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아주 치명적 불이익이 된다.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홈페이지 접근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화면 읽기 프로그램과 같이 보조 기기를 사용하는 전맹이나 시각적으로 장애를 가진 이용자들이다. 본 연구는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567개 일반 공공도서관 중 지역별 도서관수의 10%범주 내에서 62개를 평가 대상도서관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는 웹 접근성의 국가 표준 지침이 거의 준수되고 있지 않았고, 시각장애인에 의한 평가에도 접근성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웹 콘텐츠 접근에 이중적 불이익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을 인식, 운용, 이해의 용이성과 기술적 진보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n increasing importance of information, being unable to access this information becomes a huge disadvantag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users who are using assistant equipment such as screen readers are the very class that is having trouble accessing the web content that public libraries provide. In this research 10% of each region's libraries were picked as a research sample. Most of the web content that the public libraries provided did not meet the Internet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as a Korean standard. Also evaluation into web accessibility by the visually impaired was also low. This research suggests some solutions for libraries to reduce the disadvantages that are put upon visually impaired people from various views such as perceivable, operable, understandable, and robust.
강순희. 2005. 서울시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39(2): 237- 258.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도서관협회. 2009. ꡔ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ꡕ.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07. ꡔ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장애인디지털정보 서비스 연구ꡕ.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김영기, 이연옥. 2008.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의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42(2): 87-108.
도서관법 시행령. [일부개정 2008.6.5 대통령령 제20797호]. [online]. [cited 2009.8.3]. <http://www.klaw.go.kr/DRF/link_sframe.jsp>.
도서관법. [일부개정 2006.12.20 법률 제8069호]. [online]. [cited 2009.8.3]. <http://www.klaw.go.kr/DRF/link_sframe.jsp>.
배경재, 곽승진. 2006.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7(2): 273-290.
백운태. 도서관과 시각장애인의 읽을 거리: 정기간행물 접근을 중심으로. ꡔ도서관문화ꡕ, 48(11): 77-82.
보건복지가족부. 2009. ꡔ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ꡕ.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서은경, 김희정. 2008. 국립도서관의 웹 접근성 비교분석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42(3): 345-364.
웹 접근성 연구소. 2009. KADO-WAH 2.0. [online]. [cited 2009.8.3]. <http://www.wah.or.kr/Achive/Kadowah.asp>.
이영숙. 2007.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41(4): 69-91.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 2009.8.23 법률 제9705호]. [online]. [cited 2009. 8. 3]. <http://www.klaw.go.kr/DRF/link_sframe.jsp>.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9. ꡔ2008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ꡕ.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Fidgeon, Tim. 2006. Usability for older web users. [online]. [cited 2009.8.3]. <http://www.webcredible.co.uk/user-friendly-resources/web-usability/older-users.shtml>.
ISO. 1997. Standards for Multimedia, Accessibility, and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Geneva: ISO.
Moss, Trenton. 2007. “Accessibility audit vs. accessibility testing.” [online]. [cited 2009.8.3]. <http://www.webcredible.co.uk/user-friendly-resources/web-accessibility/audit-testing.shtml>.
Moss, Trenton. 2007. “The future of web accessibility.” [online]. [cited 2009.8.3].<http://www.webcredible.co.uk/user-friendly-resources/web-accessibility/future.shtml>.
Nevile, L. and Kelly, B. 2008. “Web Accessibility 3.0: Learning From The Past, Planning For The Future.” ADDW08 conference held in York on 23-24th September 2008. [online]. [cited 2009.8.3]. <http://www.ukoln.ac.uk/web-focus/events/conferences/addw08/>.
Thatcher, Jim et al. 2002. Constructing Accessible Web Sites. Burmingham: Glasshaus.
UNESCO Constitution. [online]. [cited 2009.8.3]. <http://portal.unesco.org/en/ev.php-URL_ID=15244&URL_DO=DO_TOPIC&URL_SECTION=201.html>.
W3C. 2009.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online]. [cited 2009.8.3]. <http://www.w3.org/TR/WCAG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