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정책정보통합서비스시스템 구축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a Unified Policy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8, v.42 no.1, pp.95-125
홍현진 (전남대학교)
노영희 (건국대학교)

초록

국가 및 국민 개개인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정책정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정책정보를 총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나 시스템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중앙정부조직의 복잡성과 엄청난 양의 데이터 및 자료의 생산으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이러한 정부간행물을 수집하는 곳도 일원화 되어 있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의 정책입안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지원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지식정부 구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또한 각 부처별로 산재되어 있는 정책정보를 국가적 차원으로 통합하여 국가 정책정보 인프라를 구축하며, 정책정보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정책정보서비스 체제 구현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정책정보서비스, 정책정보통합서비스시스템 모형, National Policy Information Infrastructure

Abstract

Despite huge significance of public policy information to a country and its people, it seems that Korean government lacks a nationwide service that specializes in managing those information. Nowadays the organiz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very complicated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data they are producing is massively growing. Naturally, without any advanced knowledge, it is not easy to find the information you want from the government information service. Besides, government publications are scattered and not under control of unified collection. This study suggests an efficient policy information service model that can i) provide stepping stones for a competent knowledge-based government by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policy-making process in government ministries and public organizations, ii) build national policy information infrastructure by incorporating policy-related information dispersed over different ministries, and iii) identify new approaches to improve policy information services.

keywords
정책정보서비스, 정책정보통합서비스시스템 모형, National Policy Information Infrastructure

참고문헌

1.

강신택, (1978) 정책학개론, 법문사

2.

국립중앙도서관, (2006)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기본계획, 국립중앙도서관

3.

김명희, (2005) 국립중앙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계획과 전망. In 국립중앙도서관. 2005. 정책정보서비스 운영방안, 국립중앙도서관

4.

박재희, (2001) 정책정보종합관리시스템 구축방안, 韓國行政硏究院

5.

이대영, (1984) 정책학개론, 고시계사

6.

이재원, (2005) 교육정보디지털도서관 구축사례. In 국립중앙도서관. 2005. 정책정보서비스 운영방안, 국립중앙도서관

7.

이희선, (1996) 정책정보의 활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8.

최봉기, (1981) 政策情報의 機能과 價値評價, 한국행정학보

9.

한규인, (1989) 정책정보시스템의 개념 및 개발에 관한 연구,

10.

홍현진, (2006) 국제기구 지식정보원의 이해와 활용, 한국학술정보(주)

11.

Fletcher, P. D., (2003) Creating the Front Door to Government: A Case Study of the FirstGov Portal, Library Trends

12.

Helfer, D. S., (2003) The Government Battle over Printing: OMB versus GPO and why it matters to libraries and the public, Searcher

13.

Hernon, P., (1988) GPO Depository Programs: Building for the Future, Library Journal

14.

Notes,G.R., (2003) Government Information on the Internet, Library Trends

15.

Rappaport, Alfred, (1975)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Quantita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 Prentice-Hall

16.

Stowers, G.N.L., The state of federal Website: the pursuit of excellence. Arlington, VA: The Pricewaterhouse Coopers Endowment for The Business of Government,

17.

USA.gov,

18.

FedWorld.gov,

19.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GPO), ,

20.

UK Government's Knowledge Network Program(KN), ,

21.

Directgov, ,

22.

Australia.gov.au.?, http://www.australia.gov.au/. www.gov.au http://www.gov.au/,

23.

Service-Public.fr.?, ,

24.

www.admin.ch,

25.

newzealand.govt.nz,

26.

Overheid.nl,

27.

www.sweden.gov.se,

28.

교육정책정보,

29.

국립중앙정책정보서비스시스템,

30.

국정홍보처,

3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정보센터,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