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LA의 FRBR 모형이 발표된 후 개체관계 중심의 데이터 구조로의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국제적인 동향을 반영하여 2024년 5월에 한국목록규칙(KCR) 제5판 초안을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관련 있는 개체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용자들이 개체 간 관계를 이해하고 탐색을 확장해 나가는데 사용되는 ‘관계’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1) 개념모형과 RDA 목록규칙에 정의된 개체 간 관계의 유형을 살펴보고, (2) RDA에 근거하여 MARC21에 관계를 표현한 실제 사례를 LC와 PCC를 중심으로 분석한 후 (3) 이에 근거하여 KORMARC에 적용하기 위한 실무적 방안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RDA 교육자료와 LC와 PCC의 입력지침 등을 활용하되, LC와 PCC 참여도서관의 서지레코드와 전거레코드를 사례로 참고하였다. 이 연구는 새로운 서지구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특히 국내에서는 거의 논의되어 있지 않았던 개체 간 관계를 KORMARC에 수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BIBFRAME과 같은 차세대 서지구조로의 전환에 대비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ince the IFLA FRBR conceptual model, the transition to a data structure centered on entity-relationships has been underway. Reflecting this international trend, the draft of the 5th edition of the Korean Cataloging Rules (KCR5) were presented in May 2024.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hich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to users by connecting one entity with other entities. To this end, (1) the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entities defined in the conceptual model and RDA cataloging rule were examined, (2) the actual cases of LC and PCC to record relationships in MARC21 based on RDA were analyzed, and finally (3) practical methods and challenges to be solved for applying them to KORMARC format were suggested. This study mainly utilized RDA training materials and data input guidelines of LC/PCC, and referred to full-MARC bibliographic records and authority records of LC and PCC participating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bibliographic structure and to prepare for the transition to the next-generation bibliographic structure such as BIBFRAME in the future.
현재 한국십진분류법(KDC) 6판은 주기와 보조표를 통한 분류번호 합성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주기 유형의 편중, 분석합성 주기의 미흡, 보조표와의 연계 부족 등 단면적인 주기 구조로 인해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는데 있어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KDC 6판 주기의 구조적 한계를 실제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면적 구조를 제안하였다. 본표의 주요 주류를 대상으로 주기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단면적인 분류에 집중된 현행 주기 구조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KDC의 주기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다면적이고 계층적인 주기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KDC의 분류체계가 변화하는 지식 체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6th edition currently adopts a synthetic number-built methods by using schedule and tables. But this methods faces with limitations in building various subjects because of due to the mono-dimensional structure with the bias of note types, insufficient analytical-synthetic notes, and lack of notes that using tables. This research practically analyzed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notes in KDC 6th edition and proposed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to improve the number-building methods. The note types were analyzed using 4 main classes in schedule, an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mono-dimensional note structur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omponents of notes of the KDC were identified, and a multi-dimensional and hierarchical note structure was proposed. Through this structure, it is expected that KDC can establish a foundation for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evolving knowledge system.
본 연구는 OAK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8개 기관을 대상으로 IR 운영과 관련된 규정과 실제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IR 운영 정책 수립의 필요성과 운영 정책의 구성 요소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IR 운영 정책에는 연구성과물의 수집 및 공개, 저작권 관리, APC 지원 여부 및 연구 성과물 유형별 관리 방안이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성과물의 수집 및 공개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IR 운영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수 기관들의 논문 게재료 지원 정책을 OA 출판을 위한 지원 정책으로 전환함으로써 연구자들이 OA 출판을 통해 연구 성과물을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IR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어, 기관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IR 운영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OAK 사업단은 각 기관이 IR 운영 정책을 수월하게 수립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지침과 기술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기관의 IR 운영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ulations and actual operation status related to IR operations for eight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OAK project to examine the need to establish an IR operation policy and the components of an operation policy. The results showed that IR management policies need to include collection and disclosure of research results, copyright management, whether to support APC, and management plans for each type of research result. In particular, clear regulations on the collection and isclosure of research outputs are essential to ensure consistency and efficiency in IR opera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researchers to share research outputs through OA publication by converting the publication fee support policy of many institutions to a support policy for OA publication.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IR management methods 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ustomized IR management polici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In this regard, OAK should provide standardized guidelines and technical support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R management policies for each institu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IR management policies for domestic organizations.
