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심리 및 신체적으로 성장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를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의 심리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의 품성 및 인성발달을 위하여 필요한 심리요인들로서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을 본 실험연구의 검사도구로 채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수업을 실행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개 학급을 편의모집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남학생 14명, 여학생 1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발달정도를 측정하였다. 또 실험집단에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를 실험 처치하여 결과를 공분산분석(Anova)을 통하여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집단에서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 모두 향상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that applied the Enneagram of Personality to a group of 6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ree variables with the highest correlation—self-encouragement, self-efficacy and sociality—were selected as the assessment tools for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Based on a group of 6th year elementary students as participants, the reading guidance instructions were given applying the Enneagram of Personality, a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ose instruction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기채영, 홍경자. 2008. 아동의 자기격려적 생각, 행동, 감정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11(1): 55-69.
박계현. 2011.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비행청소년의 비행동기 탐색 .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지연. 2007. 독서치료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성격요인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윤운성. 2000. 한국형 에니어그램 . 서울: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이소미. 2007. MMTIC 성격유형과 도서 선호도와의 관련성 .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성미. 2001. MBTI 성격유형과 독자의 심리적 성향의 관계연구 .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교육대학원.
장경희. 2011.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한윤옥. 2008. 독서교육과 자료의 활용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윤옥. 2010. 성격유형과 독서성향 관계에 기초한 독서치료 가능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4(3): 25-59.
Adams, M.J. 1990. Beginning to read: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Cambridge. MA:MIT. Press.
Adler, A. 1926. Understanding Human Nature. Vienna: Greenburg Pub.
Bandura, Albret. 199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s and Action. Prentice-Hall.
Creswell, John W. 2012. Qualitive Inqury and Research Design 3/E, Sage Publication.
Creswell, John W. 김영숙 외 공역. 2011. 연구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 서울:스그마프레스.
Palmer, Helen. 1995. The Enneagram in Love & Work: Understanding Your Intimate &Business Relationships. Harper San Francisco.
Pikulski, J. J. and Kellner, M. 1992. “The repeated, shared reading of big books: More than the memorization of text.” Trade Secrets, 11(2): 3-5.
Riso, Don and Hudson, Russ. 1999. The wisdom of the Enneagram. NY: Bantam Books.
Rhodes, Susan. 2009. The positve Enneagram. NY: Geranium press.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and Rogers, R. E. 1981.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663-671.
http://www.jikim.net 청소년폭력예방재단
http://www.kostat.go.kr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