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김태훈(한국연구재단) ; 노영희(건국대학교) pp.5-32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뉴미디어 플랫폼 활용 현황과 보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수집․보존 방안을 모색하였다. 설문 결과, 사서들은 뉴미디어 자료의 보존 가치를 높게 평가하면서도, 예산 부족과 기술적 한계를 주요 어려움으로 꼽았다. 특히, 수집 기준의 명확성, 저작권 문제 해결,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실감 콘텐츠와 메타버스 등 신기술 기반 자료에 대한 이해와 활용도 제고를 위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디지털 자료의 수집․보존 정책을 수립하고, 기술적 인프라와 전문 인력을 확충하여 뉴미디어 기반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public library librarians on their perceptions and current use of new media platforms to explore future strategies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librarians highly value the preservation of new media content, they cited budget constraints and technical limitations as major challenges. In particular,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clear collection criteria, resolution of copyright issues, and policy support. Additionally,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support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immersive content and the metaverse. Based on these insights, public libraries should establish digital content collection and preservation policies, strengthen technical infrastructure, and increase professional capacity to improve their new media-based services.

곽승진(충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장인호(대진대학교) ; 강봉숙(전북대학교) ; 고재민(수원대학교) pp.33-57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0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회도서관이 국가도서관 및 의회도서관으로서 국가 지식정보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국회도서관 지역 분관의 건립 필요성과 운영 목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환경분석, 수요분석을 기반으로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여 국가의 지식정보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저출생, 인구감소, 지방소멸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사회 구축을 위해 국회도서관의 지역 분관 건립 필요성이 있다. 셋째,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 지역별 지식거점 구축 및 확산이 요구되고 있다. 넷째, 국가 문헌자료의 수장 능력 확대 및 분산 소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섯째,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자료의 특성화 기반 분산 보존을 통해 재난관리에 대비해야 한다. 여섯째, 국회의원의 정책수립을 위한 서비스 균형 제공이 필요하다. 일곱째, 연구도서관 기능의 확장을 통해 국회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lan for regional branch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o strengthen national knowledge capacity and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environmental analysis, and demand analysi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regional branches for several reasons. First, strengthening the national knowledge system is essential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I era. Second, regional branches are needed to address key social issues such as low birth rates, population decline, and regional extinction, contribut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the creation and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hubs are crucial for balanced regional growth. Fourth, the increasing demand for decentralizing national document storage highlights the need for regional branches, as demonstrated by advanced countries operating regional and preservation libraries. Fifth, decentralized preservation of analog and digital resources is vital for disaster preparedness. Sixth, balanced information services for supporting policy development b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must be ensured. Lastly, enhancing the research library function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egislative capacity of the National Assembly.

홍명아(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59-85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059
초록보기
초록

부실 학술지의 확산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학계의 여러 노력이 있어 왔음에도 여전히 부실 학술지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결국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실 학술지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부실 학술지 문제에서 중요한 이해관계자 중 하나인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부실 학술지와 관련된 경험을 가진 4년제 대학도서관 사서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Giorgi, A. (1970)의 현상학적 분석과 해석적 내러티브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들의 부실 학술지와 관련한 경험은 11개의 의미구조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심층적으로는 사서들이 인식하는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체성이 부실 학술지 서비스 제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체성이 확고한 사서는 더 큰 책임감과 사명감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자기 계발 전략을 사용한 반면, 정체성에 혼란을 느낀 사서들은 업무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거나 실용적인 전통 업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실 학술지 문제를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적 가치와 연결 지어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도서관의 미래 서비스 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Despite the efforts of the academic community to solve predatory journals, the problem of predatory journals persists.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issue, collabor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various stakeholders involved in predatory journals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ne of the key stakeholders in the predatory journals issue: Academic Librarians. To achieve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academic librarians who had experience regarding predatory journals. The narratives were analysed using Giorgi’s (1970) methods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ive narra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academic librarians’ experiences regarding predatory journals were organized into 11 categories of meaning structure. In-depth analyses show that the librarians’ perceived identity as subject specialis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sition of the predatory journal service. Librarians with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s subject specialists were more likely to provide predatory journal services based on greater responsibility and mission, and to adopt strategies for self-improvement. In contrast, those who felt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as subject specialist were more likely to provide predatory journal services passively or to focus on pragmatic traditional library work.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plore the issue of predatory journals in relation to the professional value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service design in libraries.

