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실습기관 인식조사 기반 표준현장실습의 도입논의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tandard Field Practice Based on the Awareness Survey of Field Training Institu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2, v.56 no.3, pp.153-179
https://doi.org/10.4275/KSLIS.2022.56.3.153
노영희 (건국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표준현장실습학기제의 도입의 가능성과 무급운영이 가능한 자율 현장실습학기제 운영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장실습기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이들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대응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기관의 직무관련 교육시간의 배정시간을 포함하여 운영시간 및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인식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표준현장실습의 도입상황에 대해서 매우 낮은 인지도를 보여 주었고, 표준현장실습의 내용, 표준현장실습 운영서 및 협약 내용, 표준현장실습 내용 변경 사실, 표준현장실습 수행시 실습 지원비, 표준현장실습 근로계약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 실습기관의 요건 충족도 등에서 매우 낮은 인식도를 보여 주었으며, 다만 표준현장실습의 도입 배경에 대해서는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포함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표준현장실습 도입시 고려 사항으로,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적용제외 대상으로 법개정, 표준현장실습학기 또는 자율현장실습학기제 채택 고민, 현장실습기관의 충분한 확보 및 공유, 그리고 현장실습매뉴얼의 개발과 공동활용 등이다.

keywords
Field Training Institution, Awareness Survey, Standard Field Practice, Policy Propos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현장실습기관, 인식조사, 표준현장실습, 정책제안, 문헌정보학, 도서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a standard field training semester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an autonomous field training semester system that can be operated without payment and propose a response strategy based on their perception survey conducted with the field training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is apparent that the practice institution shows a very low perception of operating hours and operating methods, including the allocation of job-related training hours. Second, the introduction status of standard field practice turned out to be very low, while the introduction status of standard field practice, operation and agreement, change of standard field practice, specific details of standard field practice contract, and satisfaction of standard field practice turned out to be very low. Based on which, this study considers the introduction of standard field practice based on the reference research including surveys, such as the amendments of the relevan laws, adoption of standard field practice semesters or autonomous field practice semesters, securing and sharing sufficient field practice manuals, among others.

keywords
Field Training Institution, Awareness Survey, Standard Field Practice, Policy Propos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현장실습기관, 인식조사, 표준현장실습, 정책제안, 문헌정보학, 도서관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