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A Study on New Courses Offered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2, v.46 no.1, pp.29-53
https://doi.org/10.4275/KSLIS.2012.46.1.029
노영희 (건국대학교)
안인자 (동원대학교)
최상기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

keywords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교과목, 신규과목, 교과목개설추이,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Courses, New Courses, Course Offering Trends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courses by investigating the LIS curriculum of Korea in the past 20 years (1991-2011).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courses increased as a whole. As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moved forward to the faculty system (Hakbuje), the number of basic course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core courses decreased. But the opposite phenomenon appeared as universities returned to the department system (Hakgwaje). Also, we investigated the domain-specific distribution of each department by separating the courses of 34 Korean LIS Departments into these seven domains: Gener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cience; Bibliography; and Archival Sc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urses reduced in most domains over the past 20 years, except for the Library Service and Information Science area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ollowing phenomena: disappeared courses, changed course’s names, courses that integrated into a single course, courses that separated into various other courses, and newly emerging courses with the developing age.

keywords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교과목, 신규과목, 교과목개설추이,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Courses, New Courses, Course Offering Trends

참고문헌

1.

구본영, 박미영. 1998.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 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2): 211-235.

2.

구본영. 2000. 디지털정보환경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정보관리학회지』, 17(3): 93-108.

3.

김성수. 1998a. 문헌정보학의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회』, 40-80.

4.

김성수. 1998b. 학부제 관련 문헌정보학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 연구. 『도서관학논집』, 28(1): 355-383.

5.

노동조, 안인자, 노영희, 김성진. 2008. 『주제전문사서 인력 수급 전망 및 제도화 방안 연구』. 서울:국립중앙도서관.

6.

노영희, 최원태. 2004. 『2004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서울: 구미무역.

7.

노영희. 2005a.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59-80.

8.

노영희. 2005b.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발전현황에 대한 비교ㆍ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479-503.

9.

노영희, 안인자. 2009.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변화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29-450.

10.

박일종. 2000. 국내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의 현황 및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2): 197-221.

11.

엄영애. 2003. 문헌정보학과의 코어 교과목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3): 33-49.

12.

오경묵, 장윤금. 2006.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 및 연구의 발전 동향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2): 185-206.

13.

이제환 외. 2005.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의 평가와 요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4): 45-69.

14.

정진식. 1991.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분석과 모형개발. 『국회도서관보』, 28(6): 3-63.

15.

한복희. 1998. 학부제하의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4): 5-29.

16.

한복희. 1999. 변화하는 도서관환경에 대비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2): 179-198.

17.

한상완. 1986. 한국의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주제전문사서의 현황과 기능에 관한 조사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 42-74.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