안병군(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정영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87-114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0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주요 출판사 오픈액세스(OA) 전환계약의 유형별로 계약서를 분석하여 유형별 OA 전환계약서의 특성과 주요 조항을 도출함으로써 도서관 현장에서 OA 전환계약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향후 유형별 OA 전환계약의 표준 계약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에서는 OA 전환계약의 두 가지 주요 유형별로 5종의 계약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구독 계약서를 비교의 기준으로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구독료 기반 OA 전환계약서는 기존 구독 계약서와 높은 유사성을 보이며, 대부분의 조항이 기존 구독 계약서의 틀을 유지하면서 OA 관련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출판비 기반 OA 전환계약서는 기존 구독 계약 모델에서 제시된 조항에 OA 관련 내용을 추가하는 대신 OA 관련 조항을 신설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출판사 간 계약서 차이도 두드러졌다. 기존 구독 모델의 조항 중 OA 전환계약서에서 OA 관련 내용이 추가되는 경향이 있는 조항을 파악하였으며, 두 유형의 OA 전환계약서에서 OA 전환의 특성을 반영하여 공통적으로 추가된 조항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racts of major publishers’ open access (OA) transformative agreements by type,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key clauses of each typ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OA transformative agreements in library practice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tandardized OA transformative agreement considering the current domestic context. To achieve this, the study selected five contracts representing the two main types of OA transformative agreements and analyzed them using subscription agreements as a comparative framework. The analysis revealed that subscription-based OA transformative agreements exhibit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o traditional subscription agreements, with most clauses retaining the structure of existing subscription contracts while incorporating OA-related content. In contrast, publication fee-based OA transformative agreements tended to introduce new OA-related clauses instead of adding such content to existing subscription clauses, with notable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publishers. The study identified specific clauses in traditional subscription models that showed a tendency to have OA-related content added in transformative agreements. Additionally, four common claus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A transformation were identified across both types of agreements.

정미옥(경기대학교) pp.115-142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평생교육기관에서 학점은행제를 통한 문헌정보학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참여동기, 학습활동인식, 학습만족도는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파악하는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학 평생교육원 문헌정보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215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참여동기는 학습활동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활동인식은 학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학습참여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학습 생태를 경험할 수 있는 종합적 기능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 계기와 과정의 질적 관리 등이 주요 요소로서 촉매 역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designed and verified a research model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activity aware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learners participat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a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valid sample of 215 copies was used in the stud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ffected learning activity awareness, learning activity awareness affected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ffected learning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rehensive function that can experience the learning ecolog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role of a catalyst as the main elements such as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process.

이연옥(부산대학교) pp.143-167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1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전용 공간과 서비스에 대한 청소년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소년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요구와 청소년 공간에서 수행될 활동과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공간과 서비스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를 위한 데이터는 부산광역시의 청소년 5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전용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요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 전용 공간의 세부 구성에서 휴식 공간, 개인 학습 공간, 놀이․취미․여가 활동 공간, 만남과 모임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청소년은 휴식과 여가, 교육과 체험 활동이 가능한 다기능적이며 유연한 공간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이 선호하는 도서관프로그램은 동아리․모임 지원, 진로 교육, 정보․미디어 활용 교육 및 체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청소년 공간조성과 서비스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s of young adults for dedicated youth spaces and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Specifically, it examined young adults’ requirements for these spaces and their preferences for the activities and services to be offered, providing insights for the design of youth-oriented spaces and servic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558 young adul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indicate a strong demand for youth spaces in public libraries. In terms of spatial configuration, participants preferred rest areas, private study areas, meeting areas, and spaces for play,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They also expressed a desire for multifunctional, flexible spaces that could accommodate relaxation, playing, and engaging in educational or experiential activities. Furthermore, the public library programs most preferred by the participants were support for youth clubs and meetings, career education, and inform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esen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youth spaces and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이성신(경북대학교) ; 이세나(경북대학교) pp.169-188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1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IPA분석 기법을 기본으로 이를 확장 적용하여 공공도서관 사서의 직무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수행직무에 대한 중요도, 전문성, 난이도, 노동강도, 직무비중 등을 교차 분석했다. 분석결과 ‘문헌정보조직’, ‘독서문화프로그램 계획 수립’, ‘도서관 사업 운영 관리’ 직무는 중요도, 난이도, 전문성, 노동강도가 모두 높은 직무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문헌정보 서비스 마케팅’, ‘문헌정보 수집 정책 개발’은 노동강도는 낮지만 중요도, 난이도, 전문성이 높은 직무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직무는 사서의 전문지식과 역량이 요구되는 중요한 직무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문헌정보 시스템 구축’, ‘문헌정보 시스템 운영’, ‘도서관 정보센터 경영 관리’, ‘도서관 유관기관 협력’, ‘전자문서 정보관리’, ‘이용자 교육’은 중요도, 난이도, 전문성, 노동강도가 모두 낮은 직무로 나타났다. 이러한 직무분석 결과는 사서들을 위한 직무설계와 교육 및 훈련 계획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uties of public librarians by expanding and applying IPA analysis. A survey of librarians was conducted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to conduct a cross-analysis of the importance, profession, difficulty, labor intensity, and job weight of performed task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asks of “Library Materials Organization,” “Planning of Reading and Cultural Library Programs,” and “Library Operations Management” were perceived as having high importance, difficulty, profession, and labor intensity. “Library Services Marketing” and “Developing Library Collection Policies” were perceived as having low labor intensity but high importance, difficulty, and profession. These tasks require the librarians’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highlighting their importance. On the other hand, tasks such as “Building Library Systems,” “Operating Library Systems,” “Managing Library Information Centers,” “Cooperation with Related Library Organizations,” “Electronic Information Management,” and “User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having low importance, difficulty, profession, and labor intensity. The results of this job analysis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signing job roles, planning education, and training for librarians.

