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가 R&D 보고서 원문의 활용성과 및 경제적 기여도 분석

Outcome Measurement and Degree of Economic Contribution for the National R&D Report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5, v.49 no.1, pp.113-128
https://doi.org/10.4275/KSLIS.2015.49.1.113
곽승진 (충남대학교)
최재황 (경북대학교)
김정택 (배재대학교)
박용재 (한국세라믹기술원)
최기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주요 선진국은 공공정보 개방과 재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공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차원의 R&D 사업과 성과물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성과활용 실적은 여전히 낮은 편으로, 연구 성과물에 대한 실질적인 활용분석 및 경제적 기여도 분석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R&D 보고서 원문의 활용도와 경제적 기여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문헌조사,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전문가 자문 등 정량적인 방법과 정성적인 방법을 병행하였다.

keywords
National R&D Reports, Economic Analysis, Outcome Measurement, Useful Value(UV), Willingness to Pay(WTP), 국가연구개발보고서, 경제성 분석, 성과 측정, 유용 가치, 지불 가치

Abstract

As the major developed countries of the world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mmon information and its utilization, they have begun to seek a plan that will facilitate manipulation of common information. Despit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R&D activities and its quantitative increase in Korea, its practical use still remains at a lower level.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analyze practical use and economic contribution in order to achieve higher profits. There are two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purpose is to draw a conclusion by analyzing the practical uses of the National R&D Reports,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evaluate economic contributions by the National R&D Report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survey, focus group interview, and experts’ consultation were conducted as a way to deepen research, simultaneously compris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keywords
National R&D Reports, Economic Analysis, Outcome Measurement, Useful Value(UV), Willingness to Pay(WTP), 국가연구개발보고서, 경제성 분석, 성과 측정, 유용 가치, 지불 가치

참고문헌

1.

곽승진, 김정택, 박용재. 2007. 과학기술분야 학술정보 유통사업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441-462.

2.

김희섭, 정영미. 2005. 온라인 정보의 경제적 가치 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 정보관리학회지, 22(2), 165-184.

3.

류희경. 2006. 국내단행본 원문정보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4.

문화체육관광부. 2009. 공공도서관의 경제적 가치 측정연구.

5.

양오석. 2005. 공공정보 활용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관한연구. 한국데이타베이스진흥원 자문보고서.

6.

양오석. 2006. 공공정보 상업적 활용의 경제적 가치측정 및 파급효과 분석연구.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7.

임창주, 오세홍. 2002.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의 성공적 구축방안. 정보관리학회지, 19(2), 93-108.

8.

정용일, 문영호, 배상진, 김윤종. 2005. 정보분석 보고서의 이용자 만족도 및 경제적 가치평가 측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6(3), 167-180.

9.

영 ‘정부지원 연구 성과물, 인터넷 공개’. 2012. 조선일보. 7월 17일.

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7. 과학기술분야 학술정보 유통사업 성과지표 개발 연구. 대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2. 국가 R&D보고서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서비스 제공방안 연구.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3. 국가 R&D보고서 고부가가치 콘텐츠 활용 및 서비스 전략에관한 연구.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3.

Holt, Glen E., Donald Elliott and Amonia Moore. 2004. Placing a Value on Public Library Services. <http://www.slpl.lib.mo.us/libsrc/restoc.htm>.

14.

Keating, R., O'Brien, D., and Tessler, A. 2013. Economic Evaluation of the British Library.British Library.

15.

NIH. iEdison Overview. <https://public.era.nih.gov/iedison/public/checklist.jsp>

16.

Pung, C., Clarke, A., and Patten, L. 2004. Measuring the Economic Impact of the British Library.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10(1), 79-1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