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울산대표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User's Perception Survey for Activation of Ulsan Representative Librar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7, v.51 no.3, pp.133-161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133
곽승진 (충남대학교)
장덕현 (부산대학교)
노영희 (건국대학교)
강은영 (신라대학교)
김정택 (배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건립되는 울산의 대표도서관인 울산도서관의 운영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용자 및 도서관 직원대상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용자들의 협력형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 공공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를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울산 공공도서관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방안에 있어서, 직원의 경우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 등 미디어 매체 활용을 가장 높게 선호하고 있는 반면, 이용자는 이러한 매체 활용에 대해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고 오히려 견학프로그램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서활동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뿐 아니라 예술․문화 등 다양한 문화 활동 체험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부분에서는 이용자와 직원 사이에 어느 정도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User’s Perception Survey, Activation of Representative Library, Ulsan Library, Formulat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이용자 인식조사, 대표도서관 활성화, 울산도서관, 운영종합계획수립

Abstract

A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formulat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for Ulsan Library,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develop directions for the future library services by performing surveys on the users and library staffs. Consequently, first, the users have demonstrated such a high demand for collaborative services, such as make possible variable library services using a single membership ID across the nation.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among the two groups in regards to the awareness of promotional methods for the facilitation of the use of public library in Ulsan. That is, while the staffs highly preferred the use of media such as newspaper, magazines, and radios, users demonstrated the converse and, instead, preferred field trip programs. Third, there seemed to be a certain level of agreement by and among the users and staffs in respect of the library’s roles such as that of providing diverse education and programs on reading activities, and that of enabling diverse cultural activities such as arts and culture.

keywords
User’s Perception Survey, Activation of Representative Library, Ulsan Library, Formulat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이용자 인식조사, 대표도서관 활성화, 울산도서관, 운영종합계획수립

참고문헌

1.

강희경, 장덕현, 이수상. 2014. 부산대표도서관 건립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489-511.

2.

김세훈, 심효정. 2008. 지역대표도서관 설립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319-337.

3.

김영기, 장덕현, 이용재. 2015. 지역대표도서관의 조직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51-70.

4.

노영희 외. 2017. 충남대표도서관의 장서구성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8(1), 235-264.

5.

류웅재 외. 2010. 경기도 도서관의 연계화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경기개발연구원.

6.

배순자. 2008.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지역공공도서관과의 협력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45-59.

7.

배순자, 김병재. 2006. 도(道) 광역대표도서관 건립계획에 관한 일고(一考),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59-78.

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부산대표도서관 건립 기본계획 연구. 부산: 부산광역시.

9.

서울도서관. 2012. 서울도서관 건립 백서. 서울: 서울도서관.

10.

신선주, 강순애. 2016. 서울시 자치구 대표도서관 성인대상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157-185.

11.

신지연, 김유승. 2011.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29-150.

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경기도 대표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및 운영방안 연구. 경기: 경기도청.

13.

유재우, 구본진, 장덕현. 2015. 지역대표도서관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291-309.

14.

윤희윤, 장기섭. 2007. 지역대표도서관의 아동서비스용 웹사이트 분석. 정보관리연구, 38(4), 22-47.

15.

장덕현 외. 2014. 지역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119-139.

1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지역대표도서관 기반조성 및 운영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7.

한복희 외. 2010.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협력체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267-295.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