조혜전(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pp.189-209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가 도서관 업무와 서비스에 활용할 그림책 서평의 핵심 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그림책과 서평 관련 문헌에 제시된 요소들에 대해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외 어린이 도서와 그림책 서평 매체 8종에 실린 한국 그림책에 대한 국내외 서평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그림책 서평의 구성요소에 대해 어린이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그림책 서평의 구성요소를 확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평가를 델파이 조사로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그림책 서평의 구성요소를 필수 요소와 권고 요소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는 사서가 장서 선정, 독자 상담, 독서 지도 등 도서관 업무와 서비스에 적절하게 선택하여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key elements of picture book reviews for librarians to utilize in their library practice and services. To achieve this aim, first, elements presented in literature related to picture books and reviews were studi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Secon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domestic and foreign book reviews of Korean picture books in 8 different book review journals on children’s and picture books. Third, survey questionaires were carried by children’s librarians regarding the elements of picture book reviews. Fourth, the elements of picture book reviews were determined by expert evaluation using Delphi survey. And finally, those were divided into essential and recommended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librarians to select and utilize the book reviews appropriately for library services such as book selection, readers advisory, and reading instruction.

김초해(연세대학교) ; 김기영(연세대학교) pp.211-238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2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와 사서의 커뮤니케이션이 이용자의 관계 혜택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혜택이 사서와 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 1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해석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적, 사회적, 정보적, 기능적 혜택이 인식되었으며, 사서와의 관계맺음 및 커뮤니케이션 양상에 따라 4개 집단으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관계 혜택과 사서 및 도서관 인식이 나타났다. 특히 피면담자들은 정보적 혜택을 인식할 때 사서의 전문성과 가치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정보적 혜택은 이들이 정보전문가로서 사서의 역할을 인지할 때 가장 크게 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사서가 정보서비스를 기반으로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사서의 정보적 역할을 알릴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user-librarian communication on the perceived relational benefits of users and the subsequent influence of these benefits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and librarie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users of public libraries, and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employ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confidence, social, informational, and functional benefits. Howeve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ir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with librarians, they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each exhibiting different understandings of perceived relational benefits and perceptions of librarians and libraries. The participants particularly appreciated the librarians’ specialties and value when informational benefits were recognized, and these benefits were most strongly perceived when the librarians’ role as information professionals was acknowledged.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librarians actively engage in open communication to promote their informational roles.

이미화(국립공주대학교) pp.239-258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239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LRM 저작 집중을 위한 BIBFRAME의 Hub 개체의 분석과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헌분석, Hub 개체 분석,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BIBFRAME Hub 적용 방안을 3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BIBFRAME Hub를 원래 개발된 방법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bf:Hub가 LRM 저작과 대등하지 않으므로 LRM/RDA 저작 집중뿐만 아니라 주제 집중, 관련 저작 집중에 활용되는 방안을 이해해야 한다. 둘째, 적용 기관에서 LRM의 개체에 일치하도록 자체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여 BIBFRAME 응용프로파일을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LRM에 맞는 개체를 개발하고, BIBFRAME 온톨로지의 대체나 변경없이 통합 적용하는 방식이다. 링크드데이터 구축이 증가되면서 LRM 저작의 집중 기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Hub와 같이 여러 집중에 사용하는 개체를 이용하는 것과 LRM 개념모델에 대응하는 새로운 개체를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적절한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grasp apply the BIBFRAME Hub entity for LRM works’ collocation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Hub entity analysis, and interviews. Three approaches to applying the BIBFRAME Hub were examined. First is to use the BIBFRAME Hub as originally developed under understanding that bf:Hub is not equivalent to the LRM work because Hub should be utilized not only for LRM/RDA work collocation but also for collocating as subject and related work. Second, the institutions can develop their own BIBFRAME application profiles using their own name spaces to align with LRM entities. Third, new entities that correspond to LRM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in an integrated manner without replacing or modifying BIBFRAME ontology. As linked data construction increases, the focus on LRM works becomes more critical. It will be necessary to appropriately apply to use entities like the Hub, which are used for various focuses, or develop and utilize new entities that correspond to the LRM conceptual model.

이은주(동의대학교) ;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 노지현(부산대학교) pp.259-284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2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82년에 건립되어 40년 이상 경과한 A도서관의 리모델링 계획 수립에 관한 실천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환경 개선의 관점보다는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예측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도서관의 역할을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한 A도서관의 리모델링 사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A도서관의 입지나 봉사대상 인구 등에 대한 기본적인 현황 검토를 비롯하여 ⑴ A도서관에 대한 지역주민의 요구 분석, ⑵ A도서관의 지위적 역할을 고려한 공간 실태 분석, ⑶ 유사규모의 사례 및 리모델링 우수사례 검토, ⑷ 소속 기관(교육청)의 정책 기조 분석 등과 같은 종합적․다면적 접근을 통해 리모델링의 방향과 세부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문조사, 면담조사, 도서관 건립 및 리모델링 기준과 매뉴얼 분석, 사례분석을 통해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an action study to develop a remodeling plan for a public library, which was built in 1982 and is more than 40 years 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modeling case of Library ‘A’, which was intended to predict social demand and role of public librarie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took a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approach as follows: ⑴ analyzing users’ demands for the library, ⑵ reviewing the space program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library within the community, ⑶ investigating the best practices, and ⑷ analyzing the policies of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Data were obtained through surveys, interviews,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a remodeling to respond to new social demands.

