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Study about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Alternative Formats for Bibliotherapy of the Disabled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4, pp.165-184
https://doi.org/10.4275/KSLIS.2016.50.4.165

Abstract

Generally, Bibliotherapy is aimed to cure the emotional or psychological wounds by using books for common users as self-treatment. But, Bibliotherapy for disabled people is carried out by alternative formats instead of a book. In library for the disabled, it is developing various bibliotherapy programs, but not yet activated. In order to carry out bibliotherap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ibliotherapy catalog preferentially. However, most Bibliotherapy catalogs are created for the common users, not for disabled people specially. How to make the special catalog for disabled people and catalog of alternative formats according to pathological symptom or situation is still a big problem. Basing on this premise, the author examined the necessity of bibliotherapy catalog for disabled people,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bibliotherapy. And then, the author proposes plans of bibliotherapy for how to build the bibliotherapy for disabled people.

keywords
대체자료, 독서치료, 독서치료 독서목록, 장애인, 치유서, Alternative Formats, Bibliotherapy, Bibliotherapy Catalog, Disabled People, Self-helf Book

Reference

1.

국립장애인도서관. 2016. 국립장애인도서관 홈페이지.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 [online] [cited 2016. 10. 16.] <http://nlid.nl.go.kr/able?act=bookLibraryList>

2.

국립장애인도서관. 2015.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이론과 실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14.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12. 2011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김선호. 2011. 문헌정보학 분야의 신체장애 및 독서 치료 관련 연구 동향. 사회과학연구, 22(1):133-150.

6.

김용수. 2012. 독서치료를 활용한 사회통합 인성 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1-23.

7.

김정근. 2004. 김정근의 독서치료 이야기. 출판저널, 342, 148-149.

8.

김정심, 남영준, 서만덕. 2015. 전자출판물 활용을 위한 독서장애인 요구에 관한 연구: 시각 및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 75-97.

9.

백록담, 김유승. 2016.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대체자료 연구: 정책 및 법령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135-155.

10.

백재은. 2015. 독서치료 독서목록에서의 카테고리와 치유서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217-239.

11.

보건복지부. 2015.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online] [cited 2016. 10. 16.]<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

12.

원동연, 유혜숙, 유동준. 2013. 5차원 독서치료. 파주: 김영사.

13.

이현주, 강상경. 2009. 장애인의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자원 및 우울의 관계: 한국복지패널 장애인부가조사를 이용하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3, 193-217.

14.

장보성, 김규환, 이현정. 2009. DAISY 포맷 기반의 디지털음성도서 개발 및 서비스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95-315.

15.

표윤희. 2014.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담당사서의 인식 조사. 특수교육, 13(2), 239-268.

16.

한국도서관협회. 2004.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7.

한국점자도서관. 2016. 한국점자도서관 홈페이지. 서울: 청송교육문화진흥회. [online] [cited 2016. 10. 16.] <http://infor.kbll.or.kr/index/index.php>

18.

황룽씬, 공순구. 2015.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 운영체계 및 시설기준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년 4월 24일, 서울: 명지대학교: 153-156.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