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598X
이 논문은 구조적 초록 형식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에 도입할 것을 검토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구조적 초록을 도입한 해외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사례를 파악한 후, 연구의 가치와 실무적/사회적 의의 섹션을 강조하는 Emerald 출판사 발행 학술지 중 4종을 대상으로 구조적 초록을 구성하는 각 섹션별 사용 통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구조적 초록을 도입하면 초록의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을 감안해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4종의 초록 관련 규정과 최근 게재된 초록 길이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국문초록의 구성요소 현황을 분석하여 필수 요소가 일부 초록에서 누락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문헌정보학 학술지를 위한 구조적 초록 도입 방안을 초록의 길이와 섹션 구성 위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구조적 초록 형식을 도입한다면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의 도서관 및 정보관리 실무 활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structured abstracts to Korean journal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To achieve this, we first identified examples of overseas LIS journals that have adopted structured abstracts, and analyzed the occurrence statistics of each section of structured abstracts for four journals published by Emerald Publishing that emphasize the value of research and practical/social implications sections. Considering the inherent drawback of longer abstracts, we examined the abstract policies and the abstract lengths of recently published articles of four Korean LIS journals. Additionally, we identified some cases where essential elements were missing from the Korean abstracts. Finally, a proposal for the adoption of structured abstracts for Korean LIS journals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length of abstracts and the organization of sec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adoption of the proposed structured abstract format will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Korean LIS research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