정영미(동의대학교) ; 신영지(동의대학교) pp.285-306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285
초록보기
초록

복잡한 디지털 정보 환경에서 미래 정보 역량으로 전통적인 정보리터러시 외에 다양한 리터러시가 강조됨에 따라 보다 확장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의 리터러시 교육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도서관 교육의 현황 및 인식, 그리고 메타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탐색적 수준에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도서관의 교육프로그램은 도서관 이용교육과 오리엔테이션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최신기술교육과 연구 윤리 교육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유형에서는 강의식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실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토론식 교육과 같은 학습자 참여 중심의 방식은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사서들은 메타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며, 정보 평가, 윤리적 사용, 비판적 사고와 같은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과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혼합 학습 방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진단도구는 학습자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며, 결과 활용을 통해 발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이 현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프로그램과 메타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학습자와 연구자의 정보 활용 능력을 지원하며, 이를 기반으로 교육적 역할을 확대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은 단순한 정보제공 기관을 넘어 학습과 연구를 지원하는 핵심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s various literacies beyond traditional information literacy are increasingly emphasized as future information competencies in the complex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a more expansive and integrative approach to literacy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academic librarian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s of academic library instruction, as well as their awareness of metaliteracy instruction at an exploratory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were primarily focused on library use instruction and orientation, while training in advanced technologies and research ethics was relatively insufficient.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lecture-based instruction accounted for the majority, whereas learner-centered approaches such as practical training, project-based learning, and discussion-based education were limited in implementation. Librarians highly valued the importance of metaliteracy instruc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customized programs that strengthen core competencies such as information evaluation, ethical use, and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hybrid learning approaches suited to the digital environment.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diagnostic tools was highlighted, as they should be designed to systematically assess learners’ competencies,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provide actionable insights for impro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libraries should expand their educational roles by offering instruction programs and metaliteracy instruction that meet modern demands, thereby supporting learners and researchers in developing practical information literacy skills. Through these efforts, academic libraries can transcend their traditional role as information providers to become pivot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actively support learning and research.

강윤서(경북대학교) ; 나은엽(경북대학교) pp.307-332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3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연구 생애주기 기반 연구지원서비스의 현황과 이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도서관에서 연구 생애주기 단계 중 연구 계획과 연구 출판 단계에 관련된 서비스 제공 비중이 높았고 연구 수행과 연구 보존 및 확산 단계에 관련된 서비스 제공 비중은 낮게 나타났다. 연구 생애주기에 대한 사서들의 이해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계획 단계를 가장 중요한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사서들은 연구 생애주기 기반 연구지원서비스가 매우 필요하지만 예산, 인력과 같은 자원 부족으로 운영의 어려움이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 생애주기 기반 연구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안정적인 예산 확보, 전문 인력 확충, 사서 역량 강화, 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한 홍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대학도서관 연구 생애주기 기반의 연구지원서비스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lifecycle-based research support services and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se services. To achieve this, survey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cademic librarians.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academic libraries tend to focus their services on the Research Planning and Research Publishing stages of the research lifecycle, while services related to the Research Execution and Research Preservation and Dissemination stages were less prioritized. Librarians’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lifecycle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with the Research Planning stage being recognized as the most critical. Additionally, librarian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research support services based on the research lifecycle but highlighted challenges in implementation due to limited resources, such as budget and personn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able budget allocation, an increase in professional staff, capacity-building for librarians, and enhanced promotion of research support services are essential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se services. Thes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knowledge for developing a systematic framework for research support services based on the research lifecycle in academic libraries.

