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 평가 - 일상생활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혜택에 대한 전국 성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National Study of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y Services: Measuring the Perceived Benefits of Public Library Services among Korean Adult Library User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5, v.49 no.2, pp.169-194
https://doi.org/10.4275/KSLIS.2015.49.2.169
권나현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성과를 도서관 서비스가 국민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종합적으로 파악하려는 Vakkari와 Serola(2012)의 성과측정지표에 근거하여 한국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들의 인구사회학적 분포에 기반하여 전국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웹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난 1년간 공공도서관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62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일상생활 19개 영역 가운데 응답자의 약 2/3 정도가 “소설 및 비소설류 독서”, “교육 및 학습 기회제공”, “여가 중 자기 계발” 등 세 영역에서 공공도서관의 혜택을 가장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6개 영역에서의 혜택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고 있었다. Vakkari와 Serola성과척도의 요인구조를 우리나라 연구 참여자에게 적용한 결과, 원래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가 발견되었다. 기존의 “일상생활”과 “여가활동” 영역은 유지한 가운데, “일/업무”와 “학습”이 하나의 요인으로 결합되었고, “여가활동”에서 분리되어 나온 “독서/자기계발” 영역이 새로운 요인을 형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서비스 혜택에 대한 인식차를 조사한 결과, 남성은 일/학습, 여성은 독서/자기계발 영역에서 혜택을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 차이가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사회학적 분포에 비례하여 표집한 전국 성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도서관 서비스의 혜택을 조사함으로써 2014년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전체적인 성과 수준을 파악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Public Library Performance Evaluation, Perceived Outcomes,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공공도서관 서비스 평가, 혜택, 인구사회학적 특성, 공공도서관 이용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Korean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using Vakkari and Serola’s (2012) public library outcome scale. Conducting a web-based survey to 1,000 Korean adults nationwide, the responses of 629 respondents who had visited the public library in the past year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19 benefit areas, “reading fiction and non-fiction” was the most perceived benefit area followed by “acquir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elf-development during leisure time”. The benefits were considerably lowly perceived in the rest 16 are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four-factor structure, “reading/self development” were emerged as a new factor in this Korean sample. The benefits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citizens with different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Results informed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c library performance and values perceived by the general Korean adults population across the nation.

keywords
Public Library Performance Evaluation, Perceived Outcomes,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공공도서관 서비스 평가, 혜택, 인구사회학적 특성, 공공도서관 이용

참고문헌

1.

고영만, 심원식. 2011. 도서관 경제성 평가 연구의 비평적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27-52.

2.

국립중앙도서관. 2007.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14-2018. 서울: 동 위원회.

4.

문화체육관광부 제도개선팀. 2008. 2008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관종별 평가지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5.

윤희윤. 2009. 국내 공공도서관 경영평가의 동향과 지향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29-51.

6.

차미경, 표순희. 2008. 공공도서관 향유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29-354.

7.

차미경. 2003.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력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4), 311-328.

8.

표순희. 2014.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혜택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307-329.

9.

표순희, 고영만, 심원식. 2011. 공공도서관 이용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323-341.

10.

한국. 보건복지부. 2008. 아동종합실태조사. [online] [cited 2015. 5. 14.]<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TX_117_2009_H8015&conn_pa th=I2>

11.

한국. 여성가족부. 2011. 청소년종합실태조사 보고서. [online] [cited 2015. 5. 14.]<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54&tblId=DT_MOGE_3020300118&conn_path=I2>

12.

한국토지주택공사. 2014. 도시계획현황. [online] [cited 2015. 5. 14.]<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15&tblId=TX_315_2009_H1114&conn_pa th=I2>

13.

한국. 통계청. 2010. 201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online] [cited 2015. 5. 14.]<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IN0001_ENG&conn_path =I2>

14.

홍현진, 이용남. 1999. 공공도서관의 성과평가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2), 45-68.

15.

Bertot, J. C. et al. 2011. 2010-2011 public library funding and technology acess survey:Survey findings and report. College Park, Md: Information Policy & Access Center,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16.

Chulef, A., Read, S., and Walsh, D. 2001. Hierarchical taxonomy of human goals." Motivation and Emotion, 25, 191-232.

17.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1996. Measuring quality:International guidelines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n academic libraries. Paris: K. G. Saur.

1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13.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ISO/DIS 16439. Methods and procedures for assessing the impact of libraries. Retrieved at http://www.iso.org/iso/catalogue_detail.htm?csnumber=56756.

19.

McClure, C., and Bertot, J. 1998. Public library use in Pennsylvania: Identifying uses, benefits and impacts. Harrisburg, PA: Pennsylvania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0.

Rossi, P., Lipsey, M., and Freeman, H. 2004. Evaluation. A systematic approach. 7th ed. Thousand Oaks, Calif.: Sage.

21.

Vavrek, B. 2000. Is the American public library part of everyone’s life? American Libraries, 31(1), 60-64.

22.

Vakkari, P. 2014a.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various countries. A session proposal for presentations at the 6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Libraries.

23.

Vakkari, P. 2014b. Models explaining the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Documentation, 70(4), 640-657.

24.

Vakkari, P. et al. 2014.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Finland, Norway and the Netherlands." Journal of Documentation, 70(5), 927-944.

25.

Vakkari, P., and Serola, S. 2012.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2012), 37-44.

26.

Sin, Sei-Ching J. 2014. Demographic Differences in Perceived Outcomes of U.S. Public Librarie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Libraries International Conference. No. QQML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