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조직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리자가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이느냐에 따라 조직의 구성원들을 독려하거나 조직을 운영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원의 직무성과와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영조직으로서의 도서관과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개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직무성과 그리고 역할갈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8개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12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설문내용은 SPSS 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처리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원의 직무성과와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토론을 전개하였다.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can influence organizational management because the types and way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carried out can be determined by the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In tha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on job performance and role-conflict of the library staff. To do so, on top of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ommunication and the library as an organization, this study builds theoretical underpinnings on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job performance and role-conflict of the library staff.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is study surveys 127 library staff from 8 public libraries in Seoul, statistically analyzes the response through the SPSS20 statistical packag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the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a discussion on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on job performance and role-conflict of the library staff follows.
김상희. 2007.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감정과 행동의도에미치는 영향: 정서감염현상을 중심으로. 소비자학 연구 , 18(1): 97-131.
김영돈. 2006. 조직에서 지방공무원의 역할갈등 및 역할 모호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 정부학연구 , 12(2): 197-243.
박문수. 2005.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대학원 경영학과.
신유형. 2008. 팀 수준 개인-조직 및 개인-직무 적합성이 팀 수준 조직시민행동과 팀 효능감에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 16(1): 1-35.
양석준, 최신혜. 2012. 판매 서비스 종사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 10(3): 157-182.
이종목, 박한기. 1988. 직무 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 연구(Ⅰ). 사회심리학연구 , 4(1): 241-262.
장해순, 강태완. 2005. 스피치 교육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 19(1): 163-191.
정윤길, 이규만. 2007. 변혁적 리더십과 집단효능감 및 팀 유효성간의 관계: 공기업 구성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 19(4): 1053-1073.
최항석. 2010. 관리자의 성역할 정체감이 리더십 유효성에 미치는 연구. 산업연구 , 16: 105-117.
Barker, L. L. 1987. Communi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Bishop, J. W. and K. D. Scott. 2000. “Organizational and team commitment in a team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 439-450.
Burke, C. S., Stagl, K. C., Klein, C., Goodwin, G. F., Salas, E. and S. M. Halpin. 2006. “What type of leadership behaviors are functional in teams? A meta-analysis." The Leadership Quarterly, 17: 288-307.
Gross, N. W., Mason, S. and McEachern, A W. 1958. Explorations in Role Analysis. New York: Wiley.
Griffin, E. 1991.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New York: McGraw-Hill.
Gullahorn, J. T. 1956. “Measuring role conflic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1: 299-303.
Hunt, G. T. 1985. Effective Communi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Jehn, K. A., Northcraft, G. B. and Neale, M. A. 1999. “Why differences make a difference:A field study of diversity, conflict, and performance in workgroup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4: 741-763.
Kahn, R., Wolfe, D., Quinn, R., Snoek, J. and Rosentbal, R. 1964. Organizational Stress: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New York: Wiley.
Littlejohn, S. W. 1989.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Belmont. CA: Wadsworth Pub.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Sundaram, D. S. and Webster, C. 2000. “The rol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service encounters.”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14(5): 378-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