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경북지역 공공도서관 격차분석 연구

A Study on the Gap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buk Reg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2, v.56 no.1, pp.5-25
https://doi.org/10.4275/KSLIS.2022.56.1.005
윤희윤 (대구대학교)

초록

대다수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을 지식정보센터, 복합문화공간, 평생학습시설, 제3의 장소다. 이러한 정체성과 역할에 충실할 때 회자되는 사회적 오마주가 지식정보 아고라, 문화기반시설, 도시의 거실, 민중의 대학이다. 그런데 국가나 지역을 불문하고 공공도서관 상호간에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면 지역별 주민의 접근이용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정보격차 및 지역격차의 동인으로 작용하며, 사회격차 및 문화복지 격차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지역문화시설의 요체로 간주하고 지역 간의 상대적 격차가 문화격차를 유발한다는 전제 하에 시도별 및 경북지역의 시군별 입지계수, 투입지표(서비스 대상인구, 연면적, 직원수와 사서수, 운영예산과 자료구입비, 도서수), 산출지표(자료실 이용자수, 대출책수, 강좌 참가수)를 이용하여 상대적 격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입․산출지표의 상관 및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경북지역 시군별 공공도서관의 지표별 관리모형 및 격차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도서관 격차, 정보격차, 문화격차, 도서관 입지계수, 투입지표, 산출지표, Public library, Library gap, Digital divide, Cultural gap, Library location quotient, Input indicator, Output indicator

Abstract

In most countries, public libraries are knowledge information centers, complex cultural spaces, lifelong learning facilities, and third places for local residents. The social homage spoken on the premise of this identity and socio-cultural role i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gora, cultural infrastructure, living room in the city, and the university of the people. However, if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public libraries regardless of country or region, it will inevitably lead to information gaps, regional gaps, and cultural inequality and cultural welfare gaps among local residents. This study is regarded as the essence of regional cultural facilities and premised that the regional gap in public libraries is a factor of regional cultural gaps. Based on this premise, the gap between the location quotient, input indicators, and output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of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and basic local governments in the Gyeongbuk region was analyzed. And this study derived core elements through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input and output indicators of all public libraries nationwide, developed a management model for each indicator, and suggested a plan to resolve the relative gap for public libraries by city and county in Gyeongbuk.

keywords
공공도서관, 도서관 격차, 정보격차, 문화격차, 도서관 입지계수, 투입지표, 산출지표, Public library, Library gap, Digital divide, Cultural gap, Library location quotient, Input indicator, Output indicator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