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재사용과 공유를 위한 수업 자료 큐레이션 시스템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the Curation System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Reusing and Sharing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5, v.49 no.2, pp.135-168
https://doi.org/10.4275/KSLIS.2015.49.2.135
박양하 (건국대학교)
문성빈 (연세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수업 자료의 재사용과 공유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업 자료의 활용현황을 조사한 면담을 통해 현장 교사들이 수업 자료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는 것과 수업 자료 생산 매체 및 수업 자료 사용 목적이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재사용과 공유를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큐레이션 전략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한 정책, 디자인, 표준 및 도구에 대한 전략을 식별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설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업무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개인 작업 공간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업무는 인증, 환경설정, 등록, 보관, 편집을 통한 재사용이다. 공유를 위한 공동 작업 공간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업무는 접수, 저장, 동료 평가, 접근이다.

keywords
큐레이션, 수업 자료, 공유, 재사용, 시스템 설계, Curtion, Instructional Materials, Sharing, Reusing, Design of System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design a curation system to suppor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reusing and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s efficiently. It is proved through interviewing teachers at the chalkface that they utiliz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about the media for creat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purpose of using them.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curation system for reusing and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s are derived from questionnaires. The investigation of the existing curation system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ategies for policy, design, standard, and tools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digital curation system. The tasks and the functions of the curation system design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he tasks related to individual workspace include ‘authentication’, ‘system configuration’, ‘registration’ of created materials, ‘material keeping’ for the individual, and ‘reusing (editing)’. The tasks related to sharing workspace contain ‘receiving’ for sharing, ‘archiving’ for accessing, ‘peer evaluation’, ‘accessing’ through the retrieval, and ‘bulletin board’.

keywords
큐레이션, 수업 자료, 공유, 재사용, 시스템 설계, Curtion, Instructional Materials, Sharing, Reusing, Design of System

참고문헌

1.

곽승진, 신재민. 2014.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발전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5(4), 499-518.

2.

김국현. 2012. 소셜 미디어 생태계에 있어서의 큐레이션 및 유통 플랫폼 설계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2012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39(2), 255-257.

3.

김성천, 양정호. 2007. 전문성을 지닌 교사리더로 성장하기: 협동학습연구회에 대한 문화기술적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7(4), 1-33.

4.

김원중, 양재동, 임종태. 2014. 폐쇄형 SNS에서 소셜 큐레이션에 기반한 지식관리 시스템: KUHB. 정보처리학회지, 21(1), 55-59.

5.

김정숙. 2014. 매쉬업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큐레이팅 서비스 시스템.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7(4), 535-545.

6.

김평화, 정철. 2012. 초․중고등학교 교수자를 위한 협업적 컨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클리핑 도구와카테고리 관리. 한국정보과학회 2012 가을학술발표논문집, 39(2A), 60-62.

7.

박선화. 2013. RVC 적용 쇼핑 큐레이션 방법 연구: 온라인 침구시장의 상품기획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8.

박양하. 2012. 수업 자료 공유를 위한 디지털큐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발표논집, 2012년 11월: 45-64.

9.

사사키 도시나오. 2012. 큐레이션의 시대. 한석주 옮김. [서울]: 민음사.

10.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 2011.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 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

11.

안영희. 2010. 생애주기 기반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한국기록관리학회 창립10주년 기념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2010년 10월: 91-112.

12.

안영희, 박옥화. 2009.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11-326.

13.

안영희, 박옥화. 2010. 디지털 큐레이션 정책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167-189.

14.

염윤정, 최영미, 주문원. 2009. I-Scream: 교수학습 지원 동영상 서비스 모델 개발(1). 2009년도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1), 495-498.

15.

조병호. 2013. 디지털 큐레이션 서비스 동향. 정보통신산업연구원 주간기술동향, 1620(-), 1-10. <www.dbguide.net/upload/24/20131112138422999462510_pdf>

16.

한나은, 김성희. 2014. 외국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비교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1-24.

17.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5. 국가 디지털 아카이빙 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05-ID-01R-5.

18.

Androulakis, S., Buckle, A. M., Atkinson, I., Groenewegen, D., Nicholas, N., Treloar, A., and Beitz, A. 2009. ARCHER-e-Research Tool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1(4), 22-33. [online] [cited 2014. 3. 5.]<http://www.ijdc.net/index.php/ijdc/article/view/99>

19.

