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공공도서관 공공성 측정 연구 - 지역 주민의 인식을 기반으로 -

A Study on Measuring the Publicness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3, v.57 no.2, pp.241-269
https://doi.org/10.4275/KSLIS.2023.57.2.241
김혜영(Hyeyoung Kim)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기영(Giyeong Kim) (연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수혜자의 관점에서 공공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도서관 이용 경험, 지역 주민의 개인적 특성, 도서관 서비스 유형에 따라 공공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성 관련 특성들을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하여 공공성 측정 지표로 통합하였고, 서울시 5개 자치구의 지역 공공도서관 15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 공공성은 ‘참여반응성, 절차공정성, 상황평등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며, 각 요인은 도서관과 지역 주민 간 상호작용 속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측면을 보여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이용 경험과 서비스 기간, 지역 주민의 직업 환경과 지역활동경험, 도서관 서비스 유형 등에 따라 어떠한 공공성의 측면을 강화해 나가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공공성을 강화할 수 있는 서비스 경험이 제공될 때, 보다 많은 지역 주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이로써 도서관의 존재가치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공공성, 이용자 인식, 도서관 서비스, 실증 연구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for measuring publicnes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ublicness according to library usage experienc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local residents, and types of library serv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5 local public libraries in 5 districts of Seoul, targeting library users and local resi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ublicness of libraries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participatory responsiveness, procedural fairness, and situational equality, which demonstrate different aspect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library users and local residents in the local community. The study derived ways to enhance publicness and presented in detail which aspect of publicness needs to be enhanced according to library usage experience and service period, local residents’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experience of local activities, and types of library services.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service experiences that enhance publicness are effectively provided, more local residents can benefit from them, and the value of the library’s existence can be demonstrated.

keywords
Publicness, User Perception, Library Services, Empirical Stud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