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적용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평가 과목의 수강생 26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설문과 사후설문을 실시하여 그 변화를 측정하였고,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고,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은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하위요인들인 리더의 양상, 의견 교환, 의견 평가, 그리고 의견 통합에 대하여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과, 학습의 실제성 중 자원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LIS education affects student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a positive direction and if the authenticity of the project has any relationship with their self-efficacy for group work. 26 student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y took the “Evaluating Digital Library Systems” course with the same set of questions asking about their perceptions on the individuals’ capabilities to successfully perform group tasks an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project’s authenticity. The paired sample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in terms of their capabilities as a leader as well as exchanging, evaluating, and integrating ideas when performing group activities. In addition, the authenticity of the project’s task shows som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student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강명희, 김나리. 1999. 학습과제의 실제성 인식수준에 따른 학습동기와 성취도 변화. 교육공학연구, 15(1), 25-42.
강명희, 윤성혜. 2015.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공유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뢰, 지식공유의도의 예측력. 학습과학연구, 9(3), 22-46.
강인애. 2001.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권선경, 이지연, 장진이. 2015. 학업적 열등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6(3), 87-106.
김경아. 2013. 협동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집단구성방식이 의사소통 불안, 협력적 자기효능감및 과제수행과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교육행정 융합전공.
김성욱. 2016. 모바일 탐구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공학전공.
김성원. 2011.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1-46.
김세영, 강명희. 2016.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1), 85-110.
노영희, 심효정, 곽우정. 2017.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69-102.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5-29.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55-82.
박성익,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박지희, 고장완. 2016. 협동학습 맥락에서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26(1), 169-192.
박효선. 2016.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문제해결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 인지된성취도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서연화, 심현애. 2016.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효과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17(2), 185-196.
안인자 외. 2012. 사서직 진출분야별 전공교과목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373-402.
오성은. 2014.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대한 학업적효능감, 협력적 효능감, 사회적 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유지원. 2014.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89-110.
유지현. 2016. 학습공동체 참여 활동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전략,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수준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187-206.
윤희정. 2006.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의 실제성(Authenticity), 학습동기, 성취도와의관계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이정미. 2013.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103-124.
이정애, 최웅용. 2011.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포부 간의 구조관계모형. 진로교육연구, 24(4), 95-109.
임규연. 2011. 집단탐구(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 성과의 관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6(2), 19-36.
임규연. 2012.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6), 65-74.
임규연, 김시원, 김영주. 2015. 협력학습 환경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의관계: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685-707.
임규연, 김희준, 박하나. 2014.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참여와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69-78.
정종기. 2010. 예비교육사서를 위한 PBL환경의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221-239.
조미아. 2014. PBL을 적용한 사서교사와 중국어 교과교사의 협력수업 사례 연구: S고등학교학생의 학습흥미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65-88.
최상기 외. 2013. 국내외 문헌정보학 주요교과목 강의계획서분석을 통한 수업내용 및 방법 비교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223-245.
한동균, 김성욱. 2015.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의 설계 및 적용 가능성 모색. 사회과수업연구, 3(2), 85-108.
한승희. 2008.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81-101.
Alavi, S. B., and McCormick, J. 2008.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mbers’ 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3), 375-393.
Almaguer, I., Diaz, Z., and Esquierdo, J. J. 2015. Project-Based Learning: Innovative Pedagogy for 21st-Century English Learners. Teacher Education and Practice, 28(1), 177-189.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공역. 1999.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이론적 기초와 발달적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박영신, 김의철 공역. 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건강․운동․조직에서의성취. 서울: 교육과학사.
Markham, T., Larmer, J., and Ravits, J. 2003. Project 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2nd ed. 노선숙, 김민경, 임해미 공역. 2007. 프로젝트기반학습 입문서: 중등교사를 위한 기준중심프로젝트기반학습 안내서. 파주: 교육과학사.
Thomas, J. W.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The Autodesk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