박석훈(서울대학교 사회학과) ; 김혜진(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신지민(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허혜옥(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김석호(서울대학교) pp.333-354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33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리포지토리의 데이터 큐레이션 과정 중 데이터 품질 평가 및 선별 단계에 집중하여 기탁된 연구데이터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연구데이터의 가치 제고와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큐레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리포지토리의 큐레이션 작업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 리포지토리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품질 평가 유형 및 문항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의 장기 미구축 데이터세트 166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터세트 완결성, 데이터 무결성, 파일 형식, 데이터 문서화, 법적․윤리적 문제 등 다섯 가지 유형 중 데이터세트 완결성과 법적․윤리적 문제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면서도 리포지토리가 단독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탁된 데이터를 평가 및 선별할 때 식별되는 문제 유형을 구체적인 기준을 통해 분석하여 리포지토리의 데이터 큐레이션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and categorizes the challenges found in deposited research data by focusing on the appraisal and selection phases of the data curation process. While the importance of data curation for enhancing the value of research data and promoting data reuse has been emphasized,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repositories’ data curation practices. This study reviews international repositories’ guidelines to identify quality assessment types and criteria and applies them to analyze 166 long-term non-archived datasets from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The analysis reveals five types of challenges: dataset completeness, data integrity, file format, data documentation, and legal/ethical issues. Dataset completeness and legal/ethical issues are the most frequent and difficult challenges to resolve independently.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positories’ data curation process by analyzing the challenges identified during data appraisal and selection phases through concrete criteria.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 한승희(서울여자대학교) pp.355-382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3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습 자원인 디지털교과서의 기술 및 교육 환경을 고려한 맥락 정보를 조직화하는 메타데이터 스키마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국가 차원의 교과서 운영 제도를 고찰하고 국가별 교과서 기술 요소를 확인하였으며, 교육부에서 제시한 디지털교과서의 특성 및 기능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제적인 수준의 학습 자원 메타데이터 표준 및 스키마인 ISO/IEC 19788-1:2024, OER Schema, DCMI LRMI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지털교과서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Thing을 비롯하여 교육과정, 분류코드, 자원, 평가, 교육활동, 교육대상역할, 이해관계자, 속성, 자원 메타데이터 등의 어휘로 구조화되었다. 어휘 간의 관계를 제시하기 위해 계층관계를 제외한 18개의 ‘어휘 간의 연결’을 규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어휘와 관계 표현이 교육부가 강조하는 디지털교과서 개념 및 기능을 잘 반영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metadata schema for organizing contextual information of digital textbooks as learning resources, considering technologic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First, the research examines the national textbook operation systems and identifies the descriptive elements of digital textbooks in different countries. It also review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as defi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dditionally, international metadata standards and schemas for learning resources, including ISO/IEC 19788-1:2024, OER Schema, and DCMI LRMI, are analyzed. The proposed digital textbook metadata schema is structured with vocabularies such as Thing, Curriculum, Classification Code, Resource, Assessment, Educational Activity, Educational Audience Role, Stakeholders, Attributes, and Resource Metadata.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ocabularies, 18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vocabulary,’ excluding hierarchical relationships, are specified.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roposed vocabularies and relationship expressions effectively reflect the key concepts and functionalities of digital textbooks emphas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이정미(서울여자대학교) pp.383-404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3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사회혁신을 촉진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한 연구이다. 데이터 리터러시가 사회적 형평성과 지속 가능성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탐구하였으며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적용 사례를 확인하고자 했다. 데이터 리터러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교육적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여 살펴보았다.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윤리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통해 지속적인 사회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로서 이해가능하다.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공공 정책의 효과성과 투명성 향상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속적인 사회혁신에 있어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의 함양이 중요하게 제기된 만큼 정책적, 교육적 접근을 통해 데이터 리터러시 격차를 줄이고, 데이터 활용 기회를 모든 시민에게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1가지의 종합적인 전략을 제안했으며 각각의 전략은 데이터 리터러시 해소를 위한 출발점으로 활용 가능한 방안이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role of data literacy in promoting social innovation. The contribution and specific methods of data literacy in promoting social equity and sustainability were explored, and data literacy was identified as an example of applying data literacy in various social context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and examined with the aim of proposing policy and educational strategies to bridging the data literacy gap. Data literacy is understandable as a tool that enables sustainable social innovation through the ability to understand, analyze, and use data ethically. Data literacy can support the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and transparency of public policies through data-based decision-making an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contexts. As the cultivation of data literacy capabilities has been raised importantly in sustainable social innovation, it is necessary for bridging the data literacy gap through a policy and educational approach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data use to all citizens.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d 11 comprehensive strategies, each of which will be a way to use as a starting point for solving data literacy.

이석형(충남대학교) ; 서지훈(강남대학교) ; 김진묵(강남대학교) ; 박옥남(상명대학교) ; 김규환(인천대학교) pp.405-430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405
초록보기
초록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 전 분야에 파급력이 높아지면서 공공도서관에서도 데이터 전문성을 갖춘 사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데이터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실질적인 교육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 전문성의 필요성과 교육 요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사례와 기존의 사서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데이터 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재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 데이터 사서는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을 기본 역량으로, 데이터 안내 및 교육 역량,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기술을 중심으로 기초 및 심화 모듈로 구성된 교육모형을 설계하였다.

Abstract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continue to exert a profound influence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the role of librarians with data expertise is gaining increasing attention in public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ublic librarians’ perceptions of data specialization and propose a practical educational model to enhance their data-related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public librarians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data expertise and their educational needs. Additionally, existing librarian education programs, were reviewed to redefin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data specialist librarians. Based on these findings, an educational model was designed. The study identifies data literacy as a fundamental competency and categorizes data guidance and education, as well as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as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se findings, a training model was developed, comprising foundational and advanced modules centered on data literacy and analytical skills.

