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DLS 종합목록의 교과 연계성을 분석하고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연계성 평가 기준으로 포괄성, 상세성, 최신성 그리고 소장처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서울지역 사회과의 도서관활용수업 학습주제를 활용하여 이러한 분석기준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DLS 종합목록은 도서자료 중심의 학습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보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상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서 학습 공동체를 만족시키는데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목록의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고 있는 사서교사를 배치하여 종합목록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DLS union catalog and curricula and to suggest methods for its quality control. Comprehensiveness, specificity, currentness, and location of copie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criteria. And this criteria were practic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its indicators and library-based learning topics of social subjects in Seoul DLS. The results of analyses the DLS union catalog serves users with book-based learning information and lacks specificity to evaluate quality of learning materials. Especially the DLS don't satisfy the learning community with on-line contents.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appoint teacher librarians understanding curricula and instructional values of the catalog for its quality control.
노지현, (2003) 유용성의 관점에서 본 도서관 목록의 품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변우열, (2004)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및 DLS 운영 현황과 효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사토 마나부, (2003)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 북코리아
송기호, (2007)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송기호, (2008)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개정3판, 한국도서관협회
유소영, (2005) 창의성 함양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교재 개발 및 현장교육, 한국학술진흥재단
이덕주, (2008) 학교도서관진흥법과 시행령의 문제와 개정 방향: 인력문제를 중심으로. 『학교도서관활성화를 위한 세미나 자료집』, 한국도서관협회 광주?전남지구협의회
최인숙, (2004)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종합목록 데이터 품질 평가 및 관리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DLS 이용현황 및 만족도 조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IFLA, and UNESCO, School Library Manifesto,
Riedling,Ann Marlow, (2005) Reference Skills for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Tools and Tips. 2nd. ed, Linworth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