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1, v.55 no.4, pp.67-87
https://doi.org/10.4275/KSLIS.2021.55.4.067
구본진 (부산대학교)
장덕현 (부산대학교)

초록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의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접근성의 불균형적인 분포는 도서관 서비스의 공평한 제공을 제한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인구수나 대중교통 이용과 무관하게 입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형평성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현황을 이해하고,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접근성 격차 완화 및 신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간적 접근성, 공간계량모형, 공간회귀분석, GIS 분석, 공간적 분포, 공간적 형평성, Public Libraries, Spatial Accessibility, Spatial Econometrics Model, Spatial Regression, Aanalysis, GIS Analysis, Spatial Distribution, Spatial Equity

Abstract

Public library accessibility directly affects library usage, and the disproportionate distribution of accessibility is a decisive factor limiting the equitabl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and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the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showed large deviations by region. Also,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libraries had no correlation with the settled population and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location of public libraries was inefficient, in terms of social equ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ssist to understand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accessibility. Moreo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releasing disparities of the spatial accessibility and selecting new location of public library in Busan.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간적 접근성, 공간계량모형, 공간회귀분석, GIS 분석, 공간적 분포, 공간적 형평성, Public Libraries, Spatial Accessibility, Spatial Econometrics Model, Spatial Regression, Aanalysis, GIS Analysis, Spatial Distribution, Spatial Equ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