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n Visual Literacy for Picture Books: Implications for Librarians Providing Reader’s Adviso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7, v.51 no.2, pp.23-48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023

Abstract

Picture books, as a genre, are characterized by conveyance of ideas through linguistic texts, visual texts, and the complementary interactions between them. The writer of a picture book develops and delivers his or her ideas with textual contents written in a unique style, while the artist conveys the writer’s ideas through pictures where things, objects, and figures are imbued with various emotions. Understanding a picture in a picture book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both the structure shown on the surface and the underlying structure that adapts and visualizes the philosophy and ideas of the writer. In light of the discussion abov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help librarian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visual literacy for picture books, as visual literacy is required for the provision of readers’ advisory services regarding picture books. This method, which is based on behavioral psychologist Rudolf Arnheim’s theory of visual thinking, is expected to help librarians write picture book reviews or other secondary materials.

keywords
시각적 문식성, 그림책, 그림읽기, 그림책 서평, 시각적 사고, 그림책 독서지원서비스, Visual Literacy, Picture Books, Reading of Picture Books, Picture Book Reviews, Visual Thinking, Reader’s Advisory Services for Picture Books

Reference

1.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편. 2012. 어린이(5~10세)의 독서 및 도서관이용 현황조사. 서울: (재)한국출판연구소.

2.

김종성, 김은옥. 2010. 공공도서관 어린이 열람실 장서구성의 영향요인 변화와 개선과제에 관한연구: 그림책 장서평가를 중심으로. 인문학논총(계명대학교), 15(2), 139-172.

3.

김지영. 2008. 그림책의 그림읽기 수업을 통한 시각 문식성 향상에 관한 연구. 독서교육연구, 2(2008), 65-83.

4.

노명완, 이차숙. 2002. 문식성 연구. 서울: 박이정.

5.

민경록. 2008. 포스트모더니즘을 기반으로 한 패러디 그림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회, 2008년 5월 30일,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89-110.

6.

민경록. 2015. 어린이그림책의 서평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7.

민경록. 2017. 어린이그림책 서평의 이해: 어린이그림책 선택 및 이용을 위한 안내서. 서울:한국도서관협회.

8.

박소라, 김정선. 2011. 시각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전략.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0, 27-53.

9.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1995.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s.v. 형태심리학. [online][cited 2017. 3. 17.]<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2737&cid=42126&categoryId=42126>

10.

송경진, 차미경. 2014. 문헌정보학과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있어서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215-240.

11.

신혜선. 2002. 아동문학상 수상 유아그림책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유아교육학과.

12.

유지연 글․그림. 2014. 엄마의 초상화. 서울: 이야기꽃.

13.

이유나. 2015. 교사의 발문을 통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방안 탐색: Arnheim의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를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23-51.

14.

이차숙. 2013. Are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기초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 전략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79(2013), 1-21.

15.

주지창, 김광식. 2012. 최근 중국에서의 일본 아동문학에 대해서. 아동문학평론, 37(3), 49-53.

16.

진선미. 2011. 형태지각 원리에 기초한 시각 연상 지도와 어린이의 표현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재인용. 이유나. 2015. 교사의 발문을 통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방안 탐색:Arnheim의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를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23-51.

17.

한유경. 2013. 아른하임의 시지각이론으로 본 아동미술표현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재인용. 이유나. 2015. 교사의 발문을 통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방안탐색: Arnheim의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를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23-51.

18.

현은자 외. 2007. 그림책과 예술교육. 서울: 학지사.

19.

현은자 외. 2004. 그림책의 그림읽기. 서울: 마루벌.

20.

현은자, 김세희. 2005. 그림책의 이해. 1권. 파주: 사계절.

21.

Browne, A. 1998. Voices in the Park. London: Picture Corgi.

22.

Browne, A. 1990. Changes. 허은미 옮김. 2003. 달라질 거야. 서울: 아이세움.

23.

Arnheim, R. 1969. Art and Visual Perception. 김춘일 옮김. 1996. 美術과 視知覺. 서울:미진사.

24.

Arnheim, R. 1997. Visual Thinking. 2nd ed. 김정오 옮김. 2004. 시각적 사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5.

Burningham, J. 1977. Come Away from the Water, Shirley. 이상희 옮김. 2003. 셜리야, 물가에 가지 마!. 서울: 비룡소.

26.

Cali, D. and Bloch, S. 2013. Grand Livre da la Bagarre. 정혜경 옮김. 2014. 싸움에 관한 위대한책. 파주: 문학동네.

27.

Huber, A. and Olten, M. 2006. Der 99-Zentimeter-Peter. 조국현 옮김. 2008. 99센티미터 한스. 파주: 토마토하우스.

28.

Isaccs, K. T. 2013. Picturing the World: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r Children. 윤정옥역. 2014. 세상그리기: 어린이를 위한 정보그림책.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9.

Nikolajeva, M. 2005. Aes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An Introduction. 조희숙외역. 2009.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파주: 교문사.

30.

Nikolajeva, M. and Scott, C. 2001. How Picturebooks Work. 서정숙 외역. 2011. 그림책을보는 눈: 그림책의 분석과 비평. 서울: 마루벌.

31.

Nodelman, P. 1988. Words about Pictures: The Narrative Art of Children’s Picture Books. 김상욱 옮김. 2011. 그림책론: 어린이 그림책의 서사 방법. 파주: 보림.

32.

Ruth, H. and Climo, S. 1993. The Korean Cinderella. New York: HarperCollinsPublisher.

33.

Salisbury, M. and Styles, M. 2012. Children’s Picturebooks. 서남희 옮김. 2012. 그림책의 모든것. 서울: 시공사.

34.

Shulevitz, U. 1997. Writing with Pictures: How to Write and Illustrate Children’s Books. 재인용. 현은자, 김세희. 2005. 그림책의 이해. 파주: 사계절.

35.

The Publishers Association. 2015. PA Statistics Yearbook 2014. London: The Publishers Association. 재인용. 미래출판전략연구소 편. 2015. 독자의 도서발견 채널과 국내외 책의 발견성강화 동향. 전주: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36.

Kress, G. and van Leeuwen, T. 1996. Reading Images: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재인용. Salisbury, M. and Styles, M. 2012. Children's Picturebooks: The Art of Visual Storytelling. London: Laurence King Publishing Ltd.

37.

Wiesner, D. 2001. Three Pigs. 이옥용 옮김. 2002. 아기돼지 세 마리. 서울: 마루벌.

38.

Otsuka, Yuzo and Akaba, Suekichi. 1967. Suho and the White Horse. 이영준 역. 2001. 수호의하얀말. 서울: 한림출판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