis, a reading literacy test tool consisting of expression, comprehension, and information literacy was developed and the degree of change in reading literacy was measured through a self-report with the t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gital co-teach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xpression, comprehension and information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digital co-teaching can be applied as a way to improve reading literacy in PISA organized by the OECD.

keywords
디지털 협력수업 독서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국제학업성취도평가 사서교사 Digital Co-Teaching Reading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Literacy PISA Teacher Libraria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