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duce Components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4, pp.97-120
https://doi.org/10.4275/KSLIS.2016.50.4.097
이시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장우권 (전남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도서관문화의 정의를 규명하고, 공공도서관문화의 구성요소들을 객관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의 생각과 경험을 수집한 뒤 그 내용을 수렴하여 최종 요소를 도출하는 델파이기법과 도출된 요소를 바탕으로 요소별 쌍대비교를 통해 요소간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검증할 수 있는 계층적의사결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델파이기법과 계층적의사결정방법에 의해 도출된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패널(문헌정보학과 교수와 도서관 사서)을 대상으로 1․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문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29개 요소(물질문화 6, 비물질문화 23)를 추출하였으며, 2차 조사에서는 21개 구성요소(물질문화 3, 비물질문화 18)를 도출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를 쌍대비교를 통해 나타난 우선순위는 <정신문화>, <행동문화>, <물질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가중치가 가장 높은 요소로는 <물질문화>의 ‘자료 이용 및 이용법’. <정신문화>의 ‘사서의 가치관’, <행동문화>의 ‘도서관 윤리․의식’으로 나타났다.

keywords
공공도서관, 문화, 도서관문화, 공공도서관문화,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 Public Library, Cultural, Library Cultural, Public Library Cultural, Public Library Cultural’s Components

Abstract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deduce components of a public library culture and define a library culture. Thus, the study gathers the opinions and the experiences of the expertise in this specific area of a library culture. Furthermore, the study takes gathered informations and dates into consideration, to derive a measurement of final components, delphi technique. Through usage of Delphi technique, it allowed selected final components to operat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ements, which then it helps to measure each element’s critical importance, identify priorities of each element by using a hierarchical decision making method.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used a two-step delphi survey which was conducted on a panel of experts (Facul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and the librarians), deduced the components of a library culture. In the primary survey, the study found 29 components (material culture 6, non-material culture 23). In the secondary survey, it deduced 21 components (material culture 3, non-material culture 18). Seco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prioritization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components presented in following orders, <cultural values>, <cultural behavior>, and <cultural materialism>. The Most weighted values of each components were, <cultural materialism> of ‘data usage and its method.’; <cultural values> of ‘core values of librarianship’; <cultural behavior> of ‘library ethical consciousness.’ appeared as such.

keywords
공공도서관, 문화, 도서관문화, 공공도서관문화,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 Public Library, Cultural, Library Cultural, Public Library Cultural, Public Library Cultural’s Components

참고문헌

1.

강은영, 장덕현. 2012. 공공도서관의 자료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457-479.

2.

고영복. 1997. 문화사회학.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3.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2. 외국도서관 최근동향 Ⅵ. 도서관연구소자료집, 38. 서울: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1. 외국도서관 최신동향 Ⅴ. 도서관연구소자료집, 32.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0. 외국도서관 최근동향 Ⅳ. 도서관연구소자료집, 25. 서울:국립중앙도서관.

6.

김용성. 2002. 사상이 있는 도서관 문화: 항일 시대 사립 고등교육기관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24, 131-154.

7.

김용성. 1999. 도서관 문화를 조명한다. 인문과학연구논총, 21, 207-229.

8.

김용환. 2002. 머리 사냥과 문화 인류학: 문화의 다양성을 통한 인간 본성의 탐구. 서울: 도서출판 열린책들.

9.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설립․운영전략 매뉴얼.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0.

서혜란, 김선애, 강은영. 2008.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131-156.

11.

손연기. 1997. 정보문화지수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15, 183-208.

12.

안진성. 2010.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조경전공.

13.

유태용. 1999. 문화란 무엇인가. 서울: 학연문화사.

14.

윤희윤. 2011. 국내외 공공도서관 직원배치기준의 분석과 시사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73-95.

15.

이두영. 1990. 변천하는 사회와 도서관문화의 재조명. 도서관문화, 31(6), 256-264.

16.

이상복 외. 2013. 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183-209.

17.

이용남. 1996. 우리 도서관문화의 현주소. 도서관문화, 37(6), 8-14.

18.

조근태 외. 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19.

한상복, 이문웅, 김광억. 2011. 문화인류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

20.

한상완, 서혜란, 곽철완. 1997. 21세기 공공도서관 발전방향 및 모델개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2), 217-242.

21.

Bierstedt, R. 1957. The Social Order: The Social Order. New York: McGraw-Hill.

22.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23.

Ogburn, W. F. 1922. Social Change with Respect to Culture and Original Nature. New York:Viking Press.

24.

Saaty, T. L. 1983. Conflict Resolution and The Falkland Islands Invasions. Interfaces, 13(6), 68-83.

25.

Tylor, E. B. 1871.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Language, Art and Custom. London: J. Murray.

26.

White, L. A. and Dillingham, B. 1973. The Concept of Culture.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mpan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