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 도서관의 SDI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프로파일러(profiler) 체계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n SDI Profiler System for Enhancing the SDI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9, v.43 no.3, pp.313-333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13
배창섭 (마포구립 서강도서관)
김현희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내 대학 도서관의 정보 서비스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해당 학문을 전공한 주제전문사서제도가 정착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현행 사서 교육 제도, 인적 및 물적 자원의 부족 등으로 이를 실현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주제전문사서의 핵심 역할 중 하나로 평가되는 대학 도서관의 SDI 서비스에 프로파일러 개념을 적용한 SDI 프로파일러 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도서관에 적용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제안된 SDI 프로파일러 체계는 사서 역할을 단순 대응 방식이 아닌 이용자에게 직접 다가가는 적극적인 접근 방식으로 전환시키고, 사서들이 해당 조직의 핵심 구성원의 정보 활용 패턴을 분석한 후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참고 서비스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디지털 참고 서비스, 대학 도서관, 프로 파일, 프로파일링, 리에종 서비스, 정보 활용 행태, 주제 전문 사서, SDI Service, Profiler, Subject Expert, SDI Service, Profiler, Subject Expert

Abstract

Offering subject-oriented services by subject experts is an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the quality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implement due to the Korean librarian education system and a shortage of human resources. Thus, as an alternative, we proposed an SDI (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profiler system using the concept of a profiler which is used in crime psychology as a specialist who studies a person's behavior for clues to psychology to aid in capturing them, under the assumption that conducting SDI services is one of the subject experts' key roles. And we also mentioned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how to apply it to the reference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The proposed SDI profiler system can change the roles of university librarians from passive to active. Furthermore, it also allows librarians to provide their clients with customized SDI services, thus improving reference services.

keywords
디지털 참고 서비스, 대학 도서관, 프로 파일, 프로파일링, 리에종 서비스, 정보 활용 행태, 주제 전문 사서, SDI Service, Profiler, Subject Expert, SDI Service, Profiler, Subject Expert

참고문헌

1.

구중억, 이응봉. 2005. RSS 메타데이터 기반 SDI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ꡔ제12회 한국 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ꡕ, 107-115.

2.

국립중앙도서관. 2008. ꡔ주제전문사서 인력수습 전망 및 제도화 방안 연구ꡕ.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김남숙, 2009. 성균관대 주제사서 서비스 패러다임의 진화, ver 2.0: 중앙학술정보관을 중심으로. ꡔ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제24차 실무자 워크샵ꡕ, 2009.7.1. [제주: 사립대학교 도서관협 의회].

4.

김석영. 2002.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의 최근 개발 동향. ꡔ정보관리학회지ꡕ, 19(4): 213-231.

5.

김성희. 2005. 실시간 디지털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ꡔ정보관리학회지ꡕ, 22(1): 249-265.

6.

노영희. 2003. 국내 대학도서관의 SDI 서비스 제공현황 분석 및 통합형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ꡔ정보관리학회지ꡕ, 20(3): 199-224.

7.

노영희. 2009. 온라인지식정보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온라인지식정보원 확보 및 연계전략에 관한 연구. ꡔ한국비블리아학회지ꡕ, 20(2): 17-30.

8.

노영희. 2009. 대학도서관의 규모별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ꡔ한국비블리아학회지ꡕ, 20(1): 101-117.

9.

박수희, 2008. 한국형 대학도서관 리에종 서비스 모형 개발 사례, ꡔKORSA 학술 Workshop 자료집ꡕ, [광주]: 학술정보공동활용협의회.

10.

박유진, 정유진, 장근녕. 2006. 개인화된 제품 추천을 위한 고객 행동기반 고객 프로파일링 기법. ꡔ경영과학ꡕ, 23(3): 183-194.

11.

박준식. 2005. 대학도서관 가상참고서가의 협동구축.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6(4): 5-25.

12.

손재영. 2007. 프로파일링(profiling) 기법을 활용한 범죄수사와 범죄예방의 법적 문제. ꡔ토지공법연구ꡕ, 36: 369-399.

13.

안인자, 노동조, 노영희, 김성진. 2009.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43(1): 333-361.

14.

유완식. 2009. 주제전문사서 양성 및 이용자 서비스 개선 방안. ꡔ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제24차 실무자 워크샵ꡕ, 2009.7.1 [제주: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15.

장혜란. 2003. 대학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 제공 및 이용 분석. ꡔ정보관리학회지ꡕ, 20(4): 49-66.

16.

장혜란. 2004. 디지털참고봉사의 이용 활성화 방안.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5(4): 215-228.

17.

정광훈, 김유승. 2009.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40(1): 133-155.

18.

정동열. 2002. 지식기반시대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화 역할 방향에 관한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36(3): 5-23.

19.

정재영. 2006. 실시간 참고서비스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및 고려요소.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7(3): 75-101.

20.

정종기. 2007. 정보전문가의 교수활동지원을 위한 참고정보서비스 실태 분석- 사서교사의 참고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8(1): 211-230.

21.

진성화. 2008. ꡔ대학도서관의 RSS를 이용한 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ꡕ.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2.

최상기, 안인자. 2009. 대학도서관 리에종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ꡔ한국비블리아학회지ꡕ, 20(2): 167-182.

23.

최은주, 이선희. 2004.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 KISTI의 Question포인트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ꡔ정보관리학회지ꡕ, 21(2): 69-87.

24.

헤이즐우드 로이, 미초드 스티븐 G. 2007. ꡔ프로파일러 노트ꡕ. 허진 옮김. 서울: 마티.

25.

Beth, S. 2009. “SMS library reference service options.” Library hi tech news, 26(3/4):13-15.

26.

Buckland, M. K. 2008. “Reference library service in the digital environment.”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0: 81-85.

27.

Martin, J. V. 1996. “Subject specialization in British university libraries: a second surve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28(3): 159-169.

28.

Morales-Del-Castillo, J. M., Pedraza-Jimenez, R., & Ruiz, A. A. 2009. “A semantic model of 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for digital librari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8(1): 21-30.

29.

Numminen, P., & Vakkari, P. 2009. “Question types in public libraries’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Finland: Comparing 1999 and 2006."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6): 1249-1257.

30.

Penka, J. T. 2003. “The technological challenges of digital reference." D-Lib Magazine, 9(2). [online]. [cited 2009.07.10]. <http://www.dlib.org/dlib/february03/penka/02penka.html>.

31.

Pomerantz, J., & Stutzman, F. 2006. “Collaborative reference work in the blogosphere." Reference Services Review, 34(2): 200-212.

32.

Shachaf, P., & Horowitz, S. M. 2008. “Virtual reference service evaluation: Adherence to RUSA behavioral guidelines and IFLA digital reference guideline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0: 122-137.

33.

Shachaf, P., Oltmann, S. M., & Horowitz, S. M. 2008. “Service equality in virtual re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4): 535-550.

34.

Wan, G., et al. 2009. “Key issues surrounding virtual chat reference model: A case study." Reference Services Review, 37(1): 73-82.

35.

Wanga, H., Niub, G., & Hubbard, W. J. 2004. “Current status of referenc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in mainland China: A web analysis."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36: 105-1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