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1, v.45 no.3, pp.5-26
https://doi.org/10.4275/KSLIS.2011.45.3.005
김성준 (이리여자고등학교)

초록

이 연구는 전국 학교도서관을 동시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이며 정량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평가지표와 관련된 국내외의 7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반성을 갖춘 평가지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지표를 계량화 가능성, 객관성, 자료확보 용이성에 따라 타당성을 검증하여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적용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하여 타당성이 부족한 평가기준과 척도를 수정·보완하고, 신규지표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평가배점은 평가지표에 대한 사서교사와 전문가의 중요도 조사,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평가지표의 배점체계에 대한 분석, 전문가의 집중검토 과정을 거쳐 설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경영일반, 장서, 시설·설비, 인적자원, 이용, 교육의 6개 영역과 30개 지표로 구성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School Library,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icator of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 평가,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학교도서관 경영, School Library,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icator of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To do this, the indicators were extracted from an analysis of seven foregoing studies. The draft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made after reviewing the validity of each indicator according to the criteria: quantifiability, objectivity and possibility of obtaining evaluation materials. The feasibility of the standards and measures used by the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was examin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new indicators. To decide the distribution of marks for evaluations, the opinions of teacher librarians and professionals on the importance of indicators was surveyed, the evaluation indicators used by the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were analyzed, and an intensive review was done by professionals. A draft of an evaluation index with thirty indicators in six categories is proposed.

keywords
School Library,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icator of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 평가,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학교도서관 경영, School Library,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icator of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참고문헌

1.

곽철완, 노영희. 2009.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0(2): 183-196.

2.

김진숙 등. 2003. 학교도서관 평가 적용 및 교육적 효과 측정 연구 .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

남영준, 이수영, 장보성. 2008. 학교도서관의 BSC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277-294.

4.

남영준, 정경애. 2010.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1(3): 99-131.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9. 전국도서관운영평가 결과보고서 .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6.

변우열, 이병기,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 평가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5(1): 51-73.

7.

이상복, 곽철완. 2009. 09년 전국도서관 운영평가지표연구 . 서울: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8.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편. 2003. 한국도서관 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9.

IFLA, & UNESCO. 2002. The IFLA/UNESCO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2010.9.16]. <http://www.ifla.org/VII/s11/pubs/sguide02.pdf>.

10.

ISO. 2007. ISO/DIS(Draft International Standard) 11620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Library Performance Indicators. 재인용: 최재황, 곽승진, 김정택. 2007. 디지털도서관 서비스의성과지표 측정 및 적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1(3): 81-1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