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정보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정책정보서비스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및 면담분석방법을 통해 정책정보 이용자의 요구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정보이용목적은 연구과제 수행과 정책동향 파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입수경로는 인터넷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자자료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국내자료 이용비율이 높았으며, 해외 자료 중에서는 미국자료 이용률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용하는 자료의 최신성에 있어서 최근 2-5년 사이에 생산된 자료를 많이 이용하고, 많이 활용하는 자료유형은 Web DB(학술지, 학술기사, 전자저널 및 전자형태의 논문 포함) 및 보고서로 나타났으며, 요구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정책정보활용 효율성 고도화 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정부기관 소속 자료실간 협력, 정책정보 생산기관간 협력, 정책정보의 총체적 관리기관을 중심으로 한 국가정책정보의 총체적 수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proposed to seek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by identifying users’ needs for policy information and analyzing policy information users’ behavi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policy information users’ needs and behavior through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purpose of policy information use was figuring out policy trends, and the Internet was the most common search method used in investigating policy information. Second, electronic resources showed a high rate of use, but the domestic material utilization ratio was higher, and the U.S. resources usage of overseas data was the highest. Third, users most often used materials produced within the last 2-5 years, and Web DB (journals, academic articles, etc.) and reports were the most used material types. Fourth, in the survey of opinion about methods for improving policy information utilization efficiency,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libraries, cooperation between agencies producing the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overall national collection of policy information were rated the highest.
권택기. 2010. “2010년도 국정감사.” [online] [cited 2014. 5. 2.]<http://visionk.or.kr/entry/10%EB%85%84-%EA%B5%AD%EA%B0%90-%EC%A7%88%E C%9D%98%EC%9E%90%EB%A3%8C%EA%B2%BD%EC%A0%9C%EC%9D%B8%EB%A C%B8%EC%82%AC%ED%9A%8C%EC%97%B0%EA%B5%AC%ED%9A%8C-2010107>
곽승진, 이응봉, 장덕현, 배경재, 김정택. 2011.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국립도서관 운영전략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2(3): 311-330.
김동욱. 1995. 정책정보 공동이용을 위한 공공부문 정보화. 국가기간전산망저널 , 2(4): 49-61.
김병주. 1999. 대학교수들의 학술정보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0: 29-54.
김주미. 2008. 우리나라 중소기업 정책정보시스템의 현황과 개선 방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 7(4): 61-86.
윤정옥. 2009. 인문학자의 전자정보원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3(2): 5-28.
이명희, 정혜련. 2012. 디자인분야 교수들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 23(1): 299-316.
최은주. 1996. 사회과학 연구자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0(4): 13-38.
최재황. 2009.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구축방안.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 2(1):97-114.
홍현진, 노영희. 2008. 정책정보통합서비스시스템 구축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2(1): 95-125.
Hernon, P. and C. R. McClure. 1988. “GPO Depository Programs: Building ofr the Future."Library Journal, 113: 51-60.
Janowski, Tomasz, Theresa A. Pardo and Jim Davies. 2012. “Government Information Networks-Mapping Electronic Governance cases through Public Administration concept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9(2012): S1-S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