본 연구는 부여 공공도서관 건립 기본계획을 위한 사전 연구로 부여군민을 대상으로 부여 공공도서관 시설 및 공간조성, 장서, 서비스 및 프로그램, 도서관 특성 등 운영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문 대상자들은 부여 공공도서관 시설 및 공간이 전체적으로 내츄럴한 분위기로, 여유있고 쾌적한 자료 열람 공간과 자료활용의 편의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서 운영 방향으로 선호하는 정보원 유형은 인쇄자료이며, 주제 측면은 문학 분야를 가장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분야의 도서와 지식정보 제공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basic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yeo Public Librar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Buyeo-gun residents’ perception of the operation of Buyeo Public Library facilities and spaces, books, services and programs, and librar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urvey subjects recognized the overall natural atmosphere of Buyeo Public Library facilities and spaces,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comfortable and pleasant data reading spaces and dat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ferred type of information source as the direction of book operation was print data, and the subject aspect was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literary field, and it was found that they wished to provide book and knowledge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이 논문은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년 도서관활성화계획에 의해 특성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27개 공공도서관 중임시 휴관중인 1개관을 포함한 2개 도서관을 제외한 25개 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특성화 서비스 현황, 특성화 서비스에 대한 인식, 특성화 서비스의 발전방안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결과, 16개관이 특성화 장서의 비중이 전체 장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 미만이었고, 20개관은 전담 직원이 없었으며, 15개관은 특성화 자료 예산이 전체 자료구입비에서 5%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담당자들은 특성화 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인력과 예산 부족이라는 어려움이 있지만 지속해야 할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화 서비스의 발전을 위해 관련 교육, 전담직원 배치 등과 더불어 광역대표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ized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identify associated issues, and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staff of 25 public libraries, excluding two libraries (one of which was temporarily closed) out of the 27 libraries operating under the 2022 Library Development Plan. The survey covered topics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ized services, perceptions of specialization,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service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in 16 libraries, specialized collections accounted for less than 5% of the total collections; 20 libraries had no dedicated librarian, and in 15 libraries, the budget for specialized materials was less than 5% of the total materials acquisition budget.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librarians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legitimacy of specialized services and believed that these services should continue, even in the face of insufficient personnel and budget. Additionally,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along with related training and the assignment of dedicated librari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services.
본 연구는 의왕시의 지역 현황과 특성 분석, 도서관 현황 분석 등을 진행하고 다른 도서관 비전 분석과 주요 전략 SWOT 분석, 시민토론회, 도서관 전문가 및 직원간담회 내용 분석 등을 기반으로 의왕시 도서관 발전을 위한 경영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책과 삶을 잇는 의왕, 도서관 속에서 행복해지는 시민”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성장, 함께, 일상, 동행, 포용, 소통이라는 핵심가치와 함께 시민에게 충분한 도서관 인프라 제공, 시민에게 맞춤형 지식정보 활동 제공, 명품도시 의왕시 구현 지원이라는 정책목표를 설정하였다. 도서관 인프라 확충, 미래를 여는 혁신, 도서관 서비스 수준 향상, 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 독서문화 진흥과 ‘책읽는의왕’ 추진, 한글의 맥을 잇는 의왕 5가지 추진전략과 도서관 관련 조례 개정, 도서관 경영 체계 개선, 정보소외계층 독서 서비스 확대 등 29가지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의 효용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발전계획 공개와 인구 50만 이상의 시지역과 교육청의 도서관 발전종합계획 수립 의무화를 제안했다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region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Uiwang City, library status, and other library vision analysis, major strategy SWOT analysis, civic discussions, library experts, and staff meetings to explore and present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ies in Uiwang City. The analysis result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vision “Uiwang, which connects books and life, citizens who become happy in the library,” and provided sufficient library infrastructure to citizens along with the core values of growth, togetherness, daily life, companionship, inclusiveness, and communication. The policy goals were set to provide customized knowledge information activities and support the realization of Uiwang City as a prestigious city. Expansion of library infrastructure, innovation to open the future, improvement of library service level,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promotion of reading culture and promotion of ‘Book Reading Uiwang’, five Uiwang promotion strategies that continue the tradition of Hangeul, revision of library-related ordinances, library management Twenty-nine detailed tasks were presented, including system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reading services for the information-underprivileged. In order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and ensure the effectiveness of its implementation, it was proposed that local governments disclose their library development plans and that city areas with a population of 500,000 or more and offices of education be required to establish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s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 사례를 조사하고, 향후 지역정보서비스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정보서비스를 17개 범주로 나누고, 60개의 세부 유형을 도출하였다. 