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은 개별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선정하여 정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쓰거나 발표하는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인 ‘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인 ‘정보표현하기’를 충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탐구 과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의 탐색 전략과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를 이해하고 종합하는 능력 그리고 탐구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 등을 지도함으로써 사회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의 탐구 활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정보활용능력을 기반으로 한 협동수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under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and find out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on the side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ho carry out the inquiry tasks of social studies should select sources, seek its’ related information and create their products through writing reports or presentation. Compared with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the First step of task definition and figuring out information needs and the Third step of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re being implemented. For this reason, teacher librarian could reduce social studies teachers’ burden of class and promote students’ inquiry activities by teaching skills of suitable materials seeking strategies for solving their task, understanding and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and evaluating their process and resul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collaborative teaching between the teacher librarian and the social studies teacher based on the information literacy.
김찬빈. 2009.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탐구 활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창환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좋은책 신사고.
김창환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좋은책 신사고.
김영순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두산동아.
김영순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두산동아.
교육과학기술부. 2012. 사회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부. 2013.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교육부. 2014. 제2차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 계획. 세종: 교육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2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 결과 보고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류재명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천재교과서.
류재명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천재교과서.
박명규, 한상완. 2005.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167-194.
송기호. 2011.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활용능력 위상 강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9-50.
송기호. 2014. 사서교사를 위한 통합정보활용교육론. 대구: 태일사.
송기호, 김태수. 2008. 교과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대한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5(3), 41-64.
신동령. 2010.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활동의 활용 실태 및 적합성 분석: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옥일남. 2012.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 활동 분석. 시민교육연구, 44(1), 51-90.
이간용. 2005. 초등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색: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 44(3), 151-171.
이진석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지학사.
이진석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지학사.
장정인. 2009. 중등 사회과 교과서 정치 영역의 탐구 과제 분석: 행위능력 요구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5(1), 107-138.
전민제. 2011. Bloom의 교육목표분류에 근거한 2007개정 고 1 사회 교과서 일반사회 영역의탐구 과제 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조민. 2008.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탐구 활동의 분석: 10학년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조영달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미래엔.
조영달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미래엔.
최성길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비상교육.
최성길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비상교육.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한국도서관협회.
Callison, D., and Preddy, L. 2006. The Blue Book: on Information Age Inquiry, Instruction and Literacy.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Lee, Virginia S. 2011. The Power of Inquiry as a Way of Learning. Innovative Higher Education, 36, 149-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