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진로 탐색검사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A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Career Exploration Inventory

초록

본 연구는 Holland의 직업적 성격유형론에 바탕을 두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진로탐색검사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Holland 의 직업적 성격유형론은 사람과 직업적 환경을 RIASEC (실제적, 탐구적, 예술적, 사회적, 기업적 및 관습적)유형의 6개 범주로 나누고, 한 개인의 성격유형과 직업적 환경유형간의 일치하는 정도는 그사람의 생애발달과정에 있어서 만족스럽고 성공적인 역활들을 잘 수행해 갈수 있게 된다고 본다. 진로탐색검사는 사람들의 흥미, 성격, 가치, 및 유능감의 영역에서 RIASEC의 각 척도를 변별적으로 잘 측정해 내고 또 두자리로 구성하는 진로코드인 직업적 성격유형을 찾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각종 진로자료를 바탕으로 성격, 흥미, 가치 및 유능감의 영역에서 RIASEC의 각 척도를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하는 예비검사를 만들어 3차에 걸쳐 수정보완의 예비연구를 한후 최종적으로 중학교 2, 3학년 411명, 고등학생 1, 2학년 557명, 대학생 2, 3학년 1161명을 대상으로 표준화 작업을 했다. 그 결과 본 진로탐색검사는 RIASEC 각 척도별로 남녀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중고등학생들에게는 가치 영역의 통계치가 불안정적이어서 검사영역에서 제외하였다. 그래서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진로탐색검사와 대학생을 위한 적성탐색검사로 분리제작했다. 대체로 신뢰도 계수 (KR20)는 요약점수의 경우 RIASEC 척도에서 .84를 제외하고는 모두 .90을 상회하였고, 한 자리 진로코드 분포, 전공학과별 진로코드 분포, 일관성 지수분포, 변별도 지수분포, 척도간 상호상관계수, 요인구조분석, NEO-PI-R, MBTI, 및 성격진단 검사등과의 준거상관계수등에 있어서 선행연구인 Holland등(1994)의 SDS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Abstract

The study was purposed to develop the Career Exploration Inventory(CEI)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the Holland's Theory of Occupational Personality Typology. The CEI was to measure differentially each scale of RIASEC in a person's interests, personality, values, and competencies, and to find two digits of his/her career code. After constructing the initial RIASEC items revealed in peoples' personality, interests, values, and competencies, the test were modified and revised through three times of the preliminary researches. The final test statistics were obtained from the samples of 441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s, 557 students in senior high schools, 1,161 sophomore and junior college students in Korea. As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s between sex. All the coefficients of KR20 in summary scores were above .90s except .84 in C scale. The validity statistics of the test were showed very similar trends to those of the SDS by Holland et al (1994), thus, in the distributions of one digit of career code between sex, of career codes among the departmental majors, of consistency and differentiation indices, in intercorrelations of RIASEC scales, in the structure of factor analysis, in correlation with the criteria of NEO-PI-R, MBTI, and Personality Diagnostic Inventory.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