송주희(송파어린이영어도서관) ; 김종애(경기대학교) pp.431-459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4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교육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비대면 환경에서의 독후활동 중심 영어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공공도서관 현장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영어능력과 영어독서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영어능력의 하위요인으로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어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정의적 태도의 하위요인으로 영어독서에 대한 흥미, 자신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초등영어교육이 시작되는 3․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12주간 독후활동 중심의 비대면 영어독서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는 영어책 읽기와 독후활동을 포함한 비대면 영어독서프로그램을 실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영어책 읽기 활동만을 포함한 비대면 영어독서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독후활동 중심의 비대면 영어독서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영어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영어독서에 대한 정의적 태도 또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glish reading program centered on reading activiti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reflecting the educational paradigm that has changed since COVID-19,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applying it in the public library environ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affec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reading. The effects on listening, reading, speaking, writing, and vocabulary skills as sub-factors of English proficiency were clarified, and the effects on interest, confidence, and efficacy in English reading as sub-factors of affective attitude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 non-face-to-face English reading program centered on reading activities was implemented for 12 weeks for 3rd and 4th grade students who are just beginning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orm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mplemented a non-face-to-face English reading program that included reading English books and reading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implemented a non-face-to-face English reading program that included only reading English books.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the non-face-to-face English reading program centered on reading activiti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that their affec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reading also changed positively.

김성훈(성균관대학교) pp.461-488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461
초록보기
초록

인용할 연구논문을 찾는 일은 정보과부화로 인해 더욱 힘들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연구논문 추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10년 간, 논문추천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딥러닝 방법이 활용되고 있지만 2020년 이후 딥러닝 기반 연구논문 추천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법을 활용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총 47편의 딥러닝 기반의 연구논문추천 연구를 검토하고, 데이터 요인, 데이터 표현 방법, 방법론, 사용된 추천 유형, 직면 문제, 그리고 개인화여부의 관점에서 2020년 이전의 연구와 비교해 연도별로 추전기법, 사용데이터 및 딥러닝 기법, 연구핵심내용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분석한 연구동향을 기반으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Finding relevant research papers for cit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challenging due to information overload, leading to growing interest in research paper recommendation systems. Over the past decade, deep learning methods have been employed to enhance the quality of paper recommendations.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deep learning-based paper recommendation systems since 2020. This study conduc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47 deep learning-based research paper recommendatio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20 and 2023. The analysis examines data factors, data representation methods, methodologies, recommendation types, encountered challenges, and personalization aspects. Furthermore, it compares these studies with pre-2020 research by summarizing recommendation techniques, utilized datasets, deep learning methods, and key research topics by year. Based on this comparison, key insights are derived. Additio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zed research trends.

박형주(충남대학교) pp.489-516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4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공유 및 인용이 높은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분야 연구데이터의 유형과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분석하는 것이다. STEM 분야의 식별은 미국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의 학문코드(discipline code)와 Data Citation Index의 연구분야(research area)를 비교하여 식별하였다. 식별된 STEM 학문 분야는 천체물리학, 생명과학, 화학, 컴퓨팅, 지구과학, 공학, 수학, 기술로 총 8개의 학문 분야였다. 본 연구는 전세계 630만개 이상의 STEM 분야 연구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STEM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의 연구데이터 유형이 인용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학문 분야별로 주요한 데이터 리포지토리가 다양하였으며, 높은 데이터 공유가 높은 데이터 인용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데이터 인용을 받은 연구데이터의 유형은 STEM 학문 분야별로 다양하였다. 데이터 인용을 받은 연구데이터의 유형은 모두 양적 데이터였다. 데이터 인용을 받은 질적 데이터는 없었다. STEM 분야에서 공식적인 데이터 인용(formal data citation)은 학술 커뮤니티의 관례가 아니다. 본 연구의 공헌은 전세계 630만개 이상의 대량의 STEM 분야 연구데이터의 관례를 실질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research data and data repositories in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fields that demonstrate high levels of data sharing and citation. STEM fields were identified by aligning discipline codes from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 with research areas listed in the Data Citation Index. The selected disciplines include astrophysics, biological sciences, chemistry, computing, earth sciences, engineering, mathematics, and technology, encompassing a total of eight fields. This study involved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over 6.3 million STEM research data recor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various types of research data across STEM fields are cited; however, key data repositories differ by discipline. Notably, high levels of data sharing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with high data citation rates. The types of cited research data also vary across disciplines, with all cited data being quantitative—no qualitative data received citations. Despite the growing emphasis on open science, formal data citation remains uncommon in STEM fiel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data-sharing and citation practices across more than 6.3 million STEM research data records worldwide.

