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기 위한 도서관 정책 및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Policy and Performance Analysis to Practice Social Inclus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1, v.55 no.4, pp.245-266
https://doi.org/10.4275/KSLIS.2021.55.4.245
노영희 (건국대학교)
신영지 (지식콘텐츠연구소)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기 위해 현재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 발표된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해당 정책을 기반으로 중앙행정기관과 시․도 도서관에서 추진한 과제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적극적 정보 복지 실현 측면에서는 지식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으나, 향후 대상 범위를 확대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체제 구축 및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공간의 개방성 확대 측면에서는 열린공간으로서의 개방공간 확장 및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이 수행되고 있다. 향후 지속적인 공간 재구성을 위한 예산 투자 및 이용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범위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경계를 넘는 서비스의 연계 측면에서는 영․유아, 어린이, 여성, 노인, 소외계층, 구직자, 다문화 가정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향후 도서관의 포용적 서비스 확장을 위한 서비스 제도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련 부처들간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향후 사회적 포용을 위한 정책 수립 시 장서, 프로그램, 공간에 대한 과제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한 사서의 교육과 유관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마케팅에 관한 추진과제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도서관종합발전계획, 포용적인 도서관, 사회적 포용, 도서관 정책,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Inclusive Library, Social Inclusion, and Library Policy

Abstract

In this study, in order to practice the social inclusion of libraries, the related policies currently announced in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were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asks promoted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libraries was examined based on these policies. As a result, first, in terms of active information welfare realization, various programs and services are being implemented to bridg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gap, but it seems that the scope of the target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Second, in terms of expanding the openness of the space, the expansion of the open space as an open space and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are being performed. In the future, it seems that the scope of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should be expanded in consideration of budget investment for continuous space reconstruction and diversity of users. Third, in terms of linking services across boundaries, services and programs are provided to infants and toddlers, children, women, the elderly, the underprivileged, job see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uture, it seems that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system for the expansion of inclusive services in libraries should precede, an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ministries should be made to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future policy-making tasks for social inclusion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for books, programs, and spaces, but also for librarians' education,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networks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marketing for services and programs.

keywords
도서관종합발전계획, 포용적인 도서관, 사회적 포용, 도서관 정책,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Inclusive Library, Social Inclusion, and Library Polic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