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PISA 2009에서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 및 독서방법과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ibrary Use Factor on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s of PISA 200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3, pp.169-191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169
박주현 (광주광역시교육청)
사공복희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OECD PISA 2009 원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영향력과 책무성을 확인하고 공교육의 내실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PISA 2009에 참여한 우리나라 만 15세 4,989명의 설문자료와 읽기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와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방문은 독서태도,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으며, 독서태도는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독서방법은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집단을 적용한 결과, 일부 개별 경로에서 집단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keywords
도서관방문, 독서태도, 독서방법, 읽기성취도, PISA 2009, Library Use, Reading Attitude, Reading Behavior, Reading Achievement, PISA 200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ducational influence and accountability of school library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education, using raw data of OECD PISA 2009. To do this, the reading achievement as well as questionnaire of 4,989 Korean students’ data in OECD PISA 2009 were used. It analyzed how the visit of library can affect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ibrary use factor is a cause-effect relationship among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s. In addition, the reading attitude is a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behavior factor and reading achievement. In the part of reading behavior is a cause-effect relationship reading achievement. In the results of applying this causal relationship of whole population, in some individual cases, they are activated as moderating variable.

keywords
도서관방문, 독서태도, 독서방법, 읽기성취도, PISA 2009, Library Use, Reading Attitude, Reading Behavior, Reading Achievement, PISA 2009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2002.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김경희 외. 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0-4-2 .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김대석. 2011. 학교 교육과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PISA 2009 한국의 읽기영역에서 교과 및교과외 활동과 성취도 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 29(4): 161-185.

4.

김동화, 서혜애, 김미정. 2013.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중하 집단별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의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3(2): 545-558.

5.

김계수, 송태민. 2012.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한국복지패널 활용방안: 교차타당성과 자기휘귀교차지연 모형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 187: 62.

6.

노국향. 2001. PISA 2000 읽기평가결과분석연구 .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박주현, 이명규. 2014. 국내 학교도서관교육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8(1):299-328.

8.

사공복희. 1994. 대학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9.

송태민, 송주영. 2013. 빅데이터분석방법론 . 서울: 한나래.

10.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행 . 서울: 한나래출판사.

11.

이병기. 2012.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 비교에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3(3): 196-216.

12.

허준.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구조방정식모형 기초편 . 서울: 한나래출판사.

13.

학교도서관진흥법[시행 2013.3.23.][법률 제11690호]. [online] [cited 2014. 5. 6.]<http://www.law.go.kr/main.html>

14.

학교도서관진흥법안(의안번호 170193호). [online] [cited 2014. 3. 3.]<http://likms.assembly.go.kr>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PISA 코드북 및 설문지. [online] [cited 2014. 2. 5.]<http://naea.kice.re.kr/prtl/cont/prov/international.do>

16.

OECD PISA. [online] [cited 2014. 5. 6.] <http://www.oecd.org/pisa/>

17.

OECD. 2010. PISA 2009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Student Performance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Volume I), OECD Publishing.

18.

OECD. 2009a. PISA data analysis manual. [online] [cited 2014. 6. 7.]<http://www.oecd-ilibrary.org>

19.

OECD. 2009b.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 Key competencies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online] [cited 2014. 6. 7.]<http://www.oecd.org/pisa/pisaproducts/44455820.pdf>

20.

OECD. 2012. PISA 2009 Technical Report. [online] [cited 2013. 12. 1.]<http://www.oecd.org/pisa/pisaproducts/50036771.pdf>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