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598X
본 연구는 국외 오픈액세스 분야를 대상으로 LISTA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키워드 집합을 두 가지 유형(통제키워드, 비통제키 워드)으로 구분하고, 각 키워드 유형별로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지적구조 분석의 또 다른 방법인 프로파일링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는 지를 살펴보고, 동시출현단어 분석과 프로파일링의 차이점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키워드 유형별로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의 결과는 동시출현단어 분석과 유사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프로파일링과 동시출현단 어 분석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의 결과 간에도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키워드를 사용하는 지적구조 분석은 연구 목적에 따라 키워드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정 분야의 연구 동향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시출현단어 분석보다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divided the keyword sets searched from LISTA database focusing on the overseas open access fields into two types (controlled keywords and uncontrolled keywords), and examined the results of performing an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based on profiling for the each keyword type. In addition,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n intellectual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co-word analysis. Through this, I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similar results were derived from profiling, another method of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co-word analysis and profiling results. As a result, there was a similar difference to the co-word analysis in the results of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based on profiling for each of the two keyword types. Also, there were also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intellectual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profiling and co-word analysis. Therefore,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using keywords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eyword type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nd better results can be expected to be used based on profiling than co-word analysis to more clearly understand research trends in a specific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