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America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that the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8, v.52 no.2, pp.49-72
https://doi.org/10.4275/KSLIS.2018.52.2.049
박주현 (Visiting Scholar, University of Missouri)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ASL이 2018년에 발행한 「학습자, 사서교사, 학교도서관을 위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문서에 제시된 기준의 체계와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의 방향과 내용에 참고할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ASL의 미국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은 학습자 기준과 사서교사 기준, 학교도서관 기준 및 이들 3개의 기준을 통합한 통합 학교도서관 기준틀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이라는 시설과 공간에서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와 교육자인 사서교사의 교육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역량을 성장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이라는 물리적인 환경이 어느 정도 구축된 상황에서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교육내용과 역량에 관한 기준을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내용을 포함한 자료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정보활용교육, 독서 리터러시, 역량, 학습자, 사서교사, Information Literacy, Reading Literacy, Competency, Learners, Teacher Librari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US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presented in the document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for Learner, Librarian and School Libraries made by AASL,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refer to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Korean school library standards. AASL’s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provide Learner Standards, School Librarian Standards, School Library Standards and Standards Integrated Frameworks that incorporate three previous standards, and emphasize the growth of learners and school librarians’ competency b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learners and school librarians.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school library being somewhat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and competency of learners and teachers. And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materials includ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keywords
정보활용교육, 독서 리터러시, 역량, 학습자, 사서교사, Information Literacy, Reading Literacy, Competency, Learners, Teacher Librarians

참고문헌

1.

교육부. 2018. 초․중등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8-150호[별책1]. [online] [cited 2018. 4. 20.] <http://ncic.go.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2.

교육인적자원부. 2002.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구본영. 1986. 미국의 도서관학 교육-사서교사교육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논문집, 15, 173-201.

4.

김효정. 1997.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1), 71-104.

5.

목수정. 2011.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21-234.

6.

박명규. 2003.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과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4(2),83-95.

7.

변우열. 2004. 학교도서관-2003년판 학교도서관기준의 의의와 특징. 도서관문화, 45(2), 27-29.

8.

변우열, 송기호, 이미화. 2014. 학교도서관 헌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73-92.

9.

변우열, 이병기. 2006.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4), 111-141.

10.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1995. 『교육학 대백과사전』. 서울: 하우동설.

11.

유사라. 2017. 학교도서관․사서교사 주제 학술논문의 연구 성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 181-201.

12.

윤희윤 등. 2010. 『한국도서관기준 개정 연구: 최종보고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3.

이경화, 송기호. 2016.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통합 주제 중심의 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85-104.

14.

이병기. 2009.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03-223.

15.

장우권, 박주현. 2013. 학교도서관진흥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335-358.

16.

최영임.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교과서 수록 읽기자료를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4), 429-448.

17.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8.

한국도서관협회. 1967. 학교도서관기준. 도협 월보, 8(5), 7-10.

19.

한국도서관기준특별위원회. 2013. 『2013년판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교과서편찬위원회. 2011. 도서관과 정보생활,. 미래엔컬처그룹.

21.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8a.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Student Learning for Student Learning: Standard and Indicators. Chicago: ALA.

22.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8b.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ALA.

23.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07.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Chicago: ALA.

24.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09a. Empowering Learners: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Chicago: ALA.

25.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09b.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 Chicago: ALA.

26.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16. Definition of an Effective School Library Program. [online] [cited 2018. 4. 13.] <http://www.ala.org/aasl/essa/effective>

27.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18a. AASL Standards Framework for Learners. Chicago: ALA.

28.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18b.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for learners, School Librarians, and School Libraries. Chicago: ALA.

29.

Anderson, Lorin W. et al. ed.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30.

Bloom, Benjamin S. et al.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New York: McKay.

31.

Gagne, R. M. 1985. The conditions of learning and theory of instruction. 4th ed. 전성연, 김수동 공역. 1998. 『교수-학습 이론』. 서울: 학지사.

32.

Google. 2017. Classroom. [online] [cited 2018. 4. 1.]<https://edu.google.com/intl/ko/products/productivity-tools/classroom>

33.

Loertscher, David V. 2018. A Review of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for Learners, School Librarians, and School Libraries. Teacher Librarian. 45(3), 36-48.

34.

OECD. 2010. PISA 2009 Results: Executive Summary. [online] [cited 2018. 2. 1.]<https://www.oecd.org/pisa/pisaproducts/46619703.pdf>

35.

OECD. 2016. PISA 2018 Draft Analytical Frameworks. [online] [cited 2018. 1. 2.]<https://www.oecd.org/pisa/data/PISA-2018-draft-frameworks.pdf>

36.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15. Every Student Succeeds Act (ESSA). [online] [cited 2018. 3. 1.] <https://www.ed.gov/es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