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valuation elements on teen space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to study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for teen space in public libraries. To this end, six items of space evaluation factors; Convenience, Accessibility, Safety, Diversity, Comfort and Emotionality - were derived based on the teen space guidelines by the Young Adult Library Service Association and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also conducted a case study on teen spaces of five public libraries in Seoul. As a result, teen space in libraries requires use guidance and convenience facilities,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maintenance of user guidelines, various spaces for teens, pleasant library environment and learning motivation promotion, and provision space to support all necessary resources of teens.
강미희, 홍현진. 2012. 어린이도서관 공간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219-243.
곽철완. 2005.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149-167.
김민경. 2017. 이용 트랜드 변화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구성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5(4): 253-263.
김정훈, 이용재. 2014. 공공도서관의 유동적 개방을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아동청소년의 사용공간과 연계하여. 『청소년시설환경』, 12(3): 167-175.
김태승, 김은자. 2008. 도서관 이용자 행태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11-328.
김희경. 2010. 청소년 여가공간의 구성을 위한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여가학연구』, 7(3): 73-95.
노영희. 2018. 『특화도서관 시범운영 모델 및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박창현. 2016. 울산대학교 아산도서관 리모델링으로 보는 도서관 공간의 재구성. 『디지틀 도서관』, 83: 147-156.
이경란, 한복희. 2009. 공공도서관 청소년프로그램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115-130.
이성미. 2016. 긍정적 청소년 개발 개념에 근거한 청소년 여가시설의 개선점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37: 55-65.
이수경, 김준경. 2015.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3(1): 199-210.
이연옥. 2007. 고등학생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107-134.
이은영, 김성준. 2017. 대학도서관 이용행태에 따른 공간 분류의 평가요소 도출 및 그에 따른 분석사례. 『기초조형학연구』, 18(5): 423-436.
이정미. 2015. 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정보 이용 분석 연구: 청소년과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291-314.
이지연, 안준범, 오혜영, 서혜린. 2018. 공공도서관 어린이청소년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5(3): 189-214.
장아리. 2019.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과 청소년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8(2): 129-137.
장아리. 2018. 공공도서관 공간특성 및 청소년 이용태도 조사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4:153-164.
장예, 이진우, 남경숙. 2014. 공공 어린이도서관 자료열람실의 실내환경디자인 평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3(5): 183-191.
정상원, 황연숙. 2018. 사춘기 청소년의 개인공간 스타일 유형화 및 선호도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7(5): 3-12.
정유리, 서진아, 조연주, 황연숙. 2016. 청소년 특성에 따른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공간특성에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64-167.
지선, 장윤금. 2017.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 461-480.
YALSA. 2012. National Teen Space Guidelines. [online] [cited 2019. 6. 5.]<http://www.ala.org/yalsa/sites/ala.org.yalsa/files/content/guidelines/guidelines/teenspace s.pdf>
청소년 기본법. 2019.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9. 7. 11.]<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5824&efYd=20190619#0000>
공공도서관통계보기. 2017.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online] [cited 2019. 7. 11.]<https://www.libsta.go.kr/libportal/libStats/publicLib/unitStats/getUnitStatsPop.do?gubun =STEP0000000001&libGubun=LIBTYPE002>
James B. Hunt Jr. [online] [cited 2019. 7. 3.]<Libraryhttps://www.lib.ncsu.edu/huntlibrary>
Hamilton Grange Teen Centre. [online] [cited 2019. 7. 3.]<https://www.archdaily.com/233607/hamilton-grange-teen-center-ricelipka-architects>
The Mix at SFPL. [online] [cited 2019. 7. 9.] <https://themixatsfpl.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