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Practical Use Program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9, v.43 no.1, pp.271-29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271
장우권 (전남대학교)

초록

공공도서관은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독서활동 및 평생교육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추고 지역사회의 고유성을 반영하는 개별 지역문화기관이다. 이에 공공도서관은 지역과 함께 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해당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개성 있는 도서관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적 측면에서 지역민의 중요한 지식정보센터로서 다양한 지식정보와 문화프로그램, 지역문화콘텐츠 제공을 위해 각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에서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Public Library, Local Cultural, Contents, Cultural Contents, Local Cultural Contents, Local Cultural Contents Management, Public Library, Local Cultural, Contents, Cultural Contents, Local Cultural Contents, Local Cultural Contents Management, 공공도서관, 지역문화, 콘텐츠, 문화콘텐츠, 지역문화콘텐츠, 지역문화콘텐츠관리

Abstract

The public library strives to foster information use by the public, cultural activities, reading, and life-long education. Public libraries are firmly rooted in local societies providing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ose local communities, while at the same time are structured in a coherent nation-wide network. This study examines practices of managing local cultural contents and proposes ways in which public libraries, as central information hubs in local communities, can provide diverse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ural programs, and local culture contents.

keywords
Public Library, Local Cultural, Contents, Cultural Contents, Local Cultural Contents, Local Cultural Contents Management, Public Library, Local Cultural, Contents, Cultural Contents, Local Cultural Contents, Local Cultural Contents Management, 공공도서관, 지역문화, 콘텐츠, 문화콘텐츠, 지역문화콘텐츠, 지역문화콘텐츠관리

참고문헌

1.

강현구, 김종태, 장은석. 2005. ꡔ문화콘텐츠와 인문학적 상상력ꡕ. 글누림.

2.

김우성, 김희섭. 2005. ꡔ지역문화산업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ꡕ. 글누림.

3.

김은정. 1995. ꡔ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ꡕ.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4.

김채한. 2000. ꡔ디지털과 미디어ꡕ. 이진출판사.

5.

문화관광부. 2002. ꡔ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안) 2003-2011)ꡕ.

6.

박진규, 정철상. 2005. ꡔ지역문화와 축제-기획과 연출-ꡕ. 글누림.

7.

배정현. 2007. ꡔ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공동 활용을 위한 협력방안 연구ꡕ.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8.

유승호. 2002. ꡔ디지털시대와 문화콘텐츠ꡕ. 전자신문사.

9.

이명규, 장우권. 2004. ꡔ지식정보사호와 디지털콘텐츠ꡕ. 전남대학교출판부.

10.

이성근. 2003. 지역문화진흥을 위한지방문화원의 역할. ꡔ영남지역발전연구ꡕ, 32: 103-118.

11.

이두영. 1991. 지역문화발전과 공공도서관의 역할. ꡔ도서관ꡕ, 308.

12.

장우권. 2002. 공공도서관 지식경영모형에 관한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3(4): 209-240.

13.

장우권. 2002. 디지털콘텐츠 프레임워크와 혁신확산기반 지식콘텐츠 모델과 지식관리지수. ꡔ정보관리학회지ꡕ, 19(4): 349-381.

14.

전국사서협회. 1991. ꡔ도서관자료집(I) 공공도서관 편ꡕ. 서울: 신학문사.

15.

조윤아, 이은진. 2007. ꡔ지역문화와 디지털콘텐츠ꡕ. 한국학술정보(주).

16.

차미경. 2002. 공공도서관에서의 지역사회 기반 봉사 확대를 위한 연구. ꡔ한국비블리아ꡕ, 13(1): 200-213.

17.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0. ꡔ2000년도 정보제공산업 기반조성 지원사업 결과보고서ꡕ.

18.

Gill, P. 2002. ꡔ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IFLA/UNESCO 가이드라인ꡕ. 장혜란 역. 서울: 도서관협회.

19.

IFLA. 1972. Standard for public libraries. Munchen: Verlag Documentation. 이병수 역. 1975. 공공도서관 기준(I). ꡔ국회도서관보ꡕ, 12(5): 49-57.

20.

Monroe, Margaret E. 1981. “The Cultural Role of the Public Literacy.” Advances in Librar- ianship, 11: 1-49.

21.

Nelson, S. 2001. The New Planning for Results: A Streamlined Approach.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2.

Sager, Donald J. 1984. Managing the Public Library. 임명순, 남영준, 오동근 역. 1991. 공공도서관운영론 . 구미무역(주).

23.

Tylor, Edward B. 1958(originally published 1871). Primitive Culture. New York: Harper Torchbooks.

24.

Wilkins, Barratt. 1977. Survey of State Library Agencies.(Occasional Paper no.142.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Graduate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76).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