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역할모델(부모, 교사, 친구)과 독서유효성(독서지속의지, 독서몰입, 독서만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국어성적, 내신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국어성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독서역할모델 중 아버지(1.9%)와 어머니(3.4%)였으며, 독서유효성 요인 중에는 독서지속의지(8%)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쳤다. 내신성적의 경우 독서역할모델 요인 중 어머니(3.4%)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독서유효성은 독서지속의지(10.4%), 독서몰입(4.0%), 독서만족(1.9%)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독서지속의지를 제외하고는 그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reading role model(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reading effectiveness(reading satisfaction,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immersed reading) refle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Korean Language performance and middle school reco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were father (1.9%) and mother (3.4%) among reading role models. Among reading effectiveness factors,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8%) was the only effective factor. In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record, the mother (3.4%) had the only effect among the reading role models, and reading effectiveness was influenced all factors such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10.4%), immersed reading (4.0%) and reading satisfaction (1.9%). However, except for the factor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the it found the influence was insignificant.
곽수란. 2004. 가족배경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6/17, 51-60.
교육과정평가연구원. 2008. 200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국어. 서울: 교육과정평가연구원.
김경근, 변수용. 2007. 한국사회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7(1), 23-51.
김대희, 엄해영. 2012. 부모의 읽기 태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학생의 읽기 태도와의 상관성 연구. 한국초등교육, 23(4), 39-51.
김병주. 1975. 아동의 독서실태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사서교육전공.
김양분, 김난옥. 2015.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53(3), 31-60.
김재철. 2005. 성별과 학습선호도 유형에 따른 독서흥미, 독서량, 인지전략, 학문적 자신감, 읽기소양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19(1), 93-114.
류보라. 2012. 청소년 독자의 문식성 실행과 정체성 구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국어교육학과.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년 국민독서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박은아, 송미영. 2008.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국어과의 읽기 능력과 사회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사회과교육, 47(3), 241-266.
박혜숙. 2008. 시간에 따른 중학생의 독서태도, 독서습관, 독서시간과 국어성취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9(3), 27-49.
백병부, 김경근. 2007. 학업성취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구조적 관계. 교육사회학연구, 17(3), 101-129.
변미경. 2013. 초등학생들의 독서 실태와 독서 지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
소연희. 2008. 독서흥미, 독서활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성이 국어과 학업성취에 미치는효과. 교육방법연구, 20(2), 75-90.
오승호. 2015. 사회과 대화교육의 한계와 대안에 관한 연구. 법교육연구, 10(2), 29-54.
유백산, 김경근. 2013. 가정배경, 가정 내 의사소통 방식,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51(3), 1-33.
이병기. 2010. 초․중등 학생의 독서 플로우 성향과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51-72.
이순영. 2006.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독서연구, 16, 359-381.
정대근. 2014. 청소년 독서유효성 영향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정옥년. 1998. 책 읽기와 사람됨: 독서(讀書)와 청소년(靑少年) 지도(指導). 독서연구, 3, 183-220.
정옥분. 2008. 청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정이화. 2016. 부모와의 대화, 독서, 학습활동이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교육, 55(2), 19-35.
조증열, 이임숙. 2004.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독서, 학업효능감 및 학업성적간의 인과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17(1), 127-143.
최숙기. 2010. 중학생의 읽기 능력 발달 양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허재영. 2006. 독서 교육 연구사: 학교 독서 교육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15, 207-240.
Arroyo, A. et al. 2012.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 and Adult Child Shyness, Social Skills, and Perceived Family Communication.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12(4), 249-264.
Baker, L., Dreher, M. J., and Guthrie, J. T. 2000. Engaging Young Reader: Promoting Achievement and Motivat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De Graaf, N. D., De Graff, P. M., and Kraaykamp, G. 2000.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Sociology of Education, 73(2), 92-111.
Dimaggio, P. 1982.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2), 189-201.
Downing, J., Ollila, L., and Oliver, P. 1977. Concepts of Language in Children from Differing Socio-Economic Background.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0(5), 277-281.
Gambrell, L. B. 1996. Creating Classroom Cultures that Foster Reading Motivation. The Reading Teacher, 50(1), 14-25.
Kush, J. C., and Watkins, M. W. 1996. Long Term Stability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 Read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9, 315-320.
Manning, G. L., and Manning, M. 1984. What Models of Recreational Reading Make a Difference? Reading World, 23(4), 375-380.
McGee, L. M., and Richgels, D. J. 1990. Literacy'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and Writers. Massachusetts: Allynd Bacon.
McKenna, M. C. 1994. Toward a Model of Reading Attitude Acquisition. In Fostering the Love of Reading: The Affective Domain in Reading Education. Edited by Cramer, E. H., and Castle, M. New Jersey: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8-40.
McKenna, M. C., Kear, D. J., and Ellsworth, R. 1995. Children Attitude Toward Reading:A National Surve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0(4), 934-956.
Wheldall, K., and Entwistle, J. 1988. Back in the USSR: The Effect of Teacher Modeling of Silent Reading on Pupils' Reading Behavior in the Primary School Classroom. Educational Psychology, 8(1-2), 5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