Ball, A. 2010. Review of the State of the Art of Digital Curation of Research Data. University of Bath. [online] [cited 2014. 10. 8.] <http://opus.bath.ac.uk/18774/>

20.

Beagrie, N. 2006. Digital Curation for Science Digital Libraries, and Individual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1(1), 3-16. [online] [cited 2011. 10. 10.]<http://dx.doi.org/10.2218/ijdc.v1i1.2>

21.

Beagrie, N., and Pothen, P. 2001. Digital Curation: Digital Archives, Libraries and e-Science Seminor. Aridne Issue 30, January 2002. [online] [cited 2011. 10. 10.]<http://www.ariadne.ac.uk/issue30/digital-curation>

22.

DCC. 2010. Data Dimensions: Disciplinary Differences in Research Data Sharing, Reuse and Long term Viability. DCC SCARP Synthesis Report. [online] [cited 2014. 9. 8.]<http://www.dcc.ac.uk/sites/default/files/SCARP%20SYNTHESIS_FINAL.pdf>

23.

DCC. 2013. Closing the Digital Curation Gap. [online] [cited 2013. 5. 10.]<http://www.dcc.ac.uk/projects/closing-digital-curation-gap>

24.

DCC. 2014. What is digital curation? [online] [cited 2014. 1. 15.]<http://www.dcc.ac.uk/digital-curation/what-digital-curation>

25.

Higgins, S. 2007. ISO 15489. [Edinburgh]: Digital Curation Centre. [online] [cited 2013. 8. 30.] <http://www.dcc.ac.uk/resource/curation-manual/chapters/open-source/>

26.

Jones, Sarah. 2009. A report on the range of policies required for and related to digital curation. [Edinburgh]: Digital Curation Centre. [online] [cited 2014. 3. 5.]<http://www.dcc.ac.uk/sites/default/files/documents/reports/DCC_Curation_Policies_Repo rt.pdf>

27.

Lord, P., and Macdonald, A. 2003. e-Science Curation Report. The JISC Committee for the Support of Research.

28.

McHugh, A. 2005. Digital Curation Manual: Instalment on Open Source for Digital Curation. [Edinburgh]: Digital Curation Centre. [online] [cited 2011. 10. 10.]<http://www.dcc.ac.uk/resource/curation-manual/chapters/open-source/>

29.

Robertson, N. D. 2012. Content Cu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Knowledge Quest, 41(2), 1-5.

30.

Rosenbaum, S. 2011. 큐레이션: 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이시은 옮김. [서울]: 명진출판.

31.

Rusbridge, C., Burnhill, P., Ross, S., Buneman, P., Giaretta, D., Lyon, L., and Atkinson, M. 2005. The Digital Curation Centre: a vision for digital curation. Conference report. Local to Global: Data Interoperability- Challenges and Technologies, Mass Storage and System Technology Committee of the IEEE Computer Society. 20-24 June: 31-41. [online]. [cited 2010. 4. 6.] <http://eprints.erpanet.org/82/01/DCC_Vision.pdf>

32.

UCL(University College London). 2011. [online]. [cited 2011. 11. 24.]<http://www.ucl.ac.uk/dh/events/excursion/archive/2011-07-Wellcome-Collection>

33.

Walters, T., and Skinner, K. 2011. New Roles for New Times: Digital Curation for Preservation. Washington: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online] [cited 2014. 9. 8.]<http://www.arl.org/storage/documents/publications/nrnt_digital_curation17mar11.pdf>

34.

Whittingham, J., Huffman, S., Rickman, W., and Wiedmaier, C. 2013. Technological Tools for the Literacy Classroom. IGI Global. [online] [cited 2014. 5. 23.]<http://books.google.co.kr/books?hl=ko&lr=&id=nqKUMmz9JvcC&oi=fnd&pg=PA46&dq=+multimodal+literacy+instruction+curation&ots=EFLgi-nDdi&sig=Ftstg-HeHvN 4hAc0PGKKcl34dRw#v=onepage&q=multimodal%20literacy%20instruction%20curation &f=false>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