강유정(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517-545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5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AI 챗봇 서비스의 이용활성화를 위하여, 사회적 실재감이론의 관점에서 AI 챗봇의 특성인 의인화와 함께 서비스 품질(SERVQUAL)의 5차원(신뢰성, 확신성, 유형성, 공감성, 대응성)을 중심으로 AI 챗봇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간접효과분석을 통해 AI 챗봇의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은 신뢰성, 유형성, 공감성과 대응성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알아보고자 총효과 분석을 수행한 결과로, 확신성은 직접효과만 유의했고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며 유형성이 가장 작은 영향요인이었다. 그리고 서비스품질요인이 이용자의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촉진시키는데 AI 챗봇의 의인화특성인 챗봇 서비스의 인간적인 요소가 의미있는 역할을 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AI 챗봇 서비스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서비스의 개선점을 포함하여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이에 연구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when users want to use public library AI chatbot services continuously focusing on the five dimensions (reliability, assurance, tangibles, empathy, and responsiveness) of service quality (SERVQUAL) along with anthropomorphism,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I chatbo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Presence Theory in order to revitalize the use of AI chatbot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service quality that influences the intention to continuous using AI chatbot posi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indirect effects was analyzed as reliability, tangibles, empathy, and responsivenes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total effect analysis to find out the magnitude of the impact of these factors, assurance was only significant in the direct effect, the biggest factor that had an influen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positively, and tangibles was the smallest impact fact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uman characteristic of AI chatbot service, which was anthropomorphism of AI chatbot, played a significant role that service quality promoted user's continuous use inten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s and implications for the continuous use of public library AI chatbot services, and this is meaning of the study.

송현경(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547-573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5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사회적으로 관심을 모으는 도서관 지적자유 관련 주요 사례를 분석하고 지적자유 수호를 위한 효과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전국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총 57종을 대상으로 ‘도서관 지적자유’ 등의 검색어를 통하여 도서관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적자유 사례를 다룬 396건의 기사들을 수집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TF-IDF 분석, N-gram 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TF-IDF 분석에서 ‘금서’, ‘유해’, ‘폐기’, ‘제한’, ‘검열’과 같은 단어들이 도출되어 지적자유 침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어린이’, ‘청소년’, ‘성교육’, ‘채식주의자’과 같은 단어들이 도출되어 어린이 및 청소년 성교육 도서,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 등이 지적자유 논의에 주로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토픽모델링 결과, ‘성교육 도서’, ‘인터넷’, ‘성범죄 작가 도서’, ‘소설 채식주의자’, ‘역사 도서’, ‘금서읽기주간’ 등 6개의 토픽으로 구분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적자유의 수호를 위한 방안으로 개별 도서관들의 지적자유에 관한 정책 수립, 한국도서관협회를 중심으로 한 세대별, 주제별 지적자유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jor cases related to library intellectual freedom that have attracted social attention in Korea from 2000 to 2024 and to explore effective strategies for protecting intellectual freedom.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96 articles dealing directly with library-related intellectual freedom cases were collected from 57 national and regional daily newspapers published between January 1, 2000, and December 31, 2024, using keywords such as “library intellectual freedom.” The study applied TF-IDF analysis, N-gram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o these articles. Results from TF-IDF analyses identified terms such as “banned books,” “harmful materials,” “removal,” “access restriction,” and “censorship,” indicating instances of intellectual freedom infringements. Additionally, terms such as “children,” “youth,” “sex education,” and “The Vegetarian” revealed that books on sex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as well as Han Kang's novel “The Vegetarian,” were frequent subjects of intellectual freedom discussions. Topic modeling identified six topics: “sex education books,” “internet,” “books by authors convicted of sex crimes,” “The Vegetarian,” “historical books,” and “Banned Books Week.” In light of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easures to safeguard intellectual freedom, including the formulation of intellectual freedom policies by individual libraries and the establishment of programs categorized by generation and theme, led by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오선혜(청주대학교) ; 정진한(영진전문대학 도서관) pp.575-598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575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은 연구와 학습을 지원하는 지식 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중심의 연구 확대로 사서에게도 고도화된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전문사서 인증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선진국의 전문사서 인증제도와 국내 유사 사례를 분석하고, 현직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인증제도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사서 인증제도는 교육 프로그램 이수와 실무 경력을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5년 단위의 재인증과 지속적 전문성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사서 인증제도가 사서의 전문성 강화와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증제도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are evolving into knowledge platforms that actively support research and learning, necessitating advanced expertise from librarians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expansion of data-driven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for and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for specialist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ies. By analyzing certification systems in leading countries and similar cases in Korea, as well as conducting surveys with current librarians, the research explores the necessity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such a system. The findings suggest that a specialist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should focus on completing structured training programs and verifying practical work experience, with re-certification required every five years.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is also essential for maintaining expertise.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a certification system to enhance librarian professionalism and improve library services. It provides strategic recommendations for designing an effective and systematic certification framework tailored to the needs of university libraries.