충청지역 공공도서관 116개관을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36%의 도서관이 지역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64%는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된 서비스는 주로 역사/문화, 취업, 여가, 행정정보, 교육, 마을공동체 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었다. 특히, 인구가 감소한 8개 지역에서는 지역정보서비스 제공이 미비하여, 지역사회의 지속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서비스 마련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정보서비스 제공 시 역사/문화 분야에 편중되지 않도록 지역성 개념과 서비스 범주를 확대하고, 주민의 관심사를 반영한 이용자 요구 분석, 인적 협조 강화, 지역자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to explore strategies for their future development and enhance these services for the sustainability of local communities. The study categorized local information services into 17 categories and identified 60 detailed types. An analysis of 116 public libraries in the Chungcheong region revealed that 36% of the libraries offered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while 64% did not. Among the 17 categories, the services provided were primarily concentrated on history/culture, employment, leisure, administrative information, education, and village communities. In eight areas experiencing population decline, the provision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was notably lacking, highlighting the need to actively develop these services to support community sustainability. The study proposes expanding the concept of locality and diversifying service categories, conducting user needs assessments to reflect local residents’ interests, strengthening human resource cooperation, and establishing digital archives of local materials in collabo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게이미피케이션은 학습자의 몰입과 참여를 촉진하여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게이미피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설계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 국내외 사례 조사, 대학도서관 사서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정보 리터러시 모형을 기반으로 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정보활동 단계에 해당하는 과제 정의, 정보 탐색, 수집, 활용, 통합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설계 요소와 게임 메커니즘을 제시하였으며,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 지표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을 체계적으로 도입하고 성과를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와 학습 동기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Gamification is an effective strategy to enhance the quality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by encouraging student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This study developed a design framework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gamif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To this end, a frame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literacy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ntent analysi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librarians of academic libraries. The framework outlines the design elements and game mechanisms to be considered at each stage of the process, including task definition, information search, collection, utilization, and integration. Additionally, performance indicators were established to measure the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impacts of gamifi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gamif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increased user participation and enhanced learning motivation.
본 연구는 독서 소비자의 도서 대출과 구매에 관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소비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독서 소비자의 도서 대출과 구매에 관한 의사결정 요인으로는 도서관 경험, 독서 목적, 도서 장르, 도서 가격, 신간 도서이다. 이 요인들을 중심으로 독서 소비자들의 실태 조사결과, 독서 소비자들은 도서관 이용 경험이 많을수록 도서 구매 소비도 많았다. 도서 장르는 대출 소비가 높은 장르일수록 구매 소비도 높게 나타났다. 교양, 취미, 여가활동을 위한 독서 목적의 소비자들이 정보획득, 학습, 연구를 위한 독서 목적의 소비자들보다 대출과 구매 소비에서 높게 나타났다. 도서 가격(비용) 측면에서는 대출 소비가 구매 소비보다 많았으며 신간 도서의 경우 대출과 구매 소비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도서관에 미소장 도서일수록 도서 구매 소비 비율이 높았다. 대체로 독서 소비자들은 도서관 소장 도서일 경우 도서 대출 소비를 우선 고려하였으며 대출한 도서로 인해 도서시장에서 도서 구매 소비로 연결되는 사례들이 확인되었다. 이를 기초로 도서관과 도서 산업계 간 상생 협력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ption status, focusing on the factors related to book loans and purchases of reading consumers. Library experience, reading purpose, book genre, book price, and new books are the decision-making factors regarding consumers’ book loans and purchases. As a result of a survey of reading consumers focusing on these factors, the more experience they have in using the library, the more they consume books. As for the book genre, the higher the loan consumption, the higher the purchase consumption. Consumers for reading purposes for liberal arts,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showed higher loan and purchase consumption than consumers for reading purposes for information acquisition, learning, and research. In terms of book price (cost), loan consumption was higher than purchase consumption. In the case of new books, both loan and purchase consumption were high. In general, reading consumers considered book loan consumption first when it was a library-owned book, and cases that led to book purchase consumption in the book market were confirmed.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hat win-win cooperation between the library and the book industry could be achieved.
