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598X
고대 이집트에서 신전은 종교적 성지인 동시에 공동체 중심이었다. 신전에 조성된 핵심공간 중의 하나는 신관과 서기관이 파피루스 등에 필사․보존한 시설이다. 그것의 보편적인 명칭은 ‘책의 집’과 ‘스크롤의 집’이었다. 당시 통칭은 페르 앙크였고, 현대적 용어로는 신전도서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전에 부설된 페르 앙크의 성격 및 정체성을 규명한 후 신왕국 람세스 2세가 건립한 라메세움(장제전)의 다주실(페르 앙크) 문패에 걸려 있던 ‘영혼의 치유소’를 도서관으로 지목한 것이 타당한지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페르(집)와 앙크(생명)를 조합한 상형기호인 페르 앙크는 학습․연구센터, 의료시설과 요양원을 갖춘 치료․치유센터, 종교의식 및 영생축제의 거점, 필사실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다목적 복합시설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페르 앙크가 도서관을 지칭한다는 종래의 논리는 정당화될 수 없다. 동일한 맥락에서 BC 4세기 그리스 역사가 헤카타이우스가 처음 소개한 라메세움 다주실 문패의 ‘Ψυχῆς ἰατρεῖον’는 BC 1세기 디오도로스가 라틴어 ‘Psychēs Iatreion’로 의역하면서 신성한 도서관의 모토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프시케(Psychēs)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여신, 이아트레이온(Iatreion)은 병원(진료소, 치유소)․약국을 의미하므로 라메세움의 페르 앙크는 파라오 영혼(Ka)을 치유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Psychēs Iatreion = Library’는 왜곡이자 와전된 것이다. 그것은 도서관의 모토가 아니라 페르 앙크의 메타포다.
In ancient Egypt, temples were not only religious sanctuaries but also community centers. One of the core spaces created in the temple is the facility where priests and scribes copied and preserved texts on papyrus and other media. Its common designation was ‘pr-mḏ’(House of Books) and the ‘per-(nw)-seshw’(House of Scrolls). The general term used during that time was ‘Per Ankh’, and the modern term for it is ‘temple library’. Therefore,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character and identity of the Per Ankh attached to the temple, and then trac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designate ‘healing place of the souls’ depicted on the hypostyle hall(Per Ankh) in the Ramesseum(mortuary temple) built by Ramses II of the New Kingdom as a library. As a result, Per Ankh, a hieroglyph combining the Per(house) and Ankh(life), was revealed to be a multi-purpose complex facility consisting of a learning and research center, a treatment and healing center with medical facilities and sanatoriums, a religious ceremony and a center for the celebration of eternal life, a scriptorium and a library. Therefore, the traditional argument that Per Ankh refers to a library cannot be justified. In the same context, the inscription ‘Ψυχῆς ἰατρεῖον’ on the doorplate of the hypostyle hall of the Ramesseum,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Greek historian Hecataeus of Miletus in the 4th century BC, was translated into Latin as ‘Psychēs Iatreion’ by Diodorus Siculus in the 1st century BC and described as the motto of the sacred library. However, Psyche is the goddess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and Iatreion means hospital(clinic, healing center) and pharmacy, so Per Ankh in the Ramesseum is a space to heal the soul of the pharaoh (Ka). Therefore, ‘Psychēs Iatreion = library’ is a distortion and a mistranslation. It is not the motto of the library, but a metaphor for the Per An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