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NCS Duty Compon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by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3, pp.215-247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215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를 도서관 실무에 적용했을 때 현장 사서들이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의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이용자 정보서비스’,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동시에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구성요소는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이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의 우선순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문헌정보 서비스 마케팅’, ‘문헌정보 보존’, ‘문헌정보 이용 분석’의 6개 능력단위가 최우선순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keywords
National Competence Standard (NCS),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Duty, Duty Components, Duty Importance, Duty Utilization, 국가직무능력표준, 문헌정보관리 직무, 직무 구성요소, 중요도, 활용도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components that librarians think preferentially necessary and realistically important when applying the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to the library working environments. It was possible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ability unit and its elem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First, ability units of ‘User Information Services’,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were higher in importance and utilization at the same time. Ability uni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al Research Perform’, ‘Library and Information Cu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were lower in importance and utilization when we evaluate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ability unit and its elem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Second, components of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User Information Service’, ‘Library and Information Collec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and compon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u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al Research Perform’ were found lower in demands as the desirable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ppear less common when we analyzed the demands on the duty components utilizing Borich requirements analysis model. Third, six ability units of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User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Collec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Marketing’, ‘Library and Information Preserv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Use Analysis’ were derived as priority components when we analyzed the priority of the duty component (ability unit) utiliz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keywords
National Competence Standard (NCS),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Duty, Duty Components, Duty Importance, Duty Utilization, 국가직무능력표준, 문헌정보관리 직무, 직무 구성요소, 중요도, 활용도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 외. 2014.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 패키지. 세종: 고용노동부.

2.

교육부. 2015.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개발, 운영 및 평가, 질 관리. 세종: 교육부.

3.

국립중앙도서관. 2007.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사서제도 개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권선영, 백지원, 차성종. 2015.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141-169.

5.

김동연, 김진수. 2013.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 22-46.

6.

김수경. 2009. 공과대학 교수를 위한 공학교육 연수프로그램 개발 교육요구도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공업교육전공.

7.

박정근. 2015. NCS 기반 세무와 회계 감사 직무의 능력단위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지, 29(5), 79-103.

8.

박주호, 이정표, 박윤희. 2013.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요구도분석. 직업교육연구, 32(1), 83-105.

9.

윤관식. 2010. 민간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역할과 직무분석. 직업교육 연구, 29(4), 149-163.

10.

이향숙. 2011. 작업치료사 핵심직무 분석과 경력과 치료 분야에 따른 직무.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1), 1-14.

11.

이화진, 조영화. 2015.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비서 직무 중요도 분석. 비서학논총, 24(2), 29-52.

12.

안상란, 임규연. 2015.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탐색. 교육방법연구, 27(3), 375-400.

13.

정제영 외. 2014.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373-396.

14.

정진현. 2013. 유․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4), 163-186.

15.

조대연. 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16.

차성종. 2015.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55-379.

17.

차성종. 2016.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457-491.

18.

최정임. 2009.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 가이드. 서울: 학지사.

19.

한국산업인력공단 NCS센터. 2015. 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매뉴얼.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20.

한국산업인력공단. 2016. 국가직무능력표준. [online] [cited 2016. 6. 19.]<http://www.ncs.go.kr/ncs/page.do?sk=P1A1_PG01_003>

21.

Bishop, B. W., Cadle, A. W., and Grubesic, T. H. 2015. Job Analyses of Emerging Information Professions: A Survey Validation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s Map and Geospatial Information Round Table (MAGIRT) Core Competencies to Inform Geographic Information Librarianship (GIL) Curriculum. Library Quarterly, 85(1), 64-84.

22.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23.

Bronstein, J. 2015. An Explora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 Skills and Personal Competencies: An Israeli Perspectiv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7(2), 130-138.

24.

Mckillip, J. 1987. Needs Analysis: Tools for the Human Services and Education. CA: Sage Publications.

25.

Mink, O. G., Shultz, J. M., and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Somerset Consulting Group.

26.

Zarafshani, K., and Baygi, A. H. A. 2008. What Can a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Tell Us about In-Service Training Needs of Faculty in a College of Agriculture? The Case of Ira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14(4), 347-357.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