본 연구는 43년간 대학도서관 사서로 헌신한 백린(白麟, 1923-2015)의 생애를 종합적으로 재구하고, 그가 도서관학 발전에 미친 영향과 학문적 성과를 개관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48년 서울대 도서관 사서 채용 시험 합격 후 한․중․일 문헌자료와 서양서를 두루 다루는 사서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한국전쟁 당시 규장각 소장 국보급 고서의 부산 소개(疏開) 및 보관의 실무 책임을 맡았고, 전후에 서울대 규장각 도서 정리 및 목록 작성, 분류를 책임졌다. 도서 분류, 도서기호 초안을 마련했고, 한국도서관협회 등 여러 기관의 임원으로 활동했다. 연세대 도서관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도서관학 관련 50여 편의 소논문(학술기사)과 7편의 편․저서를 출간했다. 1960년대에 규장각 장서의 역사뿐 아니라 국내 도서관의 역사를 학계 최초로 통시적으로 집필한 성과는 높게 평가되어 마땅하다. 1973년 하버드대 옌칭 도서관 한국학 목록 사서로 이직 후, 1991년 퇴임 때까지 하버드대 옌칭 도서관 내 한국관 소장 동아시아 한적과 한국 서적을 목록화하고 그곳 교수들의 연구에 조력했다. 백린은 불모지 같던 한국 도서관학계에 초석을 마련한 1세대 연구 사서이자 스승이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constructs the life of Baek Rin (1923–2015), who dedicated 43 years of his life as a university librarian, and provides an overview of hi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science and his academic achievements. After passing the librarian recruitment ex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48, he excelled as a librarian, handling various Korean, Chinese, Japanese, and Western literary materials. During the Korean War, he was in charge of the practical tasks of transporting and storing the National Treasures from Gyujanggak to Busan. After the war, he was responsible for organizing, cataloging, and classifying the books of Gyujanggak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prepared the initial drafts of book classification and served as an executive in sever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While teaching at universities after obtaining a master’s degree in library science from Yonsei University, he published 49 academic articles and 7 edited and authored books. It is highly regarded that he was the first scholar to chronologically write the history of libraries in Korea. In 1973, he transferred to Harvard University’s Yenching Library as a Korean studies cataloging librarian, and until his retirement in 1991, he cataloged East Asian classical texts and Korean books at Harvard’s Yenching Library and supported the research of professors there. Baek Rin is a first-generation research librarian and teacher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barren Korean library science worl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객관적 지표로 측정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및 개인 인식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진단 도구로 6개 요인, 38문항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와 개인적 특성 및 개인 인식과의 영향력 분석 결과, 성별, 연령, 학력, 단과대학 등 개인적 특성 및 학점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전공만족도, 전반적 학업만족도, 학습을 포함한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학업 도움, 학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 사용량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자기조절 역량, 참여 역량, 활용 역량, 평가 역량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tool capable of objectively measuring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nd also to analyze how learn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are related to these competenc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a diagnostic tool comprising 6 major factors and 38 items was developed. The finding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ers’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reveal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college affiliation as well as grad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However, learners’perceptions towards satisfaction with major, overall academic satisfaction, ability to utilize digital devices for learning, usefulness of digital devices for learning, and frequency of digital device use for learning positively impacted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facilitate self-regulation, participation, utilization, and evaluation competencies in digital literacy.
