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미국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20년과 ‘한 책’의 분석

An Analysis of ‘One Book’s Selected in Twenty Years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s in the U.S.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7, v.51 no.3, pp.45-64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045
윤정옥 (청주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98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에서 선정된 책들의 선호도, 분류기호, 주제표목, 발행연도, 장르 등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지향점을 이해하는 것이다. 2017년 4월 LC(Library of Congress) 도서센터 웹사이트에 등록된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주별 및 작가별 리스트를 기반으로 전체 선정 책 1,102권 및 단 한 개 프로그램에서 선정된 책 812권의 LC OPAC 서지레코드 735건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To Kill a Mockingbird 등 선호된 책들의 계속적 영향력과 ‘The Big Read’를 통한 ‘한 책’의 수명 연장, 발행 1-2년 된 신간에 대한 선호, LC 분류체계의 P(문학 및 어학) 주제 집중(530권, 72.1%)과 PS(미국문학)의 압도적 중요성(307권, 57.9%), 가정소설, 역사소설, 심리소설 장르의 높은 비중과 43개 장르의 분산, 고유한 주제표목 535개 중 “City and town life”와 “World War, 1939-1945”(8권) 표목의 중요성 및 개별 주제표목들의 다양성, 96개 주제표목 그룹에서 “African American...”(20권)과 “Woman...”(16권)으로 시작하는 그룹의 중요성 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선정 책들의 주제가 통합, 이해, 관용 등에서 인권, 환경, 평화 등으로 변화하고 다양화하는 현황과 추이를 기술하였으나, 책 선정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및 독서운동이 가져온 실제적 변화 등은 다루지 못한 제한점을 가진다.

keywords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Public Libraries in the U.S.A, Community Movement, Subject Diversity, American Literature,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미국공공도서관, 지역사회 운동, ‘한 책’, 주제 다양성, 미국문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community reading campaign in the U.S.A. known as ‘One Book, One City’ reflected in the books selected for this campaign for the past 20 years in terms of their classification numbers, subject headings, publication dates, and genres. Analyzed are the author and state lists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Promotions Projects available from the website of the LC(Library of Congress) Center for the Books, and bibliographic records of 735 books selected in only one ‘One Book’ program, accessed from LC OPAC. Major findings include continuing influences of the all-time favorite ‘One Book’ selections, including To Kill a Mockingbird and the extension of their span of life through The Big Read, preference for the recent publications, importance of P(Literatures and Languages) Class(530 titles, 72.1%) and PS(American Literatures) subclass(307 titles, 57.9%) in the LC Classification Scheme, distribution of books in 43 genres, including domestic fiction, historical fiction, and psychological fiction, etc., the use of 535 unique LC subject headings and much interests in “City and town life”(10 titles) and “World War, 1939-1945”(8 titles), and prominence of subject groups which begin with “African American...” and “Woman...” out of 96 groups of subject headings. It is found that the subjects and focus of the selected books expand from integration, understanding, integrity to human rights, environment, peace, etc.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at the influence of the selected books and the changes in communities are not properly analyed.

keywords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Public Libraries in the U.S.A, Community Movement, Subject Diversity, American Literature,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미국공공도서관, 지역사회 운동, ‘한 책’, 주제 다양성, 미국문학

참고문헌

1.

우윤희, 김종성. 2014. 우리나라 ‘한 도시 한 책’ 운동 선정도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309-336.

2.

윤정옥. 2005.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동향과 특성의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27-44.

3.

윤정옥. 2009. 미국의 지역사회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The Big Read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311-333.

4.

윤정옥. 2012.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선정 책의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47-68.

5.

윤정옥. 2013.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5-27.

6.

윤정옥. 2014a.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선정 책의 현황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171-194.

7.

윤정옥. 2014b. ‘한 권의 책’으로서 앵무새 죽이기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115-133.

8.

윤정옥. 2015. ‘한 권의 책’으로서 화씨 451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185-208.

9.

이용재. 2008.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현 단계와 발전전략: ‘원북 원부산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247-265.

10.

이용재. 2009.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5-23.

11.

조찬식. 2013.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201-221.

12.

Dempsey, B. 2009. One Great Idea. Library Journal, 134(14), 19-22.

13.

Griswold, W., and Wohl, H. 2015. Evangelists of Culture: One Book Programs and the Agents Who Define Literature, Shape Tastes, and Reproduce Regionalism. Poetics, 50, 96-109.

14.

Library of Congress. 2007. MARC 21 Bibliographic - Full. 655 - Index Term-Genre/Form (R). [online] [cited 2017. 6. 6.] <https://www.loc.gov/marc/bibliographic/bd655.html>

15.

Library of Congress. 2017a. The Center for the Books. Local/Community Resources. [online][cited 2017. 4. 2.] <http://www.read.gov/resources/state.php>

16.

Library of Congress. 2017b. The Center for the Books. ‘One Book’ Reading Promotion Projects:Selected List by Author. [online] [cited 2017. 4. 1.]<http://www.read.gov/resources/authorlist.php>

17.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NEA). 2017. History/Overview of NEA Big Read. [online][cited 2017. 6. 24.] <http://www.neabigread.org/program_history/>

18.

New York City Mayor’s Office of Media and Entertainment. 2017. One Book, One New York—the World's Largest Community Read—Finishes With a Bang. [online] [cited 2017. 6. 24.] <http://www1.nyc.gov/site/mome/initiatives/1book1ny.page>

19.

Rockman et al. 2009. The Big Read: Case Studies. Submitted to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ED511704.

20.

Sloan, K., Honeyford, M., and Bass, K. 2008. A Book Club for a Nation, Built Chapter by Chapter. The Big Read. Final Report. Submitted to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by Rockman et al.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