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사서학습공동체에 관한 사서의 인식 및 수요조사

A Survey of Librarians’ Awareness and Demand for Librarian Learning Communit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4, v.58 no.1, pp.99-122
https://doi.org/10.4275/KSLIS.2024.58.1.099
정영미(Youngmi Jung) (동의대학교)
노영희(Younghee Noh) (건국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가능성과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사서학습공동체에 대한 사서의 인식 및 수요를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 현직 사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74건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학습공동체에 대해 사서는 매우 낮은 인식을 지니고 있었지만 사서학습공동체 운영의 취지와 의미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였다. 둘째, 사서학습공동체의 참여동기는 전문성 신장, 동료들과의 연대, 지적 호기심 충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는 사서학습공동체의 궁극적 가치로 도서관 서비스 개선, 전문성 함양, 협력적 집단 탐구, 가치와 비전 공유의 순으로 응답했다. 넷째, 사서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은 구성원의 자발성, 구성원 간의 협력 문화, 일과시간 확보(주 1회), 지원 환경(예산, 공간 등) 등 순으로 나타났고, 실패 요인은 사서 업무 과중으로 인한 시간 부족, 구성원의 자발성 부족, 기관장의 무관심, 지원 환경(예산, 공간 등)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서의 사서학습공동체 참여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있는 주제 또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시, 실질적인 운영 방식의 결정이나 주제 선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사서학습공동체, 사서교육, 전문가학습공동체, 일터학습, 학습공동체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librarians’ awareness of and demand for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and operate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urrent librarians and a total of 474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librarians showed a very low awareness of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while they highly evaluate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such a community. Secondly, the motivations for librarians to participate in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were primarily focused on professional growth, solidarity with colleagues, and satisfaction of intellectual curiosity, in that order. Thirdly, the ultimate values of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were identified as improving library services, enhancing professionalism, fostering collaborative group exploration, sharing values and visions. Fourthly, the success factors of the librarian-learning community were ranked as follows: member voluntarism, a culture of collaboration among members, dedicated time (once a week), and a supportive environment (budget, space, etc.). On the other hand, the failure factors were identified as a lack of time due to heavy workloads, lack of member voluntarism, indifference from superiors, and insufficient support environment (budget, space, etc.). Finally,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s also very high.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there is a wide range of interests in various topics among librar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determining practical operation methods or selecting topics when operating a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in the future.

keywords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Librarian Train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orkplace Learning, Learning Commun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