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to objectively deduce components of a public library culture and define a library culture. Thus, the study gathers the opinions and the experiences of the expertise in this specific area of a library culture. Furthermore, the study takes gathered informations and dates into consideration, to derive a measurement of final components, delphi technique. Through usage of Delphi technique, it allowed selected final components to operat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ements, which then it helps to measure each element’s critical importance, identify priorities of each element by using a hierarchical decision making method.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used a two-step delphi survey which was conducted on a panel of experts (Facul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and the librarians), deduced the components of a library culture. In the primary survey, the study found 29 components (material culture 6, non-material culture 23). In the secondary survey, it deduced 21 components (material culture 3, non-material culture 18). Seco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prioritization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components presented in following orders, <cultural values>, <cultural behavior>, and <cultural materialism>. The Most weighted values of each components were, <cultural materialism> of ‘data usage and its method.’; <cultural values> of ‘core values of librarianship’; <cultural behavior> of ‘library ethical consciousness.’ appeared as such.
강은영, 장덕현. 2012. 공공도서관의 자료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457-479.
고영복. 1997. 문화사회학.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2. 외국도서관 최근동향 Ⅵ. 도서관연구소자료집, 38. 서울: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1. 외국도서관 최신동향 Ⅴ. 도서관연구소자료집, 32.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0. 외국도서관 최근동향 Ⅳ. 도서관연구소자료집, 25. 서울:국립중앙도서관.
김용성. 2002. 사상이 있는 도서관 문화: 항일 시대 사립 고등교육기관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24, 131-154.
김용성. 1999. 도서관 문화를 조명한다. 인문과학연구논총, 21, 207-229.
김용환. 2002. 머리 사냥과 문화 인류학: 문화의 다양성을 통한 인간 본성의 탐구. 서울: 도서출판 열린책들.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설립․운영전략 매뉴얼.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서혜란, 김선애, 강은영. 2008.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131-156.
손연기. 1997. 정보문화지수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15, 183-208.
안진성. 2010.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조경전공.
유태용. 1999. 문화란 무엇인가. 서울: 학연문화사.
윤희윤. 2011. 국내외 공공도서관 직원배치기준의 분석과 시사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73-95.
이두영. 1990. 변천하는 사회와 도서관문화의 재조명. 도서관문화, 31(6), 256-264.
이상복 외. 2013. 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183-209.
이용남. 1996. 우리 도서관문화의 현주소. 도서관문화, 37(6), 8-14.
조근태 외. 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한상복, 이문웅, 김광억. 2011. 문화인류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
한상완, 서혜란, 곽철완. 1997. 21세기 공공도서관 발전방향 및 모델개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2), 217-242.
Bierstedt, R. 1957. The Social Order: The Social Order. New York: McGraw-Hill.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Ogburn, W. F. 1922. Social Change with Respect to Culture and Original Nature. New York:Viking Press.
Saaty, T. L. 1983. Conflict Resolution and The Falkland Islands Invasions. Interfaces, 13(6), 68-83.
Tylor, E. B. 1871.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Language, Art and Custom. London: J. Murray.
White, L. A. and Dillingham, B. 1973. The Concept of Culture.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