성유경(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남영준(중앙대학교) pp.599-624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5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492편의 한국소설 영어번역서에 부여된 주제명을 분석하고, 기계학습 기반 주제명 자동분류 모델의 성능 평가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문학 디지털도서관과 WorldCat에서 서지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주제명 빈도와 FAST 패싯별 주제명의 분포 등을 시각화하고, 다중 레이블 분류를 위한 주제명 라벨을 선정하였다. 분류 자질과 모델 아키텍처에 따라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 결과, 요약문을 분류 자질로 사용한 딥러닝 모델이 가장 우수한 성능(F1=0.62, AUC=0.89)을 보였다. 모델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10개의 라벨 중 9개에서 AUC 값이 0.8 이상으로 분류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OC 커브와 혼동 행렬을 근거로 성능이 낮은 일부 라벨과 라벨 간 연관성을 밝혔다. 이 연구는 한국문학 번역작품을 대상으로 주제별 정량 분석을 수행하고, 소설의 주제 분류에서 딥러닝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기초연구이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ubject headings of 492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fictions and evaluates machine learning-based automatic classification models. Bibliographic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and WorldCat. Subject heading frequencies and FAST facet distributions were visualized, and key labels were selected for multi-label classification. Among various models, deep learning models using summaries as features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F1 = 0.62, AUC = 0.89), with AUC values above 0.8 for 9 out of 10 labels. Additionally, based on ROC curves and confusion matrices, the study identified labels with lower performance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label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deep learning models for classifying subjects in translated Korean literature.

장덕현(부산대학교) pp.625-644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625
초록보기
초록

한국의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업부진 유학생의 증가 및 이들의 중도 탈락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업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유학생들에 대한 지원이 대학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업부진 외국인 유학생들이 겪는 학습 장애 요인과 생활 측면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여기에 대학도서관이 개입할 여지는 없는지 가늠해 보았다.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A대학교에 재학중이면서 학업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수행 과정에서 어려운 점, 정보요구, 도서관 서비스 이용 현황과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대학도서관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서비스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increases, there has been a rise in cases where academic under-performance leads to student dropouts. Consequently, providing suppo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facing academic difficulties has become a key concern for many universities. This study portray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academic difficulties and life challenges faced by low-achiev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explores the potential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in coping with these issues. Focusing on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who are struggling academically, the research examines their challenges in academic performance, information needs, current use of library services, and service nee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ims to propose service strategies for university libraries to better serve international students.

장효정(부산대학교) ; 정철(부산대학교) ; 이용재(부산대학교) pp.645-670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6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인 윤리강령의 윤리적 가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도서관 관장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IFLA에 등록된 44개국의 도서관인 윤리강령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LDA)을 수행한 결과, 국내외 도서관인 윤리강령의 주요 윤리적 가치는 사서의 윤리적 가치와 도덕성, 정책 및 의견 조율, 기관 및 인적 자원 관리, 구성원 역할 수행, 의무 및 규정 준수, 조직 관리, 정보 공개 및 저작권 보호로 도출되었다. 이후 수행된 공공도서관 관장들과의 FGI에서 정보 접근성 보장과 프라이버시 보호, 정치적 중립성 유지, 유료 정보 서비스 도입의 형평성 문제 등에서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ethical values presented in library codes of ethics in Korea and abroad and analyzes public library directors’ perceptions of ethical dilemmas based on these values. By performing topic modeling on the codes of ethics from 44 countries registered with IFLA,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key ethical values: librarians’ ethical values and morality, policy and opinion coordination, institutiona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role fulfillment of members, compliance with duties and regulations, organizational management,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pyright protection. In the subsequent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ublic library directors, participants reported experiencing ethical dilemmas in areas such as ensur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protecting privacy, maintaining political neutrality, and addressing issues of fairness in the introduction of paid information services.

오의경(상명대학교) pp.671-692 https://doi.org/10.4275/KSLIS.2025.59.1.6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AI 활용 특성과 인식을 분석하여 대학도서관의 AI 리터러시 교육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A대학의 5개 단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주로 과제 및 보고서 작성, 시험공부,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을 위해 AI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AI 사용은 용이하다고 인식하였으나 별도의 학습 필요성은 낮게 평가하였다. AI의 학습 기여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생성 정보의 신뢰성은 낮게 인식되었고, 윤리적 측면에서는 AI가 학업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심리적 측면에서는 AI가 학업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불안감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단과대학별로는 AI 기술 수용과 활용, 윤리적․심리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융합공과대학은 AI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한 반면 사범대학은 윤리적 문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대학도서관의 AI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은 높게 평가되었으며, 정보 신뢰성 검토와 학습 활용법에 대한 교육 수요가 높아 이를 포함한 단과대학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from five colleges at University A to analyze college students’ AI usage patterns and perceptions, aiming to explore directions for AI literacy education in academic libraries. Students primarily used AI for writing assignments and reports, exam preparation, and creative idea generation, and while they found AI easy to use, they rated the need for separate AI training low. Although AI’s contribution to learning was positively evaluated, the reliability of AI-generated information was perceived as low. In terms of ethical aspects, students tended to underestimate AI’s impact on academic fairness, while psychologically, AI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academic stress with relatively low anxiety leve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lleges in AI technology acceptance, usage, and ethical-psychological attitudes - the College of Convergence Engineering actively embraced and utilized AI, while the College of Education showed more sensitivity to ethical issues. The need for AI literacy education in academic libraries was highly rated, with high demand for education in verifying information reliability and learning applications, suggesting the need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by college that incorporate these element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