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탐색-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es through Library Cultural Program: Focused on Eco Genera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8, v.52 no.3, pp.335-361
https://doi.org/10.4275/KSLIS.2018.52.3.335
이경아 (연세대학교)
김기영 (연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에코 세대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 및 인식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에코 세대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및 그 분석을 통해 문화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그 기저에서 드러나는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프로그램 비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이 타 기관의 프로그램과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가능성 높은 원인으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의 결여가 지목되었다. 따라서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 강화를 위한 향후 연구,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협력, 지역 내 문화 관련 기관과의 협의 및 정책관점에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keywords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 Non-user, User, Eco-generation, Perception,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비이용자, 이용자, 에코 세대, 인식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Eco-generation’s perception on public libraries depending on the use of cultural programs. For this purpose,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public library users in the Eco-generation in order to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nd their underlying identity. The results identifies that user experience of library cultural programs did not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in users’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Furthermor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n cultural programs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other cultural organizations. A possible explaining factor to the results based on the interviews and existing research reports was identified as the lack of identity in the library cultural programs. Consequently, further studies on public libraries’ identity, cooperation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in public libraries, discussion with cultural organizations in the library district, and considerations in public policy are suggest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identity in the library cultural programs.

keywords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 Non-user, User, Eco-generation, Perception,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비이용자, 이용자, 에코 세대, 인식

참고문헌

1.

감미아, 이지연. 2013.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 비교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197-215.

2.

곽동철. 2005.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적 역할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69-91.

3.

곽철완 외. 2009.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97-208.

4.

권남익. 1996.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실태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5.

김기영, 최윤희. 2012. A Suggestion of Criteria for Categorizing Libraries into Types: Linking between Library and Information. 정보관리학회지, 29(1), 395-404.

6.

김도연. 1998. 『공공도서관의 사회교육적 기능을 위한 문화프로그램 고찰: 아동 및 청소년 문화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7.

김수경. 2006. 독서의 본질과 독서 프로그램 운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235-263.

8.

김은정. 1995.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9.

김종성. 2013. 문헌정보학 분야 어린이서비스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51-75.

10.

김홍렬. 2004.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339-360

11.

노동조, 송유안. 2011. 문화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및 선호도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275-299.

12.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세종: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13.

문화체육관광부. 2012. 『전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14.

문화체육관광부. 2017.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online]. [cited 2018. 6. 24.]<https://www.libsta.go.kr/libportal/main/main.do>

15.

박래은. 2016.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특성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6.

박미영. 2007.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315-339.

17.

박성우. 2016. 실행공동체 사례연구를 통한 공공도서관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4), 339-358.

18.

박은정. 2000.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가 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도서관 이용도와인식도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발표논집, 2000년 8월 17-18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교수연구관: 227-230.

19.

박재흥. 1995. 신세대의 일상적 의식과 하위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학, 29(FAL), 651-683.

20.

심효정, 이용훈. 2003.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4), 153-177.

21.

안인자, 박미영. 2011. 공공도서관 다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79-301.

22.

윤유식, 곽용섭. 2005. 지역주민의 장소애착심에 따른 관광지 평가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4(2), 511-525.

23.

윤희윤, 김일영. 2018. 도서관 직원 및 이용자의 일반열람실 인식도 분석: 경북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1), 1-22.

24.

윤희윤. 2016. 공공도서관 인문학 향연의 담론.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1-20.

25.

이경민. 2003.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및 독서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4), 127-151.

26.

이소연. 2004.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3-43.

27.

이용훈. 2006.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확대를 위한 독서진흥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99-113.

28.

이정미. 2014.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 분석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고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131-152.

29.

이정호. 2011.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장소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209-234.

30.

이정호. 2012.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253-278.

31.

이혜윤, 이지연. 2014.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와 도서관 이용의 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 277-297.

32.

장덕현. 2014.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173-192.

33.

장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71-292.

34.

조찬식. 2008.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171-188.

35.

최막중, 김미옥. 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학로와 로데오 거리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6(2), 153-162.

36.

최흥식, 서진순. 2009. 전북지역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분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227-242.

37.

통계청. 2012. 『베이비부머 및 에코 세대의 인구․사회적 특성분석』. 서울: 통계청.

38.

홍민희, 남태우. 2004.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주부 참여가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2), 117-139.

39.

홍희경. 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40.

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219-244.

41.

Aabø, S., Audunson, R., and Vårheim, A. 2010. How Do Public Libraries Function as Meeting Place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2(1), 16-26.

42.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5 Strategic Plan. [online] [cited 2018. 6. 24.]<http://www.ala.org/aboutala/sites/ala.org.aboutala/files/content/governance/StrategicPla n/Strategic%20Directions%20June%2028%202015.pdf>

43.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5. Case studies: Libraries Transforming Communities. [online] [cited 2018. 6. 24.]<http://www.ala.org/tools/librariestransform/libraries-transforming-communities/case-stu dies>

44.

Briggs, C. L. 1986. Learning How to Ask.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Christensen et al. 1975. Research Methods, Design, and Analysis. Boston, MA: Pearson.

46.

Cicourel, A. V. 1964. Method and Measurement in Sociology. New York, NY: 7Free Press.

47.

Etter, J. 1994. Cultural Programs: the Flowering of the Public Library. Current Studies in Librarianship, 18(1/2), 18-24.

48.

Feldman, R. M. 1990. Settlement-Identity: Psychological Bonds with Home Places in a Mobile Society." Environment and Behavior, 22(2), 183.

49.

Grimshaw, A. D. 1969. Language as Data and as Obstacle in Sociological Research. Items, 23(2), 17-21.

50.

Gross, M. 2001. Imposed Information Seeking in Public Libraries and School Library Media Centres: A Common Behavior? Information Research, 6(2).

51.

Johnson, A. C. 2012. How Do Public Libraries Create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Interactions Between Library Staff and Patron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1), 52-62.

52.

Kertzer, D. 1983.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Annual Review of Sociology, 9, 125-149.

53.

Kvale, S. 1984.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a Phenonmenological and Hermeneutical Mode of Understanding.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14(2), 171-96.

54.

Robotham, J. and LaFleur, L. 1976. Library Programs: How to Select Plan and Produce Them. Metuchen. New Jersey, NJ: Scarecrow Press.

55.

Li, Y., and Belkin, N. J. 2008. A Faceted Approach to Conceptualizing Tasks in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4(6), 1822-1837.

56.

Limberg, L. 2007. Learning Assignment as Task in Information Seeking Research. Information Research, 12(1).

57.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58.

Robertson, D. A. 2005. Cultural programming for libraries: Linking Libraries, Communities, and Culture.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59.

Rubin, R. E. 1998. Foundation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ew York: Neal-Schuman Publisher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