본 연구는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협력수업에 대한 현장의 경험을 파악하고 MIL 협력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초중등학교에서 11명의 교사와 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수업은 교육현장에서 흔하게 운영되는 수업방식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수업을 경험한 교사와 학생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MIL 협력수업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협력수업의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수업 차시가 늘어나거나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IL 협력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성취도와 만족도가 높았기 때문에 MIL 협력수업 모델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MIL 협력수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ield experience of collaboration classes for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MIL)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MIL collaboration classe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11 teachers and 9 students from 5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on classes were not commonly operated in educational settings. Second, teachers and students who experienced collaboration classes were found to increase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Fourth, despite their satisfaction with collaboration classes, teachers reported that the number of class hours increased or they felt burdened by class preparation. Since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IL collaborative classes were hig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IL collaborative class model and guidelines to expand MIL collaborative classes.
본 연구는 지역의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독서실태와 기존의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개선점, 더불어 향후 희망하는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과 방향성이 무엇인지 면밀히 조사하고 분석하여 지역맞춤형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응답자는 609명이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독서 활동의 정의가 전통적인 종이책을 넘어 다양한 디지털 매체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독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시간적 여유 부족과 정보 부족이 나타난 만큼, 도서관과 관련 기관은 보다 유연한 시간대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효과적인 홍보 전략을 통해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지속성과 다양성을 강화해야 하며, 넷째, 연령별 주제, 시간, 규모, 유형 등을 차별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이용자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cur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ocally customized reading culture programs by closel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ding practices of local library users, their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xisting reading culture programs, and the types and direction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they would like to see in the futur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with 609 respon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irst, the definition of reading activities is expanding beyond traditional paper books to various digital media,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change in future program development. Second, as lack of time and lack of informa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in reasons for non-participation in reading activities, libra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offer programs at more flexible times and exp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through effective promotion strategies. Third, the continuity and diversity of library reading culture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and fourth, they should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topics, time, size, and type by age group. Finally, programs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user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library reading culture program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Big6 모형을 적용한 의사소통 중심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25일부터 2023년 12월 29일까지 도서관 협력수업을 통해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운영 결과, Big6 모형을 적용한 독서프로그램이 의사소통능력 하위영역인 해석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주관적 반응이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ommunication-centered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Big6 model to observe its effects on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positiv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reading. To achieve this, a reading progra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mal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ugust 25, 2023, to December 29, 2023, through a library cooperation cla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Big6 model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ubdomains of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interpretation, self-presentation, and goal-setting abilities. Additionally, there was an increase in interest in reading, and subjective responses were analyzed as being positive.
이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기간 내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은 어떻게 디지털 교육 도구를 교육 활동에 활용하였는가를 회고적으로 살펴보고, 뉴노멀 교육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듀테크를 유형화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팬데믹 기간 학교 현장에서 사용한 에듀테크 전반을 그 특성에 따라 범주화한 후 에듀테크 예시를 포함한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 목록을 학교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서교사가 교육적 활용 수준에 따라 유형과 에듀테크 예시의 개수를 재조정하였다. 팬데믹 기간 내 학교도서관저널기획 특집 기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에듀테크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앞선 에듀테크 목록과 통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학교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듀테크 유형은 크게 관리형, 소통형, 생산성, 소비형, 평가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유형별 에듀테크의 구체적인 예시는 기획 특집 기사 사례를 참고해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기간 내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은 어떻게 디지털 교육 도구를 교육 활동에 활용하였는가를 회고적으로 살펴보고, 뉴노멀 교육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듀테크를 유형화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팬데믹 기간 학교 현장에서 사용한 에듀테크 전반을 그 특성에 따라 범주화한 후 에듀테크 예시를 포함한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 목록을 학교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서교사가 교육적 활용 수준에 따라 유형과 에듀테크 예시의 개수를 재조정하였다. 팬데믹 기간 내 학교도서관저널기획 특집 기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에듀테크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앞선 에듀테크 목록과 통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학교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듀테크 유형은 크게 관리형, 소통형, 생산성, 소비형, 평가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유형별 에듀테크의 구체적인 예시는 기획 특집 기사 사례를 참고해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