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예비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 - 심층 면담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n the Education Practicum of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3, v.57 no.4, pp.75-95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075
임정훈(Jeonghoon Lim) (계명대학교)
강봉숙(Bong-Suk Kang) (전북대학교)
박주현(Juhyeon Park) (전남대학교)
한상우(Sang Woo Han) (광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현행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실습 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사서교사 33명(사범대학 6명, 교직이수 16명, 교육대학원 11명)을 대상으로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 기법과 함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혼합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사서교사는 교육실습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경험을 예비할 수 있고, 향후 학교 현장에서 마주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질적 탐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 전반에 대한 인식과 학교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인식,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실습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현장실습 기간의 확대, 시기의 분산, 상시실습 체계의 구축, 현장교사와 지속적인 논의, 체계적인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교육실습, 학교현장실습, 교육봉사활동, 예비 사서교사, 학교도서관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perceptions of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 on the current education practicum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suggested improvements to the educational practicum system. For this purpos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28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 (6 teachers’ colleges, 14 taking teaching qualification courses, and 8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practicum in school libraries, and a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litative analysis techniques with text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 believe that educational practicum can prepare them for various field experiences and cultivate their ability to cope with situations they will encounter in the future. Through qualitative inquir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ir perceptions of school field practicum as a whole,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field practicum, and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Based on this, to improve the current problems of educational practice, we suggested expanding the period of school internship program, distributing the time, establishing a full-time practice system, having continuous discussions with field teachers, and developing a systematic school field practicum.

keywords
Education Practicum. School Field Practicum,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 School Librar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