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n Information Need of Materials Related to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2, pp.147-181
https://doi.org/10.4275/KSLIS.2016.50.2.14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aims to bound the preliminary material for the disabled to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reference research and survey are conducted the disabled, protector, professional, researcher and teacher. The result, disabled and the persons involved in primary source of disability was a portal site. Critical information types were job board, mobile access to (traffic)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so on. Also, Able-bodied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for disabled people was low and acquisition of data feel it is hard and availability of critical information types, depending on the types of disability and acquisition the difference appeared.

keywords
Disabled, Information Need, Information Type, Information Acquisition, Disability Material, 장애인, 정보요구, 정보유형, 정보획득, 장애자료

Reference

1.

강숙희. 2001. 시각장애인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4):229-256.

2.

강숙희. 2010.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

3.

국립중앙도서관. 2012. 장애인도서관서비스 평가지표 및 기준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김민철, 이지연. 2013.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2), 169-188.

5.

류명화. 2001. 장애인 컨텐츠 이용욕구 및 지원방안 연구. 재활복지, 5(1), 1-31.

6.

문선화 외. 2005. 장애인복지론. 파주: 양서원.

7.

보건복지부. 2015.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8.

윤정옥. 2011. 장애인 정보포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7-47.

9.

이원경, 서은경. 2012. 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년 8월 16일, 서울: 한성대학교: 33-36.

10.

이정연. 2010. 유럽국가의 장애인 도서관서비스 정책에 관한 질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3):147-168.

11.

이준우, 박종미. 2009. 청각장애인의 지식정보서비스 이용 욕구와 사회복지실천 과제. 재활복지, 13(2), 257-285.

12.

장덕현, 임신영. 2005. 지체장애인의 정보소외 양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89-108.

13.

장보성, 서만덕, 남영준. 2012. 우리나라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87-107.

14.

장우권, 박성우, 정대근. 2016. 장애인 분야 주제가이드 및 서비스 모델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101-132.

15.

정재영, 정혜미. 2010.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189-207.

16.

조주은. 2003.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장애 유형과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6(2), 147-173.

17.

표윤희. 2014.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담당사서의 인식 조사. 특수교육, 13(2), 239-268.

18.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4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

Childers, T. 1975. The Information-Poor in America. Metuchen, NJ: The Scarecrow Press. Inc.

21.

Stevens, C. H. et al. 1973. Library Pathfinders: A New Possibility for Cooperative Reference Servic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31(4), 40-46.

22.

Tchangalova, N., and Feigley, A. 2008. Subject Guides: Putting a New Spin on an Old Concept. Electronic Journal of Academic and Special Librarianship, 9(3), 80-88.

23.

WHO. 1980. ICID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Geno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4.

WHO. 1997. ICIDH - 2: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ova: World Health Organ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